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조언부탇드립니다

조회수 598 2022-03-09 수정


 직업학교 실내건축과정 수료, 실내건축기사 자격증 취득

까지 마친 30대 초반 여자 신입입니다 

 

주거가 제일하고 싶지만 주거+상업을 같이하는 회사를 찾고 있습니다 근데 지금 주거는 면접이 안들어오고 

상업쪽만 면접이 들어오고 있구요 

취업이 많이 늦어져서 이제 정말 가야하는 상황입니다 


 

병원인테리어회사에서 연락이 와서 면접을 봤는데 

멀긴하지만 사수가 있고 야근이 많이 없는점

퇴직금 식사별도 제공이 되서 맘에 들었습니다 


문제는 하는 프로젝트 디자인이 큰 변화가 없다는점

(색만 바꾸는 정도? 보여주신게 몇개 안되서 잘모르지만 실무자분도 디자인 변화 크게 없다고 하셨어요) 저는 좀 더 다양한 디자인을 하고 싶어서 좀 맘에 걸리는데 


주변에서 어짜피 신입이라 디자인을 할 수있는게 없다고

실무 배우는게 먼저라서 워라벨 챙기면서 일배우면 좋을거라고 디자인은 집에서 따로 공부하고 나중에 경력 쌓고 혼자 다 할수 있을때 이직해서 하고싶은 디자인해라 하더라구요 

 

 

 

이부분이 맞는걸까요..?

ㅠㅠ

나중에 포폴에 넣을 프로젝트가 다 똑같을까봐 걱정이 되고 

또 이 회사 다니고 나서 이직때 주거로 이직하는대 무리가 없을지, 신입으로 들어가는지 궁금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9
  • 프로필 이미지 mentor0030962 현장관리자 / 28년차 Lv 4

    간단하게 말하면...
    병원인테리어 회사는 디자인이 거기서 거기일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수익창출에 더 많이 비중을 두고 공사수주/설계를 합니다.
    공사수주를 많이 따야하고, 빨리 끝내야하고....
    무엇보다 원장님들이 돈이 많이 드는 디자인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의료장비에 돈을 더 투자합니다.
    그래서 디자인을 크게 변화를 주지 않습니다.
    간단하고, 익숙하고, 저렴하면서 깔끔하고, 공기가 짧은데 멋져보이는...?

    주거쪽에서 설계직으로 연락이 잘 없는것은
    주거쪽 설계직 구인 수요가 많지가 않아서 입니다.
    주거쪽 시스템을 보면
    목수가 인테리어 사장이거나
    장식집 사장이 인테리어를 수주받아 공사하거나
    인테리어 전공자가 회사 사장이더라도
    상담-현장실측(상담)-견적-시공(공사)....이렇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면이 필요없는거죠
    도면이나 스케치업 디자인을 요구하는 집주인, 그걸 해주는 회사는 단가가 올라가니까 경쟁력이 없어지죠
    그래서 주거쪽 인테리어 회사들이 대부분 디자이너가 없거나
    시공+도면+견적+그래픽=직원....을 원합니다.
    간혹 주거관련 구인광고 상세내용을 보면 알수 있습니다.
    남자직원을 요구하는 회사는 간혹 회사트럭을 한대 내어주고
    청소/폐자재처리, 자재 직구매/운반, 시공업체 시다바리...등도 시키는 회사가 있습니다.

    주거쪽이 최종 목표시면
    일단 병원인테리어 회사보다
    상업쪽이나 종합적으로 하는 회사에 입사하시길 추천합니다
    일단 상업을 하더라도 나중에 주거공사도 들어올수 있고
    디자인적으로 더 배우실게 많다고 생각합니다.

    훌륭한 주거디자이너가 되시길....
    (전체내용은 간단하지 않았네요^^)

    2022-03-11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4205446 현장관리자 / 19년차 Lv 3

    다양한디자인 하시고 싶으시면 2년마다 주력 업종으로 이직하세요.
    첫 취업이 힘들뿐. 경력만 있으면 왠만한곳은 다 갈수있는 구조입니다.
    병원, 주거, 오피스, F&B 등등

    첫직장을 평생직장이라 생각하지마시고 경력쌓으러 가신다 생각하시면 맘 편하겠네요

    2022-03-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953281 건축기사 / 10년차 Lv 3

    병원 인테리어의 경우는 조금 특수의 경우이긴 합니다. 저 또한 치과병원을 주로하는 인테리어회사에서 경력을 쌓고, 박물관 실시설계쪽으로 건너가서 기본.실시 설계를 마스터한후에 현장감리등의 업무로 이전해서 커리어를 쌓은 경우이고요. 병원인테리어에서 설계만 하실지, 현장도 가서 보고배우실지 잘 판단하시고요. 저도 여자입니다. ^^ 제 경험상 설계,현장경험이 있으셔야 다른쪽으로 가실때 좀더 이익이 있습니다. ^^ 병원인테리어하시다보면 주거는 정말 쉽게 느껴집니다. ^^ 30대라고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마시고, 경력을 쌓으셔서 몸값을 올리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설계도 현장도 열심히 배우세요~^^ 몸은 고달프지만, 나중에 나의 자산이 된답니다~^^ 화이팅!

    2022-03-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889896 현장관리자 / 5년차 Lv 3

    세상에 내마음을 다 충족하는 회사는 상상속에나 있습니다.
    유니콘을 찾는게 더 빠를듯 하네요.

    근무여건 실무경력 워라벨 다 챙기려면 뭐가 필요한지 본인이 분명 잘할것 같은데요?

    본인의 가치가 증명되면 다 챙길수 있다 생각되네요.
    뼈 때리는 답변이지만 현실이고 현실을 받아들이고

    오늘보다 내일의 자신의 가치가 10원 어치라도 발전되길 아둥바둥하다보면 다 챙길수 있는날이 올것 입니다.

    2022-03-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930773 건축기사 / 24년차 Lv 4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처럼 시작이 중요합니다. 한번 잘못된 길에 들어서면 제대로 된 길로 가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좀 늦더라도 하고 싶으신 걸 하세요.병원쪽 일이 맘에 걸리면 하지마세요. 시키는 사람도 다 느낍니다.열정이 있는지 없는지..

    2022-03-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608404 14년차 Lv 5

    2022-03-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975468 7년차 Lv 2

    일단은 경험이 중요합니다 2년이나 3년정도의 실력을 쌓은후 그때 더 좋은 회사로 가길 추천드립니다

    2022-03-11 작성
  • 혹시 회사명 알수있을까요??

    2022-03-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062994 12년차 Lv 4

    안녕하세요 30대 중반의 여자입니다. 얼마전 퇴사했습니다.
    정말 완벽한 스팩이 아닌이상 대부분 나이에서 걸리더라구요ㅠ

    30대는 체력이 매년 떨어지는게 훅 느껴지기 때문에 워라벨을 선택하시는게 맞다고 봅니다..

    2022-03-10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