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임베디드/펌웨어 직무를 계속할지 고민됩니다...

조회수 2,724 2021-08-06 작성


임베디드/펌웨어로 4년... 대학교 실험실에서 공부한 것까지 하면 더 되겠지만 


최근에 퇴사를 하고 이쪽 분야로 계속해야 하나 고민됩니다.


나중을 생각하더라고 AI나 다른 메타버스쪽 공부를 해서 신입으로 다시 취업하는 게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지금 나이 서른인데 앞으로 계속 임베디드를 한다면 어떻게 될까 하고 5년/10년 후를 고민하면 답답합니다.


이력서를 작성하다 구직 사이트의 모집 파트들을 보니 뭔가 불안하고요.


그래서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교육 활용해서 교육 듣고 해당 분야쪽 신입으로 다시 지원할까 고민중입니다.


서른이면 괜찮겠죠?...  교육 듣고 하면 서른 한살이려나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댓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댓글 2
  • 프로필 이미지 mentor6951051 시스템엔지니어 / 6년차 Lv 5

    임베디드 시장은 이제 곧 끝날거라 봅니다 저도 2년차때 웹으로 전향을 했구요. 확실히 웹이 범위도 훨씬 광범위하고 인력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높습니다. 요즘엔 임베디드에 연결됬던 공장시스템도 CS에서 웹으로 전부 전환하는 추세니까요. 메타버스는 시장이 아직 정착이 되지 않아서 불안감이 있으나 AI의 경우 요즘 수요가 워낙 많은지라 전환이 좋아보입니다.
    AI, 메타버스 시장이 좋아 전환을 추천드리는게 아닌 임베디드이기 때문에 전환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저는 가능한 웹쪽으로 추천을 드리고 싶습니다. 임베디드를 하셨다면 공장관련 업무에 익숙하실텐데 스마트팩토리에 관련된 많은 시스템이 웹으로 구축되고 있으므로 관련경력으로 충분히 도전 가능하시리라 봅니다.

    2021-08-0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268793 시스템엔지니어 / 10년차 Lv 1

    제 나이 30이면 국비과정이라도 AI, BigData 시작해서 경력부터 쌓을 거 같습니다.
    요즘 신입들 포트폴리오, 코딩테스트, 면접 준비하는 거보니 수준이 장난이 아니더군요.

    네카라쿠배가 워낙 뜨겁다 보니, 모든 인재가 거기로 몰리는 거 같습니다.
    예전에 삼성전자, 하이닉스, SK Telecom, KT가 핫해서 거기로 몰려드는 것처럼요.

    아직 나이가 어리니, 도전하기를 권해봅니다.
    스타트 업도 좋으니, 작은 회사에 들어가서라도 경력을 우선 쌓는 게 먼저일 거 같습니다.

    경력이 3년정도 쌓고, 포트포리오(GitHub, 블로그), 코딩테스트(알고리즘, 자료구조), 컴퓨터 과학 전공지식(OS, Network, 자료구조, 알고리즘, 네트워크 등등) 준비하면 후배님도 네카라쿠배 못 들어간다는 보장이 없을 거라고 봅니다.
    왜냐구요? 30이면 매우 젊습니다.

    임베디드 10년차인데, 사실상 제조업이라 중국이나 베트남공장하고 가격 경쟁해야 합니다.
    인건비 싸움이요. 그렇다고 중국, 베트남이 기술 밀리는 것도 아니거든요.

    2021-08-06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