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비전공자 회계쪽 취업준비 질문드립니다 !

조회수 7,032 2021-06-26 수정
안녕하세요 !

작년에 여행사를 반년정도 다니고 코로나로 어려워지면서 퇴사한 취준생입니다~!
제가 진로를 회계쪽으로 정하고 작년 12월부터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일단 저의 부족한 스펙입니다.. ㅠ

4년제 관광경영전공, 25세 여자입니다.
자격증은 전산세무1급과 2급, 전산회계1급, tat2급, fat1급, 컴활2급, mos엑셀, 2종 운전면허있습니다.

회계쪽 직무경험은 없습니다..

1. 자체기장하는 기업회계팀으로 가고싶은데 요즘 경쟁률이 기본 200대1인것같습니다..
현실적으로 전공자분들이 유리하실것같은데 비전공자들은 힘들까요??

2. 현재 전산세무1급이 있습니다. 재경관리사를 따고 토익을 해야할지, 바로 토익공부를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3. 처음부터 자체기장하는 회계팀으로 들어가기 힘들다면 일단 모든걸 세무사사무실에 맡기는 작은회사 경리로
들어가서 추후에 이직해야할까요? 아님 세무사사무실에서 경력을 쌓고 일반기업으로 이직하는것이 좋을까요??

일반기업에선 세무사사무실경력을 인정안해준다는 이야기가 있어서요 ㅠㅠ

4. 세무사사무실 취업도 생각하고있습니다. 하지만 박봉, 야근, 주말출근 등 힘들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세무사사무실을 다니게된다면 장점이 있을까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답변부탁드립니다 ㅠ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1
  • 프로필 이미지 mentor6370972 시설관리자 / 16년차 Lv 3

    1.거의 시작을 중소기업에서 차근차근 올라가는거라 이직률이 많은만큼 공백을 메워야하는 일자리는 많습니다 배워야죠

    2.어차피 취업이 먼저이기때문에 자격증이 우선이라 세무1급있는데 궂이 중복해서 취득할 필요는없다고 생각합니다

    3.일반기업도 어차피 기장을 맡깁니다 세무사도 경력쌓긴 좋지만 봉급이 적습니다

    4.일반기업에 취업이되면 그쪽으로 가세요 하지만 전문적인 세무사사무실서 일하는것도 나쁘지 않죠 선택은 이게맞다 저게 맞다가 아니라 흐름을 타는것입니다 장단점이있습니다

    2021-07-2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782629 재무담당자 / 7년차 Lv 2

    1. 전공자가 당연히 유리하지만 비전공자들도 일반 기업에 많이 있습니다.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2. 재경관리사를 꼭 따야 할 이유가 있으신가요? 없으면 영어공부 추천드립니다.
    3. 세무사사무실 말고 일반기업으로 바로 가시는걸 추천합니다.
    4. 기장 그 이상의 경험을 하긴 힘들겠죠. 일반회사는 기장 뿐만이 아니라 의외로 많은 것을 하게 된답니다.
    일반회사에서도 기장만 하는 사람은 없어요. 기장은 기본이고 그 외 추가적인 업무를 하게 되죠. 배움의 측면에서는
    비교가 되지 않는 부분입니다.

    2021-07-24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2145886 4년차 Lv 1

    저는 세무사사무실에 근무하다 일반회사로 이직했는데요,
    일반회사 회계팀에 근무하실거면 일반회사에 먼저 근무하시는것을 추천드려요
    별로 세무사사무실에서 하는 업무가 일반회사에서 많은 도움은 안되는것 같아요.
    아에 도움이 안된다 이런말은 아니고 일반회사업무와 세무사사무실의 업무가 교집합이 적고,
    세무사사무실에 다니면 전반적인 세무관련 지식 및 업무를 배울수는 있어요,
    세무사사무실에 따라 야근 및 박봉이 있지만 3년이상 경력을 쌓으면 똑같이 작은 일반회사에 경리로 근무한 사람보다는
    월급을 더 많이 받을 가능성이 큰걸로 알아요

    2021-07-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161337 회계담당자 / 5년차 Lv 2

    세무사사무실 경력은 정말 회사에 따라 다른거 같아요
    개인적으로 저는 사무실경력 인정안해주거나 선호도가 떨어지는 회사에만 재직했었어요!
    같은 학교 세무회계과를 나온 저와 제 친구는 첫 회사에서 세무사사무실에 맡기는 곳과 자체기장인 회사로 갈렸는데
    맡기는 곳에 갔던 친구는 그 뒤로 계속 맡기는 곳만 다녔고
    자체기장인 회사로 갔던 저는 계속 자체기장인 곳으로 갔습니다.
    사실 처음부터 비전공자에 자격증 갖고있는 신입에게 전부 맡기는 경우는 없으니
    선택을 잘 하셔야 될 것 같아요.

