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인사담당자들에게 자격증이 어떤 이미지인지 궁금합니다

조회수 3,929 2021-12-11 수정

6학기동안 학점이 3.03로 너무 낮아 공공기관 준비 중입니다..


현재 토익(현재770점이고 850까지 계속 공부 예정),컴활1급,한국사,전산회계 보유 중이고 재무직렬(혹은 총무)을 원합니다


ERP(회계,인사) / 재경관리사 / 전산세무2급 / fat/ tat....


머리에 있는 자격증은 많은데 어느 자격증이 어떻게 어필되는지

저 자격증들의 이미지가 사기업, 공기업에서 어떤 차이인지를 몰라서

어떤걸 따야하는지 고민입니다


조언을 구하고싶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4
  • 프로필 이미지 mentor3847527 재무담당자 / 18년차 Lv 2

    직무관련 자격증은 객관적인 검증자료가 될수 있겠지요 다만 자격증이 있는데 실무경험이 없는 신입과 자격증은 없지만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실무경력이 더 우선 합니다.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경영상의 문제들이 도출되기 때문에 그의 대한 대응력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얼마나 많이 경험해봤냐가 중요하겠지요 물론 자격증이 있고 실무경험이 있으면 좋겠지만..
    그러니 조그만 회사라도 경험을 쌓고 자격증도 함께 취득하는것이 좋겠습니다.
    회사에선 다들 자기할일들이 많기 때문에 일을 가르칠 시간이 없어요 그냥 당장 실무를 뛰어줄 친구가 필요하죠
    또한 회사에서 직무관련 일은 기본이고 그외 잡무도 많기 때문에 센스도 필요하죠 꼭 관련일이 아니더라도 조직생활을 경험해보는것도 좋습니다. 다 나중에 도움이 되테니까요

    2022-01-0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820734 5년차 Lv 2

    공공기관,대기업 가려면 세무사, 회계사 자격을따세요

    2022-01-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159637 사무담당자 / 5년차 Lv 1

    simple is the best. 가장 어려운것 = 영향력 크겠죠.. ㅎㅎ

    2021-12-3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565630 재무담당자 / 27년차 Lv 2

    재경관리사를 취득하시면 재무,원가 세무회계에 관련한 전반적인 흐름을 알 수 있을 거예요
    그리고 실무위주인 전산세무1급을 취득하시면 좋은 점수 받을거예요! 그리고 입사전 회계원리 빠르게 인강 패스하세요(위너스,우리 ,나무경영아카데미 사이트 찾아보세요)
    규모있는회사는 엑셀 중급이상이면 좋을거예요

    2021-12-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418866 12년차 Lv 3

    제 경험과 면접관으로 신입사원 면접에 응했던 기억을 되집어 보면, 수 많은 자격증은 양날의 검이 될 수 있습니다.
    면접관에게 비춰진 자격증은 그만큼 타 인재보다 그 부분에 대해 많이 알고 있을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질의를 드리게 됩니다. 그러나 그 질의에 대해 심도있는 대답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역으로 자격 취득에 대한 의구심을 제기하게 됩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자격은 실무 시 약간의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큰 의미는 없는 것 같습니다.
    물론, CPA, CIA 등과 같은(국내외 어느쪽이든) 자격을 소지하고 있다면 조금 큰 도움은 될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겸손함과 자신감이 적절하게 표현될 수 있게 대답하면 되고,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분명하게 대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절대적 가치의 자격증(회계사 or 세무사)이 아닌 이상, 큰 의미는 없기 때문에 이 것으로 합격률을 높일 것이라는 기대는 현실적으로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2021-12-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334841 경영·비즈니스기획 / 23년차 Lv 1

    공기업은 제가 잘 몰라서 경험에 의한 일반기업 기준의견을 살짝 드리자면
    자격증은 내가 직장생활을 시작할 수 있는 사람이다 정도의 의미일뿐, 정말 제대로된 채용 담당자라면 면접시의 질의 답변을 통해 마인드나 인성, 성품을 직접 파악해보고 결정하게 될 것 같습니다.
    실제로 저도 후배들을 채용할때 그랬었구요..흔히들 공부머리 일머리 따로 있다고 하잖아요..정말 그런 경우 많이 경험했었어요.
    지금 자격증만으로도 신입채용에는 지원 가능하실 것 같아요.
    준비된 마음 가짐을 면접시에 잘 어필해 보세요. 화이팅입니다.

    2021-12-20 작성
  • 공기업 준비중이면 기본 자격증은 갖췄으니 필기공부에 집중하십시요... 필기뚫는게 관건입니다.

    2021-12-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712931 회계담당자 / 16년차 Lv 5

    나열한 자격증을 보니! 있을 건 다 있군요!
    혹시! 평소에 책 많이 읽습니까?

    인사담당자를 유혹하려면! 일단 2가지가 충족되야 합니다.
    자기소개서 / 이력서사진 검토 후
    이 지원자는 왠지 한번 불러, 야그를 나눠보고 싶다. 우후후!
    시쳇말로, 매혹적인 글쓰기를 잘하는 사람 + 깔끔한 인상을, 불러보고 싶다.
    그 뜻입니다.

    일단! 서류통과되야, 면접을 볼 수 있을테니!
    흔히 지원자들이 맥을 잘못 짚는게, 자격증만 많으면! 장땡이다
    착각하는 겁니다.

    아울러! 자격증이 사기업 / 공기업에서 다르게 사용될 거다. 그것도 착각입니다.
    자격증은 그냥! 자격증입니다.

    역지사지! 내가 인사담당자라면! 어떤사람을 불러 야그를 나눠보며 차를 마시고 싶을까?
    생각해 보십시오!

    차 얘기 나와서 하는 말인데
    며칠전! 다방에서 50대 남성 3인이 그러더군요!

    남성1 : 죽겠어! 코로나가 이렇게 갈 줄이야! 요새 다들 힘들어
    남성2 : 그래도, 국제통화기금시대보단 낫잖아! 지금보다 더 힘든시절도 있었어
    남성3 : 맞아! 뭐든! 무조건 잘 버티기만 하면되, 질긴사람이 이기거든

    잊지마시길!




    2021-12-15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9676645 25년차 Lv 3

    공인 회계사 또는 세무사. 노무사 자격증 아니면 별로 도움이 안 되실 듯. ㅠ

    2021-12-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767778 인사담당자 / 22년차 Lv 1

    학점이 너무 낮으시면 자격증이라도 관련 자격증을 따두는것도 좋습니다.
    회계라면 전산세무, 재경관리사,등등 따시고, 공공기관은 크게 의미 없지만 사기업에서는 의미 있습니다.

    또한 자격증외에도 어학을 준비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토익 준비하시는데 워낙 기본이라 specing 을 준비하시는것도 도움되구요.

    2021-12-13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