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백엔드 도전하려는 비전공자입니다

조회수 12,438 2020-11-19 작성
24살 비전공자입니다
이제 막 마음을 다잡아 아직 공부 시작은 못했고
백엔드를 목표로 인프런+국비지원 통해 프론트엔드, 자바, 파이썬 등 차근차근 배울 생각입니다

개발분야는 학력보단 능력을 위주로 봐서
경력이 쌓이고 능력을 인정받을수록 연봉이 높아진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어떤걸 보고 그 사람의 능력치를 파악할 수 있는지 입니다
신입을 잘 뽑지 않던데 제 능력치를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와 일을 잘한다의 기준이 뭔지 궁금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9
  • 프로필 이미지 mentor2923849 웹개발자 / 16년차 Lv 3

    10년이상 경력자입니다.
    지금은 본인의 적성, 업무경험, 개발방법 등을 모르시니 무엇을 할것이다라는 목표나 희망만 갖게되실것입니다.

    그런데 업무를 해보면 모바일, 웹, 백앤드 등 나에게 맞는 언어나 업무등을 업무를 느끼실텐데.. 그때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현장에서 5년 경력자라도 게시판도 못만드는 사람 많습니다. 신입을 안뽑는 이유가 몇년을해도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 신입은 더안뽑죠..

    그래도 프로젝트 계약상 사람수는 채워야해서 못하는 사람도 채용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게시판도 못만든 사람이 취업을하고.. 년차가 올라서 몸값도 오르게되고요..

    실제 능력보다는 단순히 년차로 급여가 나누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같은 일을 시켜도 알아서 하는 사람과 알려줘도 못하는 사람은 눈에보이고.. 알아서하는 사람은 다음에 또다시 찾게되고 조금이라도 돈도 더주게되죠..(머리숫자만 채운사람들의 업무를 나누어줘서 일정을 맞출수있는 사람이니까요)

    그리고 단순히 학원과 책을보고 공부하는 것뿐만아니라..
    업무이해 -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 (hw 구성. db 설계. 개발환경구성 등) - 개발 (코딩. jquery / javascript 사용, rest api. xml. json 활용) - 테스트 (요즘 능력자를 구분하는 척도중에 하나입니다. qa가 늘면서 테스트 자체를 안하는 사람들이 많거든요) 이렇게 간단한 홈페이지나 게시판이라도 만들어 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수년간 u+ 프로젝트를 하면서 경력 5년이상 월급 500만원이상 달라는 사람에게 노트북을 주고 개발환경 세팅. db설계. 게시판(파일첨부..에디터..답글적욭) 을 만들라고했을때.. 일주일동안 환경세팅도 게시판도 못만드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github처럼 다양한 환경에서 개발한것을 적용해보시는 것도 좋고요..

    결론.. 좀더 학습과 경험을 통해서 기술과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앞으로의 목표와 계획을 준비하시면 좋겠습니다..

    2020-11-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468028 웹개발자 / 4년차 Lv 1

    깃허브라는 소스 공개 채널을 개설하여 공부하신걸 올려놓으시거나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만드시면 정성스레 만든 사이트를 보고 기업에서 연락이 올수 있습니다. 신입은 잘 뽑지 않지만 가능성 있는 신입은 기회가 많으니 자신을 보여줄수 있는 블로그 및 활동 내역을 잘 정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020-11-2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69690 웹개발자 / 13년차 Lv 2

    백엔드 업무는 스킬도 있어야 하지만 경험치도 중요합니다
    어떤일이 발생했을때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경험치
    스킬업 하시고 어디든 들어가서 경험치를 많이 쌓으세요 ^^

    2020-11-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687940 웹개발자 / 5년차 Lv 1

    1.어떤걸 보고 능력치를 파악할 수 있는가?
    - 사람의 능력치는 개개인 마다 생각하는게 다르고 경력이 많은 사람일지라도 모든 기술을 알지 못하기에 능력치를 파악하긴 어렵지만 그 사람에게 어떤 문제가 주어졌을때 결과물을 기간내에 끝내는지를 먼저 보고 그다음에 처리 과정과 성능을 따져보고 판단합니다.
    그렇지만 제 경험으로는 대한민국에서는 과정과 성능 보다는 기간내에 결과물이 나오느냐 안나오느냐를 가장 중요하게 봅니다.

    2. 신입을 잘 안뽑는 이유
    - 현재 신입을 안뽑는 이유는 현재 코로나로 신입을 교육시킬 여건이 되지 않아 뽑지 못하는거에요
    신입이 일을 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는데 그럴 수 없으니 그런거고 코로나가 잠잠해지면 뽑을거에요

    3. 능력치 키우는 방법
    - 뭐가 됐든 개인 프로젝트 많이 만들고 그 프로젝트를 잘 설명할 수 있으면 됩니다.
    본인이 설계한 목적과 이유, 그 과정에서 어떤 문제가 있었고 어떻게 해결해 보았다.
    위 설명들을 잘 설명할 줄 알면됩니다.
    신입에 대한 기대치는 없어요.
    어떤 노력을 했고 어떻게 해결하려 했는지에 대한 생각만 봅니다.
    어차피 신입이라 성능에는 기대 안하지만 설명해줘도 이해 못하면 가르치기 힘드니까요


    이렇게 프로젝트를 만들어본다음에 cs 지식과 성능에 대한 고민을 해보시면 좋아요
    추가로 가고싶은 회사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시면 진입 장벽은 조금 수월해집니다.

