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자재, 생산, 재고관리 질문드립니다.

조회수 1,025 2021-11-06 작성



안녕하세요 요새 직무 고민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회사가 개편되고 나서 기존의 업무와 병행하며 지금 다른 업무를 하고 있는데요.(기존 업무 30% 다른 업무 70%) 

원래 하던 업무보다 흥미가 있어서 이쪽 직무로 경력쌓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확히 제가 무슨 직무를 하고 있는지 모르겠어서요...

 

제가 하고 있는 업무를 간략히 말씀드리면, 공장에서 제품생산을 위해 필요한 자재들을 발주 넣고, 생산에 필요한 띠지같은걸 프린트하고, 생산이 얼마나 진행되고 있는지 파악하여 완제품을 창고에 보내고, 이카운트 ERP로 재고관리도 진행하고 있고 외부 거래처 관리도 하고있습니다.

 

하는 업무 자체의 난이도는 높지않아 물경력이 될까 두렵기도하고... 제가 지금 가지고 있는 경력과 직무들로 지원할 수 있는 직무는 무엇인지 고민이 많이됩니다.

아는 분들께 여쭤보면 구매직무는 모든 회사에서 채용하니까 구매자재관리사(KPMA)를 취득해서 구매관련 직무로 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조언을 들었는데, 구매직무와 제가 하고있는 직무가 연관이 있을까요?

두서없이 글써서 죄송하고, 도움 될만한 말씀 있으면 충언부탁드립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
  • 프로필 이미지 mentor0579697 구매관리자 / 33년차 Lv 1

    간략히 말씀드리면 구매 직무의 전문성은 떨어진다고 생각됩니다. 구매업무의 범주가 넓어서 구매관련 법규 예를들면 공정거래법, 상법 등도 습득을 하여야 하며 구매자제관리사를 취득하면 도움이 되기도 하겠지만 구매자재는 현장에서의 노하우가 많이 필요하며 대인관계에 있어서도 협상력과 원만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테크닉이 필요하다고 생각 됩니다.

    KPMA를 취득하면 아무래도 구매업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대학에서 법학이나, 경상계열 등을 전공하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만 구매 제일의 특성은 위에서 말씀드린 테크닉과 노하우가 필요한 만큼 지금의 경력과 경험에 전문적인 공부를 해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단순 주문형태의 발주는 구매업무라 보기 어렵습니다. 구매업무는 제품의 선정, 구입가격, 협상, 조달, 사용, 사용품질의 확인, 거래처의 다변화 등 업무가 많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2021-11-0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514961 MD / 6년차 Lv 3

    완전히 없는거 같지는 않는데요... 근무하시면서 자격증따시면 좋을듯 합니다

    2021-11-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492857 생산직종사자 / 11년차 Lv 1

    전반적인 업 무를 하시는듯 생산관리 업무에 자재구매가 더해진 업 무인듯 합니다 제가 봤을때는 충분이 연관이 있는듯 합니다

    2021-11-08 작성
  • 구매 업무 일부분과 연관이 있습니다.
    구매업무는 , 업체 소싱, 단가 확정, 구매 발주, 입고, 자재관리, 업체 관리등 업무입니다.
    업무하면서 공부하고 컴퓨터(액셀) 자격증도 따면서
    한가지씩 넓혀나가면 도움이 됩니다.

    2021-11-06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