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개발자 취업 고민중입니다.

조회수 1,048 2021-12-02 작성

학원을 수료하고 한참 취업준비를 하고있는데 대부분이 si더라고요. 물론 공부하고 열심히 할거라서 si를 가는 것은 상관이 없는데 나중에는 3년정도 경력을 쌓고 자체 솔루션이 있는 회사에 들어가고 싶습니다.

그런데 si에서 자체 솔루션 회사로는 잘 못간다는 말이 있더군요. si에서만 돌게 될거라고.

실제로 근무하시거나 오래 일해보신 분들이 보기에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2
  • 프로필 이미지 mentor0581278 앱개발자 / 16년차 Lv 2

    왜 SI에 발 들이면 SI만 하게 되는지 이유를 전 압니다.

    프리랜서들이 SI 가 많죠... 왜 그러냐면, 헤드헌터들 때문입니다.

    구직중이라고 구인구직사이트에 올리면, 헤드헌터들이 기가막히게 찾아서 연락오거든요.

    그래서 그냥 끌려가는 겁니다. 그러다보면 SI에 익숙해져서 거기만 가게 되구요.

    자기 하기 나름입니다.

    2021-12-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286888 앱개발자 / 16년차 Lv 1

    SI보다는 제품을 만드는 회사가 좀 더 개발에 대해서 체계적입니다.

    사실 제품을 만들어보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SI는 제품을 만들기보다 유지보수쪽에 가까울 것 같은데
    실제 상용하는 제품을 만들고, 서비스할때 개발하는 방법은 SI 와 다르다고 생각됩니다.

    2021-12-1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891778 5년차 Lv 2

    si 정직원 비추합니다. 프리보다 좋은 대우받는것도 아니고 페이는 동일 경력대비 초,중급은 2배씩 차이나는 경우도 많아요.

    2021-12-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237665 웹개발자 / 26년차 Lv 3

    어떠 선택을 하시던 결국은 본인이 명품이 되었을 때,
    서비스를 하던 SI를 하던 빛나게 되실 겁니다.

    일단은 자기 능력치 레벨업에 신경 많이 쓰세요~

    2021-12-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150829 웹개발자 / 6년차 Lv 3

    아. 이바닥 고급이라고 설치는 폐급 코더들 너무 많아~

    2021-12-1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246500 앱개발자 / 8년차 Lv 3

    SI 라고 SI 업종만 가지는 않습니다. 다만 그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으니 갈 곳이 그 업종 밖에 없는 거지요.
    중요한 건 업종에 관계 없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입니다.
    자체 솔루션 좋지요. 그것도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있다고 좋은가요? 아닙니다. 회사 자체를 보셔야 합니다. 생각보다 고민할 문제가 많습니다.
    한 방향만 보지 마시고 다방면을 보세요. 신입 때는 잘 모를 수 있으나 경력직이 되면 알 겁니다.
    처음부터 목표가 확고하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신중하게 천천히 알아 보세요.

    2021-12-0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218764 앱개발자 / 17년차 Lv 2

    한번 하면 그일만 계속하게되죠...
    그래서 첫 스타트가 중요합니다.
    빅데이터, 머신러닝, AI 관련 수료하고 이쪽 계통으로 가시는게 부가가치가 높습니다.
    최신트렌드를 배울 수 있는곳으로 가세요.

    2021-12-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462945 웹개발자 / 15년차 Lv 2

    14년차 프리개발자네요. 한마디 하자면 자체솔류션? 그런거 아무 소용없습니다. ㅎㅎ
    저도 처음 시작할땐 자체솔류션 있는 회사 들어가서 보탬이 되고 보람을 찾고 회사랑 같이 커나가고 뭐 이런걸 기대했지만 그런거 없어요 ㅎㅎ. 그냥 돈 많이 받음 장땡 ^^

    현재 고급 개발자 프리단가가 800 이상 입니다. 분석,설계 , PL 역할? 안합니다. 분석 설계까지 하면 100~150 정도 더 받겠죠. 하지만 저는 그냥 머리아픈걸 싫어해서 개발만 해줍니다.
    옛날엔 고급개발자면 분석설계 당연히 해야되는 인식이 있었는데 요즘 아닙니다.
    분석 설계만 하는 직군이 따로 생기더라구요. 요즘 그래서 편합니다.