    2020-11-20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0218478 웹개발자 / 5년차 Lv 3

    cs기초지식 + 알고리즘 + 디자인패턴

    이것을 공부하면 됨됨

    2020-11-20 작성
  • 잘한다 기준은 기업마다 다릅니다. 기업이 현재 관심있는 분야와 관련되어있겠죠. 보통 깃허브나 노션으로 지원자의 프로젝트를 봐서 실력을 판단합니다. 관련 분야가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한 여부가 회사가 보는 실력입니다.

    입사하고싶은 회사의 기사와 기업분석을 통해 무엇을 원하는지 자격요건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회사의 기술스택에 맞춰 공부하시면 됩니다.

    2020-11-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886941 1년차 Lv 2

    코드리뷰를하거나, 코딩테스트를 하거나 하는 회사에 들어가는게 관건입니다.
    단순히 면접에서 질문과 답변식으로 진행하거나, 종이1장 짜리 허접한 시험..보는 회사는 기술력이 낮고
    안좋은 회사일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취업후 6개월~1년정도는 안좋은 회사에 있어도 문제해결이나 컴퓨터 적인 사고력은 스스로 개발할 수 있기때문에,
    그냥 저냥한 회사에 가서 1년정도 있다가 다시 좋은회사(코드리뷰를 하거나,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가 있는회사, CTO가 있는 회사 등)에 들어갈 확률이 높아집니다.
    비전공에 국비, 인강만 봐서 괜찮은 회사 들어가기는 솔직히 평균적으로 힘듭니다.
    아니면 생각보다 취준 기간을 늘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포트폴리오를 구조적으로 잘 만들어보세요. 중복되는 코드는 최대한 함수로 빼내려고해보고,
    누가봐도 이런뜻으로 썼구나 하는 코드로 작성해보는 것을 연습해보고, github등에서 외국인들이 쓴 소스를 많이보세요.
    Rest Api로 백엔드를 만들어보는 것도 좋을거같습니다.

    2020-11-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596182 매장관리자 / 6년차 Lv 1

    30살 비전공자입니다. 프론트 + 백엔드 하는 풀스택 과정 국비로 들어서
    지금 면접 보고 다니고 있구요!
    사실 전공에 관련없이 능력이 좋으면 몸값을 높게 뛰어서 이직 할 수는 있다고 하는데
    초봉은 고생하는만큼 받진 못하는 것 같아요. 주위에도 개발자들이 있는데
    한 3년까진 그냥 열정페이다 배우는 기간이다 생각하고 해야 한다고 하더라구요ㅋㅋ
    신입 많이 뽑습니다. 물론 중견기업, 대기업 등은 신입을 뽑을 때 코딩테스트 필수고
    기술면접이라고 해서 관련 기술들을 물어보는 면접도 보구요.
    프로젝트 정말 정말 중요하니 (실력도 실력이지만 프로젝트하면서 협업 능력을 보는거라고 하네요)
    배우는 동안 프로젝트 최선을 다해 참여하세요!
    요즘 채용공고 보시면서 우대사항에 들어가있는 react 라던가 vue, jsp 등등 필요한건
    학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것도 많으니 자발적으로 독학도 겸하시고 프로젝트에 쓸 수 있는건 꼭 쓰시길 바래요!
    자바 기본기가 탄탄해야 다른것도 잘 할 수 있으니 자바 처음에 배울 때 열심히 하시길 바랍니다 ㅎㅎ

    2020-11-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07170 제품디자이너 / 19년차 Lv 5

    개발자는 프로젝트 경력을 많이 본다고 하던데 신입은 그런게 없으니 자격증이나 학교보지 않을까요?
    아님 개인적으로 뭘 개발한걸 제출한다던가?? 보여주는 척도만 있으면 될 것같네요.
    저는 개발자는 아니지만 능력치는 주력언어와 코딩능력에 따라 다른거 같아요. 간단한거 짜보랬는데 못한다거나 에러가 많다던가? 이런게 좀.... 그리고 일을 잘한다는건 굉장히 포괄적인데 뭘 맡겼는데 믿음직하게 척척해낸 다는 것도 있고, 위에서 못잡는거 잡는걸수도 있고, 눈칫껏 하는 센스가 있을수도 있고 여러가지네요.
    기본적으로 회사에서 원하는 핵심 프로그램이나 툴을 잘다루는 사람이 좋지 않나 싶습니다.

    2020-11-19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