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기획직무는 어떤 스펙을 보나요?

조회수 1,262 2022-10-19 수정

돈을 적게주든 많이 주든 기획쪽으로 가려는데 제 스펙 정도면 어디정도가 적당한지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그리고 최우선적으로 어떤것을 준비해야할지 궁금합니다. 


아래는 제 스펙이고, 워낙 어릴때부터 통계 분석하고 전략 짜는걸 좋아해서 직무적성은 자신 있습니다.


창원대 중문과 주전공  세무과 복수전공


학점3.35   오픽 im2   해외봉사1년(중국) 


그리고  hsk5급   전산회계 1급 두 개는 기간이 만료 되었는데 따려면 3주 내로 금방 딸수 있습니다. 따야할까요?


(제가 갈 기업을 정하면 그 기업의 분석은 다 할 예정입니다. )


질문 1. 중견기업은 어렵겠죠? 강소기업도 어려울까요


2. 제 생각엔 파워포인트 엑셀 이런 사무 능력이 중요해보이는데 자격증 따야하나요?


3. 분석력을 입증을 해야 유리할것 같은데 역시 자격증을 따야하나요? 


4. 전산회계나 중국어 쓸모 있나요? 있으나 없으나 인가요?


5. 기획직무는 어떤 점이 스트레스 인가요? 가장 큰 퇴사 원인은 뭔가요(기획 직무만의 )


6. 전 무엇을 최우선적으로 준비 해야할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2
  • 프로필 이미지 전략기획실팀장 분양매니저 / 8년차 Lv 5

    개인적 견해들 전해드립니다.
    1. 중소, 강소 필요하나요? 워라벨 맞고 페이 적정하다면 ㅇㅋ?

    2. 있으면 좋기하지만. 엑셀로 분석데이터 따오고
    파워포인트로 전달력있게 작성 필요 합니다.

    3. 이런 라이센스가 있을까? 싶네요. 개인적인 프로젝스 작성자료들을 정리해서 첨부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4. 기획 분야 따라 다른겠네요. 직간접적인 도움이 될것 같네요.

    5. 창작의 고통, 야근, 시간싸움 (업계 계신분들 공감?)

    6. 면접이라면 이력서 자소서 깔끔s 요약s 시인성 up하게 센스추가 해서 작성요함. 작성자료들 자료 필수~

    0 이건 지원자에게 드리고 싶은 이야기입니다.
    - 기획은 오너의 가이드북이고, 결정에 따를뿐~ 머리위에 올라서는 순간~모가지 댕강합니다.
    - 기획자 출신 오너는 있지만 희소합니다. 사업가는 사업가 입니다. 사업가는 기획자 위에 있습니다.

    2022-10-26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4363208 경영·비즈니스기획 / 14년차 Lv 2

    1. 중소에서 역량쌓고 실력입증 후 중견으로 가는게 좋을 듯 합니다.

    2. 개인적으로 파포보다는 엑셀인데 ... 이게 공부한다고 쌓이는게 아닙니다. 실무에서 선배들의 내공이 쌓인 BP를 그대로 베껴서 내것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 하나 만드는 배열과 수식 한줄에 담긴 철학을 읽을 줄 알아야 합니다.

    3. 기획은 자격증 아무 소용없습니다. 오로지 경력입니다.

    4. 전산회계보다 그냥 회계적 지식이 있으면 좋습니다. 결국 회사에서 기획은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일이니까요.

    5. 짬이 좀 쌓이면 경영자가 자기보다 멍청해 보일 때가 옵니다. 이때가 가장 위험합니다. 명심하세요. 기획자가 경영자를 이기려고 하면 조직 작살납니다.

    6. 슬프지만 삽질을 각오하고 경력을 쌓으세요.