    자 그럼, 현실적으로 막 개발자가 된 초급 개발자는 뭘 해야할까요. 제경험을 바탕으로 간단하게 설명할께요.
    어느 회사던 정직으로 아무대나 들어가세요. 거기서 현재 IT 개발에 쓰이는 툴들을 경험하고 배웁니다.
    집에서 공부해서 간다? 다 소용없어요. 현장에 가서 직접 고참들한테 욕먹어 가면서 배우세요.
    그렇게 2년을 구릅니다. 월급 쥐꼬리 만할거에요. 첨엔 그래요.

    그리고 절대 운영업무를 맡지 마세요. 무조건 SI만 하세요. 다양한 UI 툴과 업무를 경험해야되요.

    3년차가 되면 이직을 무조건 합니다. 이제 연봉올려야죠 ㅎㅎ 이직할때마다 연봉 500씩 올리세요.
    면접자가 물어봅니다. 왜 500 올리길 원하냐고 하면 이직해서 올려받는다 하면 다 수긍합니다.
    나도 그랬으니 ㅎㅎ

    그렇게 1년에 한번씩 이직합니다. 이직하면 연봉이 500 올릴수 있는데 회사에 남아서 연봉은 100만원도 안올려주거나 동결입니다. 굳이~ 정때문에? 그런건 버리세요. 무조건 이직~ 5년차때까진 이직 합니다.

    6년차 프리전향 합니다. 일하는거? 똑같아요. 겁먹지마세요
    - 6년차 월 400
    - 7년차 500
    - 8 ~ 10년차 600 ~ 700
    - 10년이상 700 이상

    분석설계도 하고 pl, pm 도 해서 더 벌수 있겠지만 굳이~
    그냥 칼퇴해서 내생활 즐기면서 사는게 장땡~

    2021-12-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067072 4년차 Lv 5

    저는 무엇이 중요한 선택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제가 이해하고 있는 정보만 공유합니다.

    서비스기업은 기술과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이익에 직접연관 됩니다. 그렇기에 채용과정에서 이를 검증하려합니다.

    저는 이 검증 지표를 세가지로 생각합니다.
    도메인의 전문성
    기술구조의 이해도
    운영 안정화

    도메인은 유사서비스 개발경험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해당 도메인에서 주로 사용하는 지식을 이해하고 있는지 파악하려 하겠죠. 예를 들어 위치기반서비스이라면 좌표색인정도는 질의할 것 같습니다.

    기술구조 이해도는 보통 코딩테스트로 언어이해도 및 알고리즘 이해도를 파악하고, 경력기술서에 기입된 기술스택을 기술면접에서 파악합니다.

    그 외 항목은 기업별로 검증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서비스의 최소 트래픽 조건들을 제시하고 아키텍쳐 설계를 과제형식으로 요구한 회사도 있었습니다.

    재밌는 것은 검증방식들이 매년 대동소이하게 변화한다는 점 입니다. 선생님께서 근무환경을 바꾸고 싶으시면 3년이 채워지기 전에 적어도 일년전부터 채용과정을 도전하셔서 경험을 쌓으시길 추천드립니다.

    2021-12-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746935 네트워크엔지니어 / 22년차 Lv 2

    SI 업체 .. 외부일경우 고객 성향, 일정, 결과물의 수준, 예산 수준에 따라 다르겠지만.. 힘들어도 경험을 쌓는다고 생각하면, 얻는것도 많습니다.
    경험 쌓고나서, 커리어 패스를 고민해도 늦지 않을것 같습니다. ^^

    2021-12-03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