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업분석보고서

기업분석보고서 3. 딜리셔스,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

업데이트 2023.04.24. 조회수 1,015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지표를 가장 쉽게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회계 보고서다. 해당 기업의 경영진이 회사를 잘 경영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경영실적보고서의 의미를 갖는다. 지원자는 기업의 실적과 재무 건전성을 토대로 현재 기업의 경영 상황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지원 기업에 대해 재무 안전성과 경영 상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딜리셔스, 재무제표 분석

Analysis 1. 매출 현황

딜리셔스의 2021년 매출액은 179억 원으로 전년 77억 원 대비 132.10% 상승했다. 영업손실율은2021년 78.06%으로 전년 94.12% 대비 16.06% 개선됐다.


Analysis 2. 사업 성과

딜리셔스는 2022년 초 설립 10주년을 맞아 스톤브릿지벤처스, 산업은행, DSC인베스트먼트 등 13개 기관에서 시리즈C 57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누적 투자액은 825억 원에 달한다. 딜리셔스는 이번 투자에 더해 그간 쌓아온 역량과 투자를 바탕으로 글로벌 서비스 확장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딜리셔스는 2022년 12월 기준 누적 거래액이 2조 9,729억 원을 돌파했다. 2021년 5,723억 원 규모였던 거래액은 2022년 7,849억 원으로 37% 상승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로 진출한 현황으로는 2021년 대비 2022년 중화권 소매 거래처가 194% 증가했으며, 일본 소매 거래처는 178% 상승했다.


Analysis 3. 향후 성장성

딜리셔스의 ‘신상마켓’이 일본과 중국을 시작으로 글로벌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 일본은 국내 패션 시장의 약 2배 규모인 100조 원 규모를 자랑한다. 일본은 동대문처럼 도매 의류 생산 및 유통 인프라가 없고, 소매 사업자를 위한 플랫폼이 없어 의류를 소싱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반면에 소비자들이 K콘텐츠 흥행과 더불어 K패션에 관심이 높고, 국내 시장 대비 2배 이상의 구매력을 갖추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이다. 앞서 진출한 중국 시장에서는 이미 성과를 보이고 있다. 1분기 대비 2분기 거래액이 358% 성장했고, 소매 거래처 수는 356% 증가했다. 딜리셔스는 해외 진출 포부와 함께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자사를 소개하는 글로벌 홈페이지도 마련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200자까지 작성할 수 있으며 허위정보 및 명예훼손, 비방, 욕설, 광고성 글은 운영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딜리셔스 진행 중인 채용 공고


기업리뷰 서비스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