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커리어 세부메뉴

취업뉴스
취업팁

취업 준비 한 번에 드는 돈은 얼마?

잡코리아 2016-08-04 16:52 조회수6,286

 

 

 

 

 

 

(이미지 출처 =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 DB)

 

1. 취준할 때 가장 아까운 비용은?

  

취업준비하면서 가장 아까운 비용은 ‘어학능력시험 비용’인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가 취업준비생 28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취업준비생의 54.1%는 ‘나날이 오르는 어학능력시험 비용’을 가장 아까운 것으로 꼽았다. 그럼 실제로 한 번 취업 준비를 할 때 드는 돈은 얼마일까.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가 서류부터 면접 전형까지 평균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을 알아봤다.  

 

 

2.서류

 

‘2016년 상반기 OO그룹 채용 공고’가 떴다! 취준생 좋은소는 허겁지겁 모집 요강과 직무를 확인하고 자소서를 준비한다. 아참, 토익이 없지! 부랴부랴 토익 추가 접수(48,900원)를 하고 공부를 시작한다. ‘신토익은 유형이 아예 다르다는데… 망할지도 모르니까 오픽도 봐 볼까? 그래도 어학연수는 다녀왔으니까’ 라는 마음으로 오픽도 결제하는 좋은소. 78,100원이다. 다행히 컴퓨터활용능력시험 자격증(37,000원)은 지난 달에 따 놨다. 2시간에 6,000원인 자소서 스터디로는 성이 차질 않아 유료 첨삭 서비스를 찾아본다. 무려 99,000원. 너무나 아깝지만 한 번의 서합을 위해 손을 덜덜 떨며 결제를 누른다. 그러고보니 아직 제대로 된 이력서 사진조차 없다. 인터넷 후기를 보고 포토샵 달인이라는 사진관에 전화를 해 메이크업 서비스까지 신청한다.(70,000원)  

  

[48,900+78,100+37,000+6000+99,000+70,000= 339,000원]

 

 

3.인적성

 

‘귀하는 상반기 서류 전형을 통과하셨습니다. 인적성 고사실 안내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류합격 메일을 보고 환호성을 지른 것도 잠시, 이제는 인적성 대비다. 대강 20,000원 정도 하는 인적성 문제집이지만 ‘1권만 풀수야 없지’라는 마음에 3권을 구입한다. 초등학교 때나 구해 본 소금물의 농도, 결국 펼칠거면 왜 접는지를 모를 전개도 문제를 풀며 열심히 인적성 고사를 준비한다.  

 

[20,000 X 3= 60,000원] 

 

 

4.면접

 

‘1차 면접 일정을 메일로 확인해주십시오.’ 이제는 합격에 한 발 짝 더 가까워졌다고 문자 메시지가 알려준다. 면접은 다음준데 아직 정장도 한 벌 없잖아? ‘면접 정장 세트’로 검색해 그나마 싸다는 정장을 장바구니에 넣는다. (72,000원) 정신을 차려 거울을 보니 머리가 노란색이다. 집 앞 미용실에서 현금으로 결제하는 조건으로 80,000원에 ‘퉁’쳤다. 어깨를 겨우 넘는 길이인데 기장추가라니 정말 무서운 세상이다. 면접은 스터디를 해야 좋다는 소문에 단기 스터디를 구했다. 대관료는 2시간에 6,000원이라니, 스터디 카페에선 아메리카노를 리필해 먹어야겠다. 부산 토박이인 좋은소, 하지만 OO그룹 본사는 서울에 있다. 고생하고 가지 말라고 어머니가 KTX를 예매해주신다. 왕복 119,600원. 합격하면 첫 월급은 무조건 부모님 드리겠다고 다짐하는 좋은소이다.  

 

[72,000 + 80,000 + 60,000 + 119,600 = 33,1600원]

 

총 비용: 730,600원

 

 

5.취준 비용은 어디서 마련하세요?


위 사례에서 좋은소는 취업 준비 1번에 730600원을 썼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주머니가 텅 빌 만큼 많은 돈을 쓰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취준 비용은 어디서 충당할까. 잡코리아가 같은 조사에서 취업준비에 필요한 돈의 출처는 어디인지 물었을 때, 취준생의 49.4%가 ‘아르바이트’라고 답했다. 땀흘려 번 아르바이트비를 고스란히 취업 준비에 쓴다는 말이다.  

 

1번의 합격을 위해 100%의 노력을 하고 있는 당신!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에서 응원한다.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ㅣ 정유나 인턴 jyn0208@

 

관련글 더 보기

>취업준비생이 직접 뽑은 '취업준비하며 아까운 비용'은?

>지방 취준생들의 고충, "지방 취업준비생이라 힘들어요"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다음글
새롭게 바뀌는 소득공제, 미리 준비해서 13월의 월급받자!
이전글
3단계 직급별 인재를 찾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