    2021-07-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306536 회계담당자 / 9년차 Lv 1

    일반기업에서 세무사사무실 경력 인정 안 해줍니다.
    이번에 세무사사무실 경력 인정해주고 경력직으로 뽑은 사례가 있었는데
    반기 결산이라 세무조정을 해야하는데 이 친구가 법인세는 해봤는데 세무조정은 안 해봤다는 소리를 했습니다.
    이게 무슨 되도 않는 소리인지 . .

    애초에 일반기업 도전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특급 호텔 회계팀 들어가시고, 경력 쌓으신 다음에 이직 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2021-07-1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002402 회계담당자 / 9년차 Lv 2

    전산세무 1급까지 있으시면, 중소기업 면접보셔서 자체기장 가능및 신고 가능을 어필하시고, 세무사가 받는 수수료를 본인 급여가 되게 바꾸세요!!
    생각보다 자체기장 하는 중소기업이 많고, 신고만을 위해 세무사 사무소 쓰는곳이 많습니다!!!

    2021-07-1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982609 회계담당자 / 26년차 Lv 1

    안녕하세요 코로나가 여러 사람들을 힘들게 하네요.
    관광경영 전공에 전산세무, 전산회계 자격증까지 보유하고 계시니 전공자들과의 스펙에서 크게 밀릴 것 없다고 봅니다.
    기업회계에서는 실무가 중요하니 가지고 계신 스펙으로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습니다.
    좋은 결과가 있기를 응원합니다.

    2021-07-13 작성
  • 세무사사무실이랑 기업.. 서로 경력인정을 크게 해주는거 같지는 않아요 ㅠㅠ 전반적으로 많이 알고 경험한 건 플러스요인이지만, 처음 들어가실때 어느쪽으로 쭉 갈 건지 마음을 잡고 가시는게 좋을 거 같아요.. 저는 세무법인 희망이였는데 사무실마다 케바케도 너무 심하고 너무 잦은 야근과 박봉에 날리는 기회비용이 크다 생각해서 일반기업 다니고 있어요

    2021-07-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070423 경영·비즈니스기획 / 32년차 Lv 4

    회계 관련 자격증 등 열심히 노력하고 계시네요. 코로나로 신규 채용의 문이 좁아서 정말 인타까운 현실입니다.
    우선, 대기업이 불가능하진 않으니 자신감을 가지고 준비하시면 합니다.

    저는 현재 헤드헌터로 면접관으로 활동중이며 대기업의 회계팀 임원 경력이 있습니다.
    준비에 정답은 없지만 제 생각으로는, 토익 공부와 회계팀의 인턴으로 커리어를 준비해 가시면 좋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인턴의 경험이 자소서의 스토리 구성에 큰 도움되고, 실제 면접에서도 많은 도움이 되므로 인턴을 통해 경험의 축적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
    세무사무실의 경우, 기장관련 다양성은 인정받을수 있겠으나 일정규모 이상의 회사의 경우 그 경력을 높게 인정은 해주지는 않는게 현실이어서 별도움이 되지 못할것 같습니다.

    자격증 준비 등의 노력에, 아직은 나이도 괜찮으며 비전공이라고 안되는건 아니니 차분한 준비로 좋은 결과가 있으시길 희망합니다.

    2021-07-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45730 인바운드상담원 / 12년차 Lv 2

    저는 비전공자에요
    공기업에 다른 직군으로 입사했었는데 팀에서 막내이다 보니 추가적으로 조금씩 정산업무를 했었어요
    1년정도 지나고 어느날 경영지원팀 팀장님께서 제가 꼼꼼하게 업무를 잘하는것 같다며 같이 일해보자고 제안하셨고 일종의 스카우트? 되서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정산업무를 하게 되었어요
    아무래도 비전공자이다보니 전공자나 오랜기간 경험한 사람들보다 확실히 손이 느리고 이해력이나 적용능력이 다소 떨어지는 걸 느꼈어요. 전산회계 1급을 배우려고 학원을 다녔는데 이상하게 전 더 헷갈리더라구요.
    그래서 남들보다 더 오랜시간 일하며 더욱 더 노력했어요. 그러다 일자목과 혈압이 오르는 등 몸이 아팠죠.
    결론적으로는 회사를 관두게 되었는데요. 공기업 2년 회계 경력이지만 확실히 좋은 회사에 취업이 잘되었어요.
    공기업에서 체계적으로 일을 잘배웠을거라는 이미지가 한몫했어요.
    그래서 제가 느낀건 확실히 전공자, 자격증 이런것도 중요하지만 어디서 일했는지도 굉장히 중요하구나 느꼈답니다.

    2021-07-09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