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중고신입vs경력이직

조회수 731 2024-01-31 작성

안녕하세요 한국나이 29살 직장인입니다.

현 직장 급여부분에서 제일 불만이라 이직을 생각중인데 어느게 나을지 봐주세요(연봉적음, 연봉인상률 아주적음, 성과금/상여금X)


*경력

- 2년 2개월동안 미국에있는 물류회사에서 수입 및 통관 직무의 인턴

- 귀국후 10개월동안 중견회사 해외영업부에서 근무(재직중/연봉 3천중후반)


1. 중고신입으로 입사

3년의 경력 버리고 현재보다 연봉 높은 회사에 중고신입으로 입사(4천중후반)


2.경력이직

앞으로 현재 직장에서 1년 더 일하고 

인턴 2년 + 해외영업 2년 = 3년 인정받고 이직 


이렇게 고민하고 있습니다.

신입으로 가자니 3년의 회사생활 경험이 있음에도 신입으로 다시 배우고 연차 쌓아가는데 현타올거같고…

근데 또 인턴이 2년(사실상 1년 인턴, 1년 사원느낌)이라 해당 경험을 경력으로 1년이라도 인정해줄지 모르겠네요ㅜ.ㅜ 


현직장에서 배울것은 많고 이력에도 도움이 될 일을 하고 있는 것 같지만 이해할 수 없는 내부 체계 및 낮은 연봉으로 오래 일하고 싶은 마음은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봤을때 무엇이 맞을지 고민입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6573445 해외영업 / 16년차 Lv 1

    같은 직군의 해외영업이 아니라면 저는 1번을 추천해요.
    해외 영업이더라도 직군이 다르면 연장선으로 인정 받기가 쉽진 않더라고요.

    2024-02-1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206669 사회복지사 / 16년차 Lv 2

    첫번째 보단 두번째 안을 고려해 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배울게 많다는건 본인한텐 플러스 요인이고,또 경력도 인정되는 장점을 버리고 이직한다는건 바람직 하지 않습니다.
    연봉도 중요하지만 본인이 해야하는 업무의 역활 수행을 좀더 원활하게 할 수있는 능력을 키우고 난뒤에 이직을 고려하는게 더 나을듯 합니다.

    2024-02-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324387 영업관리 / 15년차 Lv 3

    입사후 텃새는 신입이 적을듯해요.저는 결혼전이면 대기업으로 입사할거 같습니다. ^^

    2024-02-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944411 헤드헌터 / 22년차 Lv 2

    이력에 도움이 되는건 가장 첫번째로 회사(네임드 기업인지)와 업무입니다 물론 연봉도 경력이직시 중요한 부분이긴 하나 기업들은 거의 모두 테이블이 있어 그 안에서 움직입니다 현 직장이 위 첫번째에 해당한다면 경력을 좀 더 쌓아서 추후 보다 규모가 있는 곳으로 이직하시고 아니라면 과감히 연봉높은 중고신입으로 가는것을 추천드립니다 회사규모가 중견 이상이라면요

    2024-02-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381180 R&D·연구원 / 2년차 Lv 1

    아직 어리시기 때문에 연봉높은 신입사원이 무조건 좋죠. 같은 스트레스 받으며 일하는 샐러리맨으로서 무조건 하루 하루 임금 높은곳에서 일하는게 맞습니다. 본인도 급여부분이 제일 불만이라 이직하려고 하는거잖아요? 대신 중고신입으로 가서는 최소3년 경력쌓고 이직해야겠지요. 지금 거기 중소기업 남아서 경력 쌓아봐야 이직할때 전직장 연봉 기준으로 연봉을 메기기 때문에 점프하기 어렵습니다. 무조건 중고신입으로 연봉 펌핑 하시는게 낫다고 봅니다 삶의 만족도도 그렇고. 이상 지나가던 메뚜기였습니다.

    2024-02-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809681 해외영업 / 13년차 Lv 1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경력을 더 살려서 전문성을 향상시키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당장 근시안적으로 연봉만 보고 신입으로 가게된다면 앞으로도 계속 메뚜기처럼 여기저기 기웃거리다가 허송세월 보내다보면 어느새 아무 준비없고 전문성없는 뜨내기 30대 중후반 40대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024-02-01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