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체계가 잡혀있지않은 소규모회사 해썹

조회수 3,340 2020-06-16 작성
다른일을 하다 요번에 식품회사신입으로 입사했습니다! 근무한지 얼마 되지는 않았지만 소규모 회사여서그런지 품질관리가 너무 안되있는거 같습니다 품질관리로 일하시던분이 원래 없었고 인수인계나 업무에 관한건 설명해주시는분이 없습니다 아무것도 체계도 잡혀있지도 않고 서류정리도 되어있는게 없는거같습니다 소규모 해썹준비중이라는데 신입인 저가 감당할수있을까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38
  • 프로필 이미지 mentor8744852 품질관리자 / 10년차 Lv 1

    퇴사 해요.. 거기서 개 고생 한다고 한들 품질 잡힐거 같음?? 또한 품질을 어느정도 수준까지 끌어 올렸다고 칩시다.. 공로로 인정해 줄거 같음?? 나이가 좀 어리시면 공부 더 해서 최소 200명 이상 되는 중소 이상 회사 다시 들어가서요.. 조옷소기업이 괜히 조옷소 기업이 아님다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973475 품질관리자 / 19년차 Lv 2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가춰야할 조건 및 서류가 업청 많은데 혼자서도 힘들지만 경력직도 아닌 신입이 혼자하서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듯 합니다.
    특히 각 부서와 협업해서 만들어야 할 자료 및 현장 개선건이 많은데 그게 가능할까요?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605832 포장·가공담당자 / 3년차 Lv 2

    대기업 식품 업계에서2년정도 일을 했었습니다 식품 계열은 대기업 이 아닌 소규모 회사라면 추천 해드리고 싶지않습니다.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892165 품질관리자 / 13년차 Lv 2

    ㅋㅋ 품질관리 업무로 15년정도 근무한 선배입니다 사람들이 왜 삼성 현대 LG에 목메는줄 아시나요?? 그만큼 잘 되어있고 고액연봉 복지 업무 프로세스 체계등 배울게 많다는거죠 그런 소규모 업체 품질관리에서 아는것도 없는데 뭘 운영하고 품질관리를 하겠어요 그렇다고 잘 알려줄 사람도 없는데 개인적으로 품질관리에 알고 싶으시면 연락주세요
    톡아뒤 : hari76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497203 요리사 / 4년차 Lv 1

    해섭 컨설팅...받으셔야죠.....;회사측에서 ㅜ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357046 3년차 Lv 1

    컴퓨터 엑셀 한글 서류 만 능숙 하다면 차츰 충분히 할수 있을거 같습니다.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700050 품질관리자 / 12년차 Lv 2

    사회 초년생때 저 또한 식품 품질로 첫 품질 업무를 경험했습니다. 식품업계가 중소기업의 경우 열악한 환경의 업체들이 대부분이죠.. 저는 당시에 경리 업무 빼고 다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명함은 품질관리인데.. 실제 업무는 생산지원, 납품, 자재입고, 대기업 오디트때만 가라서류 작성 등.. 잡스러운 일들이 대부분이였고, 그렇게 2년을 버텨 전자부품회사 품질로 운 좋게 이직했었던 기억이 있네요.

    감당하고 말게 없어요. 식품쪽은 저부가가치 상품 제조업이다보니 매출도 고만고만하고 연봉 또한 엄청 낮습니다. 식품 중견급아닌 이상 개잡부고용이라고 보시면 되요. 다른 진로를 알아보시던가, 아니면 저처럼 이악물고 버티고 이직을 하시든가 하세요.

    어느덧 품질 경력 13년차가 됬네요. 지금 생각해도 중소기업 식품회사 이직해서 탈출한건 제 인생 신의 한수였습니다..

    힘내세요

    2020-06-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315813 설치·수리기사 / 7년차 Lv 3

    보통은 소규모 업체 해썹 진행할시 위탁업체와 계약해서 진행을 합니다. 인증취소가 되거나 하면 그 타격이 꽤 크니까요. 업체측에서 보완해야할 점이나 서류작업 같은거 알려줄겁니다. 방충 방서도 보는 부분인데 그것역시 해당 업체에서 언질을 줄겁니다. 크게 보면 시설 위생 점검 한다 보시면 됩니다.

    2020-06-16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