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HRD직무 정말 간절히 여쭙고 싶습니다.

조회수 1,929 2022-07-27 수정

현재 저는 HRD직무를 목표로 취준 중인 28살(만26세) 남자입니다.

지방거점국립대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주전공으로 영어영문학과와 국어국문학과를 복수전공 하였습니다.


학점은 총 229.5학점 들었고 전공 71학점, 복수전공 102학점 들었습니다. 총 학점은 4.5만점에 3.88이고 전공학점은 4.32입니다.


자격증은 교육학, 영어, 국어 총 3과목의 정교사 자격증과 평생교육사 2급 자격을 취득하였고 어학은 오픽 IH 가 있습니다.


관련경험은 한국장학재단 지식봉사 사업에 3번 참여하여 교육 캠프를 기획, 운영한 경험과 평생교육 실무실습 경험이 있습니다. 또 3년6개월간 학과근로장학생으로 근무하면서 학과 교육 지원 경험이 있고, 9개월간 시에서 대학생 멘토링 위원으로 위촉되어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기획해서 운영한 경험이 있습니다.


1. 대기업들인 따로 hrd직무 채용을 하던데 중견 이하나 대기업 계열사들은 인사직무로만 공고를 띄우더라구요. 인사직무로 지원할 때 hrd직무 중심으로 자기소개서를 제출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동아리나 캠프 운영하면서 팀원이나 부원들 모집하고 면접한 경험이라도 써서 hrm 부분도 포함해야 할까요....


2. HRD 직무 관련 경험에 어떤 내용을 포함하면 좋을까요?


3. 그리고 인사팀은 학벌을 많이 본다 그래서 대학원을 가야하나 고민 중인데, hrd직무도 학벌이 중요할까요?


4. HRD직무는 인턴도 잘 없던데 경력이나 경험 준비를 어떤 방향으로 하면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임용고시 준비하느라 졸업을 늦게하고 뒤늦게 군대를 갔다가 올해 전역해서 취준 중인데 너무 막막해서 다양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2
  • 프로필 이미지 mentor1553655 인사담당자 / 13년차 Lv 3

    1. 대부분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HRM과 HRD를 구분하지 않고 둘 다 가능한 인재를 원하는 곳이 많습니다. 대기업 또한 HRM과 HRD를 구분하였지만 상호 연관성이 있어 둘 다 가능한 인재를 원하는 추세입니다. 대기업에서 원하는 HRM과 HRD는 멘토링이나 면접 부분이 아닙니다. 대기업은 뛰어난 외부업체의 컨설팅으로 HRM과 HRD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습니다. 대기업에서 원하는 것은 만들어진 그 시스템 안에서 얼마나 근로자들을 컨트롤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부분이 노조부분일 것입니다. 일반 중견기업이나 중소기업의 HRM과 HRD와는 다름으로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기업의 인사 파트부분을 공부하신 후 즉, 지원하시고자 하는 회사를 충분히 조사를 하신 후 그 회사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를 파악한 후 자소서를 그에 맞게 적으셔야 합니다.
    2. HRD는 인재를 육성하는 부분으로 대기업에서 이 시스템은 상당히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그럼으로 그 회사의 HRD 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시고 그 시스템을 본인의 것으로 만들고 그에 맞게 일하는 직원을 대기업능 대부분 원합니다.
    3. 대기업에서 학벌을 보는 이유는 회사의 이미지, 평등한 조건에서의 입사, 전공 관련 부분에 대한 역할 배정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학벌을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사부분에서는 대학교 졸이면 대부분 응시 자격이 부여되며 석사나 박사 확위를 취득했다고 하여 더 특별한 것이 주어지지는 않습니다. 인사파트는 학벌보다는 경험을 더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입니다. 석사나 박사 학위 취득에 보내는 시간에 취업하여 경험을 쌓는 것을 저는 개인적으로 더 추천드립니다. 석사나 박사 학위 취득 후 나이 때문에 취업에서 밀리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4. HRD직무는 인턴보다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에서 경력을 쌓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인사는 경험이 많아야 인정을 받습니다.

    2022-07-27 작성
  • HRD업무는 HRM업무보다 부서와의 충돌이 적기 때문에 지원자가 아주 많습니다. 또한 회사 유지에 필수지만 경영진이 전담자를 따로 두기에 결단이 필요한 포지션이기에 자리도 적고요.

    그리고 신입을 뽑기가 애매합니다. 비유하자면 초등학생에게 고등학생 과외를 시킬수는 없는일이니까요.

    개인적으로는 유명한 교육 컨설팅펌에서부터 시작해서 차근차근 올라가시는게 맞지 않을까 싶네요.

    2022-07-26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