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전기과 취준생 직무 고민 중입니다.

조회수 851 2023-06-29 작성

저는 부산대 전기과 졸업을 했고,

자격증은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토익 785, 오픽 IH, 컴활1급, 한국사1급, 워드1급 있습니다.

그 외에 공모전, 인턴등 직무 관련 스펙은 없습니다.


학과 때는 공기업 취업하려고 졸업과제도 마이크로그리드(신재생 에너지 관련) 설계로 했는데

막상 취업을 하려고 보니까 애로사항이 많더라고요. (순환/교대근무, 직무기술서 내용 등..)

직업성향검사 결과도 공기업보다는 사기업이 맞는 것 같아서

지금은 사기업으로 가려고 합니다.


일단 반도체 대기업 위주로 직무기술서를 읽어봤는데

가장 친숙한 직무는 회로설계 분야인 것 같습니다.

일단 e-koreatech에서 하드웨어, 디지털회로 설계 관련 강의를 들으려고 하는데

회로설계 분야는 특출나지 않는 이상 학사를 잘 안뽑는다는 말을 들어서 고민입니다.

반도체 공정 쪽 직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전망이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제가 직업성향검사에서 탐구형, 관습형이 높게 나왔는데

혼자 일하는 것보다 어떤 회사나 팀적인 프로젝트에서 하나의 톱니바퀴가 되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제 스펙에서 대기업을 목표로 하기 쉬운 직무가 궁금합니다.

지금은 일단 취업사이트와 목표로 할 직무의 합격자 자소서를 보고

어떤 역량을 키워왔는지 비교하면서 가능한 역량을 채울 생각입니다.


요약하면,

1. 회로설계 분야에 직무관련된 스펙없이 학사 취직은 힘든지

2. 직무를 정하기 위해서 어떤 활동을 해야할지

3. 제게 유리한 직무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9065079 전기·전자엔지니어 / 8년차 Lv 1

    1. 회로설계라 함이 전기쪽이 아니라 전자쪽(PCB 등) 이라면 답변드리기 어렵습니다.
    전기쪽은, 학사정도이시면 신입으로 어디든 이력서는 넣을만 합니다

    2. 직무라 함이 전장 설계인지, 전장작업인지, 제어인지 말해주셔요

    3. 제어든 설계든 작업이든 돈은 버는데, 자기한테 맞는걸 하세오

    2023-07-01 작성
  • 1. 학사 출신으로 공모 수상 3회와 포트폴리오로 취직했습니다. 회로설계 업무중이고 학사 취직 가능하고 어렵지 않습니다.
    2. 직무를 정하기 위해 자기가 재밌다고 느끼는 걸 추천합니다.
    3. 유리한 직무라고 단어가 애매한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말 자기가 하고자 하는 직무라면 무엇이 가로막든 도전하게 될겁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결과에 굴복하지 마시고 늘 힘차게 도전하시길 바랍니다

    2023-07-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141830 전기·전자엔지니어 / 12년차 Lv 5

    석 박사도 노는 시대라..

    2023-06-3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322272 반도체엔지니어 / 12년차 Lv 3

    제가 학사이고 전공이 관련이 더 약한 재료공학과 나왔고 현재 반도체 펩리스쪽 회로 관련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1. 어렵습니다. 저말고 학사를 뽑은적도 있긴 하지만 거의 안뽑고 석사 선호 합니다. 학사를 뽑았던 이유는 이 업계, 저는 pmic쪽인데 아날로그 회로 설계쪽으로 인력이 부족해서 어쩔수 없이 구하다보니 학사 신입 뽑아서 가르치려고 뽑았었는데 거의 없죠.

    2. 활동은 그렇게 의미 없어요. 시간 낭비일 가능성이 크고 차라리 반도체설계협회나 아니면 학교내 아날로그 아이씨에 대한 연구소에서 학회나 교육 같은거 하거든요 아이씨 설계나 개론적인거 그런게 도움이 좀 되긴 하는데 겉핡기죠. 그래서 석사하라는 겁니다. 석사에서는 전문적으러 가르켜주니까요. 강의를 찾아보고 그러한 노력은 높이 평가합니다. 하지만 타겟팅이 안된 상태에서 공부는 효율이 안좋아요.

    3. 이론적으로는 공대생이면 전공기초에서 회로이론이나 전자회로 공업수학을 배우기 때문에 다른데 가서 배우려는 의지가 있으면 어디서든 할수 있습니다.

    회로설계를 하고 싶고 학구적인 스타일이라면 연구소쪽으로 가는게 좋습니다. 그런데 회로 설계 자체가 시뮬레이션만 하는게 아니라 실제 회로 평가도 하고 생산을 하는데도 있어서 잘 선택하셔서 가야 합니다. 파워쪽을 예를 들면 smps 같은 큰 회로 설계를 가면 생산에더 관여 해야 해서 육체적으로 개고생합니다. 그래서 반도체를 선택하시는데 적성에 잘 맞을거 같구요. 저는 smps업체 가서 혼자 공부하고 반도체쪽으로 옮겼는데.. 거의 없는 경우에요. 석사 가셔서 원하는 연구실에서 원하는 공부 하고 맞는 직장 찾는게 가장 쉬운길입니다. 요새는 사실 따지고 보면 석사나 학사나 거기서 거기인데 회사적으로는 석사를 선호해요. 어디든 마찬가지겠지만 자격이 되면 인성적인 면을 크게 봅니다. 기술은 가르켜줄수 있지만 인성은 답이 없거든요. 공부를 정 하시려면 큰 글로벌기업 사이트에 기술 문서 보세요. Ti나 mps maxim, richtek, onsemi, rohm등

    2023-06-3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563299 시설관리자 / 18년차 Lv 2

    전기기사있으면 취업에 문제는 없네요.
    본인의 의지에 따라 시작이 결정되니 잘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2023-06-3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807480 전기·전자엔지니어 / 16년차 Lv 5

    1 사실상 힘들듯
    2 본인이하고싶은걸 찾아야죠
    3 준비한 내용은 전기관련 직무로 가야겠네요

    2023-06-30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