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퍼블리셔 파견직에 대해

조회수 2,338 2020-06-16 작성
안녕하세요! 디자인을 하다가 퍼블리싱을 배워서 이번에 퍼블리셔로 직장을 알아보고 있었는데요. 알아보던 중 대기업의 파견직 공고가 떠서 면접을 보고 합격해 출근일이 정해지게 되었습니다.

사실 기업의 네임밸류가 너무 달콤해서 파견직이어도 상관없다 생각했는데 오늘 알아보다보니 파견직이 경력인정이 안될 수 있고 파견직이 상주 프리렌서일 경우가 많다고 알아보라고 하더라구요....

아직 계약서 작성은 하지 않았고 다음주 월욜에 계약서를 처음 보게 됩니다. 혹시 계약서 내용에 프리렌서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그리고 정말로 퍼블리셔는 대기업의 경우 파견직일 때 경력인정이 되지 않나요? ㅠㅠㅠ 절박하고 마음이 팍팍해지네요....하반기가 어찌될지 모르는데 잡을 수 있는 동앗줄이 이것 뿐이란 것도 너무 절망적이구요...하....ㅠㅠㅠㅠㅠㅠ
답변이 궁금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30
  • 프로필 이미지 mentor6800297 웹퍼블리셔 / 17년차 Lv 2

    기업에서는 여러가지 사유로 근로자와 별도의 계약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력서나 경력기술서에 `발주사` 혹은 `발주처`로 단위 계약 근로 제공의 사용자로 기업의 이름을 올릴 수 있으며, 당연히 이는 경력으로 인정됩니다.

    대기업에 파견을 나가는 경우 기업의 보안 유지 정책에 따라 제작물을 갖고 나올 수 없으니, 경력 증명을 위한 자료는 공개된 웹사이트로 학인할 수 있는 코드나 업무 하시는 동안 익힌 성과에 대한 기술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

    디자이너의 언어를 갖춘 상태에서, 개발자들 및 프로젝트에 조금 더 깊게 관여할 수 있는 도전을 하고 계시다 판단되네요.
    멀리서 응원하겠습니다. ^^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745685 웹퍼블리셔 / 15년차 Lv 3

    그 경력인정 안된다는게
    퍼블리셔로서의 경력인정 유무가 아니고
    회사내에서 직원으로서의 경력인정 유무인거 같네요.

    그런거 아닐까요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899361 웹퍼블리셔 / 11년차 Lv 1

    경력인정 되구요.
    파견직 장단점이 있는데 회사내부 근무시 잡일이 많을수 있는데 파견직은 딱 그일만 하면되서 편한 반면 갑질하는분을 만났을경우 애로사항이 많을 수 있습니다.
    파견직 경력인정 다 되구요.
    갑사에 잘 보일경우 회사에서 함부로 자를수 없기 때문에 연봉협상에서 유리하게 될수 도 있고 엄청 잘되는 케이스는 갑사로 이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014597 웹퍼블리셔 / 16년차 Lv 1

    안녕하세요 누가 그런 소리를...파견직이 경력 인정이 안된다니요;;;;; 저 또한 첫 사회생활을 파견직으로 했는걸요 파견직이고 아니고를 떠나 경력을 쌓기위해 어떤경험을 할지가 관건이고
    그 경험을 어떻게 자기걸로 만들어 나갈지가 관건이라고 생각 합니다 그리고 프리랜서 계약서가 따로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부분은 계약하실때 직접 여쭤보셔도 무방할듯 합니다
    힘내세요!!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740433 웹퍼블리셔 / 5년차 Lv 1

    네임밸류 !== 내실력
    특히 파견직의 경우 더욱 그러하며 롱런 하려면 실력이 우선입니다. 대기업 파견직의 경우 직종에 따라 깊이있는 실력 보다는 스피드를 요구하며, 그럴 경우 롱런이 더 힘들겠죠

    2020-06-17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4439094 웹퍼블리셔 / 9년차 Lv 1

    파견직이면 기업에 님을 고용해 파견하는 회사가 있을테니 고용형태를 정확하게 물어보십시오. 정규직인지 프리랜서인지.

    프리랜서라면 경력란에 적을 순 없지만 프로젝트 기술란에 어떤 회사의 어떤 프로젝트를 어떤 직무로 진행했다고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럼 다음 고용에 도움이 됩니다. 경험은 없어지는게 아닙니다.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878502 웹퍼블리셔 / 4년차 Lv 1

    정말 말도 안되는 소리에요!
    첫 직장생활을 대기업 파견직으로 시작했어요
    커리어 인정도 되고 무엇보다 대기업에서 시작하다보니 이직시에도 복지나 연봉에 대한 커트라인이 달라져서 좋은 회사를 찾게되는 눈이 생깁니다!! 파견 계약직일때에는 아마도 많이 여유로울 확률이 높습니다.
    좋은 사람 많이 알아두고 복지도 누리면서 스킬 업 시킬 공부도 같이하세요^^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926953 웹퍼블리셔 / 5년차 Lv 1

    경력에대한건 무슨일을 하나에따라 다른거죠.
    네임밸류있는 회사에서 연관업무했다는거는 그래도 아직까지는 이사회는 경력인정해주는거같습니다.

    단지 파견직이 프리랜서형태인지 계약직의형태인지 면접을 통해 인지해보시고요
    프리랜서 형태라고하면 급여 시세를 잘따져야합니다.
    초급/중급/고급 별 단가가 다달라요.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06060 웹퍼블리셔 / 7년차 Lv 1

    파견직은 말씀하시는 것 처럼 프리랜서로 위촉되는 형태도 있습니다.
    프리랜서로 고용되는 형태면, 월단가(급여) 잘 따져보시구요
    프리랜서 아닌 회사가 채용을 하고 파견보내기도 합니다.

    파견직은 경력인정이 안된다는건 어불성설이구요.
    퍼블리셔 신입으로 시작하는 단계라 장기적으로야 회사에 채용되어서 파견을 나가는게 장점이 많을 수 있겠지만,
    이 업계의 기본은 `내 기술력` 입니다.
    일단은 업무를 시작하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0-06-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113075 웹퍼블리셔 / 12년차 Lv 1

    그럴리가요..
    누가 그런말을 하던가요?
    저는 오히려 대기업 근무 경험이 커리어에 플러스 요인이었습니다.

    2020-06-16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