메뉴 건너뛰기


기업분석보고서

기업분석보고서 4. 스노우, 고객 / 자사 / 경쟁사 분석

업데이트 2023.06.01. 조회수 2,978

 

고객, 자사, 경쟁사 분석을 통해 기업이 현재 처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기업이 현재 어떤 곳에 있고, 고객은 어떤 집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경쟁사에 비해 어떤 비교 우위 전략을 가졌는지 살펴보자.


고객 분석(Customer)

Analysis 1
스노우의 주요 수익 모델은 스노우 카메라 앱에서 노출되는 광고와 구독/단건 결제 서비스, 제페토 인앱결제(앱 안에서 하는 결제) 등이다. 스노우를 포함해 자회사의 서비스 대부분은 MZ세대를 겨냥하고 있다. 제페토에서는 900만 개 이상의 가상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대체로 소액으로, 투입 비용이 낮고 구매에 대한 위험이 적어 경제 환경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Analysis 2
스노우는 MZ세대의 사용률이 높은 편이라 이들을 타깃으로 제품을 홍보하려는 기업의 노출이 잦다.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부터 국내 브랜드까지 MZ세대에게 자연스럽게 노출하고 있다. 스노우 앱의 장점인 AR 필터, DA(Display Ad) 배너 등으로 광고 수익을 올리고 있다.



자사 분석(Company)

스노우는 네이버 콘텐츠 자회사 중 하나다. 2015년 9월 서비스를 출시한 이후 한국, 일본, 대만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해 약 1년 반 만에 1억 명의 가입자를 달성했다. 현재 스노우의 사업은 사진 및 영상 관련 앱이 대부분이다. ▲AR 카메라 앱 SNOW, ▲카메라 앱 B612, ▲음식촬영 및 편집 전문 카메라 앱 Foodie, ▲쉽고 가벼운 뷰티 카메라 앱 SODA, ▲사진 편집 앱 EPIK, ▲영상 편집 앱 VITA, ▲인물 편집 앱 GlowUp 등이 있다. 대표 카메라 앱 스노우의 글로벌 누적 다운로드 수는 2023년 4월 기준 21억 5,000건, 국내 누적 다운로드 수는 9,400만 건에 달한다.
종속 기업으로 스노우 차이나 리미티드, 스노우 재팬 코퍼레이션, 스노우 베트남 컴퍼니 리미티드, ㈜스프링캠프, ㈜세미콜론스튜디오, 네이버제트㈜, 케이크㈜, 크림㈜, 슈퍼랩스㈜ 등 12곳이 있다. 스노우는 매월 2억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해 수익 모델을 확대했다.



경쟁사 분석(Competitor)
Analysis 1. 경쟁 사업자

스노우의 모기업인 네이버는 사업 분야가 방대한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 사업자가 있다. 가장 주요한 사업 부문인 온라인 광고 및 디지털 플랫폼 부문에서는 카카오, 구글 등이 경쟁 사업자다.



Analysis 2. 경쟁 상황
# 카카오

카카오는 국내 1위 메신저인 카카오톡을 포함한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 중인 ‘모바일 라이프 플랫폼’ 기업이다. 2022년 기준 재계 서열 15위로, 자회사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모빌리티 등이 있다. 광고, 게임, 뮤직, 커머스, 검색, 송금, 결제, 쇼핑, 동영상, IP 비즈니스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카카오는 일상의 영역들을 모바일 중심으로 연결하는 생활 플랫폼으로 모빌리티, 결제, 쇼핑을 비롯한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편익을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의 사업들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카카오 모바일 에코시스템 안에서 시너지를 발산하며 성장하고 있다. 카카오톡은 커뮤니케이션 라이프 도구를 넘어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관계 형성을 지원하며 더욱 편리한 일상을 만들어가는 생활 플랫폼이 됐다.
카카오는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신규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2021년 7월 카카오스타일을 운영하는 카카오커머스의 스타일 사업 부문을 인적 분할해 패션 플랫폼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크로키닷컴과 합병했다. 또 ‘코(Ko)GPT’라는 초거대 AI 모델을 구축해 2023년 내 챗봇 서비스 출시에 나선다. 이와 함께 SM엔터테인먼트 인수로 콘텐츠 분야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 구글코리아

1998년 9월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차고지에서 구글을 창립했다. 2000년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등 지원 언어가 15개로 늘어났고, 같은 해 최초로 10개 URL의 색인을 선언하며 세계 최대의 검색엔진이 됐다. 또 셀프서비스 광고 프로그램인 애드워즈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1년 26개 언어로 구글 검색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URL 색인 규모가 30억 개의 웹문서로 확장됐다. 이미지 검색을 출시하고, 도쿄에 첫 번째 해외 지사를 개설했다. 2002년에는 Java, Perl, Visual Studio 등 원하는 환경에서 20억 개가 넘는 웹문서와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API 세트를 출시했다. 구글 실험실을 출시해 사용자들이 새로운 기술의 베타 버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2003년에는 애드센스를 서비스하기 시작했으며, 2004년 웹페이지 색인은 80억 개에 달했다.
2005년 구글 이미지 검색은 11억 개의 이미지를 색인할 수 있게 됐다. 구글 지도 서비스도 시작했다. 2006년 구글은 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 사이트 유튜브를 인수했다. 2007년에는 최고의 디지털 마케팅 회사인 더블클릭을 인수했고, 같은 해 이 회사는 하루 170억 개의 광고를 집행했다. 2008년 스트리트 뷰 이미지를 선보였으며, 2009년에는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시작했다. Gmail, 구글 캘린더, 구글 문서도구 및 구글 토크가 베타 버전을 종료하고 정식 서비스로 제공됐다. 2010년 넥서스 원을 출시했다.
2015년 이후 구글은 지주회사 알파벳을 통해 Access, Calico, CapitalG, GV, Nest, Verily, Waymo, and X 등 다양한 부문을 포함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구글은 알파벳의 자회사로서 검색, 광고, 지도, 앱,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의 사업을 관장하고 있다.
구글코리아는 2004년 3월 설립했다. 2006년 10월 R&D센터 설립을 발표하고, 2007년 4월 경영진을 선임해 국내 검색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구글코리아는 2021년 카페24와 협업을 통해 국내 이커머스 판매자들의 해외 진출을 도왔다. 이 협업을 통해 온라인 비즈니스 사업자들이 구글 및 유튜브를 통해 적절한 시기에 더 많은 잠재 고객과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200자까지 작성할 수 있으며 허위정보 및 명예훼손, 비방, 욕설, 광고성 글은 운영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스노우 진행 중인 채용 공고


기업리뷰 서비스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