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첫 직장인 만큼 이직 고민입니다.

조회수 5,142 2022-01-18 수정

저는 작년 9월에 입사하여 현재까지 직장을 다니고 있습니다. 첫 직장인 만큼 어디든 괜찮다는 신입의 마인드 때문이였을까요? 그당시 공고가 별로없었던 터라 아무 곳이나 들어가자는 마인드로 찾다가 꽤 큰 베이커리에 들어갔습니다. 월 8회휴무 월급은 185만원 아침 8시 출근 오후 5시 퇴근이지만 퇴근은 사실상 6-7시에 정말 늦으면 7시반 8시 퇴근을 하구요. 버스를 타고 출근을 하게되면 20-30분 버스타고 다니는데 버스 시간이 극과극이라 타게되면 7시10분~30분즈음 회사에 도착합니다. 퇴근이 6-7시 저희의 일이 다끝나고 다음날 할 일들을 생각하고 발주넣고 모두들 인사하고 퇴근을 합니다. 칼퇴는 한손가락에 꼽을만큼 적구요. 저는 첫 직장이라 다른 직장에 대해서 잘모르겠어서 그런데 원래 이렇게 칼퇴라는게 없을까요? 같이 다니던 직장 상사분들은 다들 이직하고 요즘은 일하는 사람도 더 적어졌습니다. 사람의 비해 빵도많고 그래서 늦게끝나는 탓인지 다들 어차피 이래봤자 늦게끝나는거 여유부리게 하는탓인지 왜 늦게 끝나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여기서 더버틸수있을까요? 이직하는게 맞는걸까요? 아직 퇴사라는거 이직이라는걸 해본적이없어서 두렵기도 무섭기도해 이렇게 글 남겨봅니다. 여러분들이라면 이곳에서 1년을 버티실건가요?


*이렇게 많은 분들이 관심가져 주실줄 몰랐는데 감사합니다. 음 일단 설명을 드리자면 같이 일하는 분들과의 사이는 굉장히 좋습니다. 근데 직접적으로 저와 어깨부딪히며 일하는 선임분과 사이는 좋지만 그분께서 일을 잘 못해서 거의 제가 신입들을 알려주고 시키고 일도 웬만한건 다합니다. 그리고 제일 위에 팀장이라고 하나요? 그분께서 스케줄을 작성하는데 원래 이렇게 스케줄이 한달이면 한달 스케줄이 안나오고 나눠나오나요? 다른곳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스케줄이 바로바로 잘안나와서 그점이 참.. 아직 이직을 할거다 뭘 할거다 정하진않았지만 그동안 1년이상 다니신분들이 하나둘씩 그만두고 (저 약5개월 다니는동안 그만두신분만 5-6명이상 나머지는 1년도 못버티고 나가거나그렇구요) 점점 그래서 의욕이 떨어지는걸수도 있겠네요ㅎ 음 어렵지만 좀 더 댓글들 보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50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40603 요리사 / 7년차 Lv 4

    나오세요..일단 그정도는 어디가서도받으실수잇습니다
    스트레스받으며일안하셔도되요

    2022-01-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444340 인바운드상담원 / 7년차 Lv 1

    일단 아르바이트도 아닌데 일하는 시간과 노력에 비해 급여가 많은 편이 아닌 것 같아요. 다른 분들도 말씀하셨지만 요새는 정해진 근무 시간을 초과하면 당연히 수당을 주는 게 맞고, 수당을 주지 않으려고 칼퇴시키는 회사도 있어요.



    지금 최저 시급도 올랐잖아요. 글쓴이 님이 아홉 시간 가량 근무한다고 가정하고 한달을 20일로 단순 계산을 하더라도 162만 원이에요. 여기에 주휴수당이나 추가 근무 시간 수당을 합하면 185만 원보다 충분히 더 받으셔야 된다고 생각해요.



    첫 직장이라 이직이 더 고민되실 수 있지만 본인이 판단하기에 아닌 것 같다면 빠르게 이직해서 다른 좋은 곳에서 스펙을 쌓는 게 맞을 것 같아요. 저라면 신입의 마음이기 때문에 다른 직장에서 더욱 더 잘하실 거라고 믿습니다. 퇴직이나 이직이 꼭 나쁜 것은 아니니까 두려워하지 마시고 글쓴이 님에게 앞으로 도움이 되는 일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시고 더 나은 쪽으로 결정하셨으면 좋겠어요.

