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취업 준비 질문 드려요

조회수 1,529 2020-05-19 작성
현재 2년정도 취업준비 중입니다.
말이 준비지 계속 해서 지원은 해왔었습니다
100곳 넘게 지원 했지만 면접보라고 연락 오는곳은 손에 꼽을 정도...

포트폴리오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져서 포트폴리오 계속해서 수정하고 준비 하고 있습니다.
헌데 혼자 하다보니 한계가 오는거같아요
디자인을 잘하는 편도 아니고 3d를 잘 다루는것도 아니고..

자격증은 실건기사.전산응용 두개 있습니다.

제가 지금 뭘해야 좋을지
혹은 포트폴리오 작업 할때 도움될만한 사이트나 충고 전부다 듣고싶습니다
너무 간절해서요 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25
  • 프로필 이미지 mentor8434705 현장관리자 / 25년차 Lv 5

    애매한 포트폴리오에 시간만 보내지 마시고 3d툴 이라도 익히세요.
    설계 디자인파트 지원하시는 분 이신듯한데...
    신입보다 경력직을 뽑는 현실에서 신입으로 입사하시려면 3d툴은 필수라 생각하시는게 구직에 도움이 되실겁니다.

    2020-05-3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690975 건축기사 / 4년차 Lv 1

    저도 메이져 신입 공채 입사가 어려웠지만, 운이좋게 입사했습니다. 다니다보니 경력직분들께서 다양한 소,중규모 사무소에서 오신분들이많았습니다. 무작정 포폴에 메달리기보단 하루빨리 경력을 쌓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응원합니다!

    2020-05-3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399359 매장관리자 / 14년차 Lv 2

    아웃소싱 총무과장 7년 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저보다 더 훌륭하신 면접관들이 있겠지만
    회사는 조직임을 즉시 하고 그 곳에 맞는 인재상인지
    살피기 위해 면접을 봅니다.
    그래서 면접을 저의 식으로 정의를 내리자면
    선보는 거다 라고 하고 싶네요
    의복 표정등 외부적인 조건을 본다면
    구지 면접관이 연락할 필요가 없겠죠
    요즘 회사들은 실업자도 많은데 왜 사람이
    없다고 할까요
    선을 볼때 목포가 있습니다.
    그것은 공동의 목표인 결혼입니다.
    면접도 마찬가지 입니다.
    자신들과 같이 성장할 수 있느냐 라는
    것이죠
    서류전형을 통과했고
    면접에서 낙방하는 이유는
    회사와 님과의 성공의 연결고리 입니다.
    여러 면접 스킬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연결고리를 통해 면접을 본다면
    조금 더 나이질거 같습니다.
    웹디자인이리고 모든회사가 고급스킬을
    원하는건 아닙니다.
    조직과 융화할 수 있는 마인드맵이나
    PDCA등을 통하여 자신의 노력을 보여주세요
    피드백이 없는 실수는 나쁜 습관으로 가는 길 입니다.
    시간이 되시면 100번이나 면접 봤을때
    후회한 리스트를 만들어 자신만에 면접스킬로
    꼭 합격하세요

    2020-05-2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331341 건축기사 / 4년차 Lv 2

    어떤 회사를 100곳 넘게 지원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만약 정말 기획설계쪽으로 생각이 있으시다면 포트폴리오 보다는 스케치업, 브이레이 랜더링 (혹은 앤스케이프),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이 프로그램들부터 배우세요.
    디자인 능력은 사실 정말 천재가 아니고서야 거기서 거기입니다... 그리고 포트폴리오를 보고는 판단도 안서는게 사실이구요.
    면접관들이 신입들의 포트폴리오를 보고 판단하는 건 지금 이 아이를 뽑았을때 어떤식으로 팀에 쓸 수 있을까입니다.
    저희 회사도 일단 신입뽑을 때 어떤 툴을 얼마나 다룰 수 있느냐를 가장 먼저 봅니다..
    슬프게도 신입은 일단 3D툴이 최우선이예요...
    스케치업 브이레이까지 배우는데 학원에서 배우면 2개월 충분해요. 집중한다면 툴 자체는 하루면 배웁니다.
    연출을 어떻게 하느냐가 이제 본인의 스킬과 능력이예요.
    회사에서 바라는 사람은 작가가 아니라 당장 일을 시킬 수 있는 실무자입니다.
    신입을 뽑을때도 똑같아요.