    2022-10-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549397 경영·비즈니스기획 / 31년차 Lv 5

    기획중 어디를 생각하고 있습니까?
    경영기획과 재무기획으로 나누어서 생각하면 되며, 처음부터 입사하기는 스펙상 어렵습니다.
    경영기획은 신사업전략검토, 전사목표수립 및 실행, 조직별 목표 및 결과지표 수립지원과 관리, 경영진 의사 결정 및 사업추진지원, 등이 있으며 재무기획에는 회사채와 유상증자 등 조달업무, Cash Flow보고, 여수신관리 및 은행업무, 자금 집행 및 금융기관 자금운영, IR, 각종 손익 추정 등이 있습니다.
    신입 사원이라면 해외유명대학 또는 SKY대 상위 5%이내 성적자와 MBA 자격을 가진 자라면 도전 가능합니다.
    눈높이를 낮추어서 회계 및 재무 파트 자격증을 따고, 관련 분야 공부와 회계와 재무파트에서 경력을 쌓고 틈틈히 토익 점수 높인후 경력자로서 대기업에 도전하세요.
    먼저 기획실 보다는 회사의 재무 또는 회계 파트 취업이 우선입니다. 거기서 업무를 배우고 경력을 쌓으세요.
    실제로 꾸준히 준비하여서 대기업 기획실에서 근무하는 친구들이 제법 있습니다. 강소기업에는 기획실 자체가 거의 없으며, 중견기업은 일부는 있으나 경영과 재무기획이 합쳐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2-10-19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0945832 경영·비즈니스기획 / 20년차 Lv 2

    다른 분께서도 적으셨지만, 신입때는 기획업무를 주 업무로 할 수가 없습니다.
    해당 기업의 다른 실무를 알아야 하죠.
    만약 어느 회사든 기획부서를 신입으로 갈 경우엔 잡일로 분류될만한 일들을 맡게 되실껍니다.
    자료조사, 파일정리, ppt 건 hwp건 디자인이나 깔끔하게 빠르게 정리 (의외로 속도가 중요합니다)
    기획은 `큰 그림`을 보실 줄 알아야 합니다.
    전시회 기획이건, 사업기획이건간에요.
    반면에 세부적인 것부터 전체 기획안까지 꿰뚫어 볼 수 있어야 합니다.
    타인이 해놓은 엑셀의 틀린수식을 바로 잡는 것부터,
    향후 사업수익모델은 어떻게 가져가야 할지까지.
    무척 광범위하죠.
    그래서 기획은 아무나 할 순 있어도,
    누구나 해내진 못합니다.

    2022-10-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452205 웹기획 / 13년차 Lv 1

    기획이 여러 분야가있는데.. 어느쪽 기획을 보시는건지..

    2022-10-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176853 경영·비즈니스기획 / 31년차 Lv 5

    기획이라고 해서 전문적이거나 전략적인 업무를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스펙이나 경력을 너무 생각하지 말고 도전해보시길 권합니다.

    2022-10-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199611 온라인마케터 / 22년차 Lv 1

    창원대 졸업하셨으면, 창원 소재 기업을 우선 고려하시면 좋겠네요.
    1. 쉽지 않아 보입니다. 채용시 스펙 많이 고려합니다. 기획파트는 신입보다는 경력을 선호하는 포지션이기도 합니다.
    2. 자격증 있으면 플러스 요인이나, 자격증 실력과 실제 현업에서의 실력은 다릅니다. 자격증있어서 도움은 되나, 실제 현업에서 사용하는 엑셀, PPT는 스타일이 다릅니다.
    3. 기업에서 원하는 "분석"업무는 무엇일까요?
    기업에서 분석,전략업무를 선호하는 주니어 직원에서 해당 업무를 맡기지 않습니다.
    4. 회계 자격증은 도움이 됩니다. 기업의 전체 자금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5. 전사 내부 부서와 커뮤니케이션 및 매니징해야 하고,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가지고 자사 경영전략 수립,관리해야 하고, 신규사업검토 등 폭 넓은 업무를 커버해야 합니다.
    6. 기획직무보다는 스텝부서로 우선 입사하여 경력을 쌓은 후에 기획파트로 이동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2022-10-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953045 기술·전문강사 / 12년차 Lv 2

    건축기획과 웹기획으로 예를 들면 둘다 무언가를 만드는 기획이라는 점은 같으나 너무나 다른 기획절차와 과정을 가집니다. 기획을 준비한다라고 하면 뭐라 드릴 답변은 없습니다. 상세적으로 어떤 기획을 준비 하는지 궁금합니다.

    2022-10-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934128 22년차 Lv 3

    경영기획쪽으로 보세요.
    재무와 관련됩니다

    2022-10-19 작성
  • 어떤 기획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혹시 행사나 전시 컨퍼런스 기획 등을 하시고 싶으시다면 일단 체력을 기르세요 체력이 너무나 중요합니다.

    2022-10-19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