    2022-01-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630585 매장관리자 / 3년차 Lv 2

    흠....솔직히 전 부럽네요.. 전 시까지 출근해서 10시에 퇴근 합니다...거의 출퇴근 2시간 걸리고요. 원래 시작은 다 힘든거 같아요...그래도 퇴직금은 받아야죠!! 안 받으면 그거 회사 기부인데...ㅠㅠㅠ

    2022-01-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세잎클로버 요리사 / 13년차 Lv 5

    일단 칼퇴하는 회사가 있고 못하는 회사가 있지만

    예전이야 조금 늦어도 그러려니 30분 정도는 늦게 퇴근했지만 요즘은 늦은만큼 오티를 받아야 하는게 정상입니다

    오티없이 매일 30분 이상씩 연장근무한다???그거 법으로 걸립니다

    말씀 한번 해보시고 오티 안챙겨준다고 한다면 그냥 이직하세요

    그런곳에서 굳이 시간버릴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님이 보시기에도 사람들이 일부러 늦게끝내는게 아닌가???일을 질질 끄나???라고 느껴지는 분위기의 직장이라면 하루빨리 나오세요 글쓰니도 그 분위기에 휩싸이면 나중에 그게 몸에 베여서 타업장에 가면 힘들어집니다

    어딜가나 주방 분위기에따라 일이 힘들어도 다같이 으쌰으싸하고 열씨미 하는곳도 있고 일은 안힘든데 이상하거 축 처지고 힘없이 그냥 시간 흘러가는대로 일하는곳이있고 다양한 분위기의 주방이 있습니다 이왕 일하시는거 좋은 분위기에서 긍정적이 느낌을 받으면서 일할수 있는곳에서 일하시는거 도움이 될꺼예요~

    2022-01-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730992 요리사 / 10년차 Lv 2

    곧 6개월이시니까, 퇴사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베이커리라고 다 늦게 가거나 하지 않습니다. 제가 있었던 카페도 베이커리 칼퇴했습니다. 늦게 가면 수당 챙겨 줬구요. 지금 다니시는 곳이 별로인 거 맞습니다. 다들 칼퇴하려고 난리고, 늦게 가는 일이 없도록 했습니다. 수당을 챙겨줬다면 나쁘지 않겠지만, 안 챙겼다면 고려해 보세요. 하지만 또 이 일에 처음이시고, 경력이 없으시다면 개인적으로 1년은 다니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경력, 생각보다 나중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이력서에 한줄이 정말 큽니다. 생각 잘하셔서 결정하시고, 6개월이든 1년이든 화이팅 하시길 바랍니다.

    *1년까지 이제 8개월정도 남으셨어요 버티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원래 3,6,9 이렇게 퇴사맘이 생시는데 상황이 안 좋으셔서 더 그런 것 같습니다. 일단 퇴사는 답입니다. 1년을 버틸건지 아닌지는 작성자님 선택입니다.

    2022-01-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120391 요리사 / 10년차 Lv 2

    고만고만한 업계라고 해도 더 나은 곳이 있습니다 다음 회사에 갈때 잔업이 있는지 있으면 수당이 나오는지 칼퇴 하는 분위기인지 근태관리가 지문찍고 급여명세서에 반영되는지 확인해보고 입사하세요

    2022-01-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420144 품질관리자 / 3년차 Lv 1

    일단 베이커리는 칼퇴가없어요.
    형식상 정해진 시간이지. 시즌때는 출근시간도 다를겁니다.
    제빵 자체를 처음 접해보신거같은데.
    상사가 그만두고 비슷한 연령끼리 일하는건 능률이 안오를뿐.
    말 그대로 하는 사람만 하게 될수도 있습니다.
    n년차 제빵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그냥 기회있을때 나오셔서 다른 곳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추가근무수당 안받으신다면 1년채워도 퇴직금은 글쎄요 ..

    2022-01-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970252 요리사 / 7년차 Lv 1

    어차피 지금까지 버티신거 1년 채우시고, 퇴직금 받으시기를!!!
    그리구 추가근무수당은 강력히 말씀하셔서 받으세요.. 그건 아닌거 같음

    2022-01-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761040 요리사 / 5년차 Lv 1

    아직 일한지 얼마안됬네요 경력이 낮을땐 좋은 선배를만나서 같이가는게 최선이고 사람들이나가는매장에는 문제가있는법이라고생각합니다

    2022-01-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248512 요리사 / 13년차 Lv 3

    나오세요.. 일단 상사가 그만둔다는건
    문제가 많은회사입니다
    초에는 사람많이뽑아요
    빨리퇴사하고
    몸 풀린다음에 이직하세요
    더좋은 환경은 많습니다.

    2022-01-12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