    2020-05-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624616 건축기사 / 7년차 Lv 1

    저는 가지고 계신 자격증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남들보다 일찍 일을 시작해서 인지 지금은 회사에서 꽤나 인정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2년을 준비하셨으니 값진 시간 보내셨다 생각하고, 이제는 작은 회사에서 부터 시작해서 자신의 진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보세요.

    아마도 멋스럽게 흉내만 내본 지금의 포트폴리오보다 건강한 실무 경험으로 쌓은 자신의 역량을 들여다볼때 더 큰 성취감과 무슨일이든 할수있다는 자신감이 본인의 미래를 더 든든하게 받춰줄껍니다. (단, 자만은 금물)

    준비된 자에게 기회는 찾아옵니다. 힘내세요.

    2020-05-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253734 건축기사 / 22년차 Lv 2

    가능하면 작은 업체 현장 부터 일하시는게 좋지 않을까요?그리고 감각을 키우세요.툴 사용은 1년 빠작 공부 하면 할수 있습니다. 요즘 회사에서는 가르쳐서 뽑아먹는다는 개념이 없어진지 오래 됐습니다.그런데 1~2년 하다가가 그만 두실거면 다른 직업을 찾아보시는게 좋을것 입니다.

    2020-05-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599903 건축기사 / 6년차 Lv 1

    일단 포괄적이여서 어디를 근무하고싶으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신입이라면 포트폴리오가 글쎄요... 있으면좋겠지만 포트폴리오가 멋지다 해서 뽑진않거든요.
    실무와 교육은 차이가 있어 오히려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툴은 어느정도 다룰줄알아야겠죠)을 데려와서
    가르치면서 일시키는게 더 낫습니다
    오히려 포트폴리오로 인해서 `디자인스타일은 우리와는 달라`,`신입인데 포트폴리오보면 배울생각은 없겠는데?` 같은 생각이 들수도 있습니다.

    허나 대기업이나, 소위 특별한디자인이 필요한 대형 건축사사무소 같은경우들은 포트폴리오를 굉장히 중요도있게 공고에 올라온걸 볼수있습니다만, 포트폴리오는어찌됐던 서류전형중에 하나일뿐 그것으로인해 붙고 떨어지고는 아니라고봅니다

    결론을 말씀드리면, 신입이라면 포트폴리오로 내가 어느정도툴을 다룰수 있는지에대한(프로그램을 최대한 이용한 작품등) 어필정도만 하시면될것같고, 포트폴리오 보다는
    내가 얼마만큼 디자인을 배울 마음가짐이 있는지에 대한, 자기소개서 형식의 서류가 훨씬더 중요하다고봅니다

    2020-05-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930773 건축기사 / 20년차 Lv 4

    솔직히 말씀드려서 배운게 도둑질이기는 하지만 인테리어 계통은 노동대비 임금이 낮은 편입니다. 그걸 감수(적게 버는것)하고 인내(버티기)해야 하고 그런 마음가짐으로 도전하는 중이라고 생각하면서 도움말을 드리자면 스케치업을 잘하도록 준비하시고 스케치업 브이레이와 터치업 기술을 배우시기 바랍니다..스케치업으로 완성도있는 3D만 잘 만드실수 있다면 취업도 잘하실수 있고 설계하는데도 도움이 되실겁니다. 아무쪼록 좋은 결과 있기 바랍니다.

    2020-05-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793857 영업지원 / 15년차 Lv 3

    CAD 디자인이나 설계디자인은 준비됬나요.
    내장건축이라해도 도면해석을 할수 있으려면 현장맨도 기본적으로 본사에서 오는 도면의 수정보완을 할줄 알아야 하는데 그것을 준비해보고 실건기사나 전산응용 자격은 업무를 하기위한 기본이니 바로 실전으로 들어가서는 무조건 건축설계 위한 수정이나 보완하려면 CAD를 해야 현장과 본사 취지를 이해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자신감입니다.
    할수있읍니다하고 조금 실수를 해도 두려워하지 마시고 걍 부딫치시면 됩니다. 저라면 조금은 자신있게 도전하는 사람에게 점수를 줄 것 같습니다.

    2020-05-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121910 건축기사 / 14년차 Lv 3

    준비하다가 2년이 흐르셨군요. 그 시간은 동료들 중 몇몇은 2년 경력을 쌓으셨을 꺼구요.
    결국은 눈높이를 낮추고 빨리 현업에서 경력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포트폴리오, 자격증도 물론 중요하지만 예전과는 다르게 요즘은 실무 스킬이 없는 스펙은 텍스트일 뿐이라 생각합니다.
    2년 준비하셨으면 되었구요..이제 현업에서 마음껏 실력을 펼치시길 바랍니다.

    2020-05-20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