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전자공학과 4학년 반도체 직무 관련 질문입니다.

조회수 754 2023-07-07 수정

안녕하세요 경기도권 대학교 4학년 진학중에 있는 전자공학과 학생입니다.

반도체 직무 관련하여 취업 정보를 찾아보고 있는데 진전이 없어 질문남겨봅니다.


Q1.  대체 전자공학과 학사 수준으로 취업 가능한 반도체 분야가 어디인지 의문이 듭니다.


전자공학과에서 반도체 관련 과목은 넘쳐 나고 해당 과목들을 수강 하였는데, 찾아보면 찾아볼 수록 

과연  어떤 분야로 취업이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이런 것이 의미가 있나 싶을 정도로 제한적이더라구요.

전자과 학사 수준에서 취업 가능한 분야는 기껏해야 장비 유지 보수, 공정 에서 끝이 나고 제가 잘 아는 직무들은 

기본 석사 이상부터 시작 하더라구요. 

 

 그렇다고, 반도체 장비로 눈을 돌려보면 화학, 기계공학이 주류를 이루고 있더라구요. 대체 그럼 전자공학과 학생이 반도체 분야로 취업할 때  어디로 취업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반도체에 대해 가장 많이 다루고, 공부하는 학과인데, 실상 찾아보면 다른 학과보다 우선순위가 밀리는 그런 것들을 보다 보니, 그럼 전자과는 석박사 말고는 답이 없나? 


싶기도 하고, 수업에서 배우는 내용은 뭐 그냥 어떤 공학이던 배우는 기초이다 ~ 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고, 학사 수준의 이론과 지식은 어짜피 회사에서 재교육 하니 그렇게 큰 의미가 없다 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이런 것을 보다보면, 공모전이나 대외활동 등 프로젝트가 더 중요한가? 싶기도 하구요, 제가 들었던 강의들은 가벼운 내용이고 절대적으로 중요한건 학점인가 싶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과에서 제가 언급한 직종으로 취업 하신 분들은 그냥 학과내에서 받는 교육 이외의 것을 잘 하는 분들이 아닌가 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 전자공학과 학사는 대체 뭐로 취업하는 거죠...?



Q2. 반도체 장비회사 취업에 대해 궁금합니다.


반도체 장비 유지보수 엔지니어 직무에 대해 찾아보았습니다. 

그런데 궁금한것들이 몇 가지 생기더라구요.

첫 번째는, 반도체 장비이다 보니 화학이 필수적이더라구요.

해당 직무로 취업을 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화학에 대한 전공 지식이 필수인지 궁금합니다.

장비 회사에 취업한 멘토님을 만나보았는데, 이분 역시 화학공학과 출신이더라구요. 


Q3. 전자회로 등 아날로그 등 회로가 도움이 되는 직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4년동안 수업을 들으면서 가장 좋아했고, 성적이 좋은 과목이 회로였습니다.

회로이론1~2, 전자회로1~2 아날로그회로설계(케이던스 툴 활용한 실습 수업)을 수강했고, 가장 흥미있고 재미있었던 과목입니다.


회로설계로 가고 싶었지만, 분야 특성상 박사 과정이 필수더라구요....

학사 수준에서 반도체 분야로 취업을 시도하였을 때 회로 성적이  도움이 될까요..?

사실 반도체 장비 분야로 눈을 돌려본 것도 회로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
  • 프로필 이미지 mentor4322272 반도체엔지니어 / 12년차 Lv 3

    글로 말해주기 힘드네요. 저는 재료공학과 출신인데 회로설계나 평가쪽 일을 하고 있어요. 제 예가 한가지 답이 될거 같습니다. 학사 출신이 갈수 있는 반도체나 전자쪽 업무는 학사때 지식이 업무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업종을 의미합니다. 그러면 문과는 왜 안되냐면 공대랑 사고과정 자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공대에서는 배운 전공과목과 실험으로 치면 목적, 조건, 실험, 결과, 분석의 과정이 아주 익숙합니다. 논리적 추론이랄까 사실 대학교의 교과과정은 그런 능력을 키워주는거라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성적인 측면이나, 성실성, 지적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성적을 보는 겁니다. 그러면 석박사를 뽑는곳과 학사를 뽑는것은 무엇이 다를까요? 그런데는 대부분 전공에서 실제 배운걸 사용합니다. 안쓸거 같은 미분적분도 사용하여 수학적 계산도 하고 회로에 대한 시뮬레이션도 진행하고 직접 실험도 합니다. 물론 학부에서도 노력하여 이런 부분을 이미 해본 경험이 있고 잘 한다면, 자격요건이 되겠지만 이년 이상 그것만 해본 사람과 비교 될수밖에 없지요. 즉, 정리하면 학부생으로 지원할수 있는 엔지니어 포지션에 본인이 배우지 익숙하지 않은 과목이 있더라도 그런 부분은 가서 배워도 충분한 업무이기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석박사가 지원하는 업무는 그만큼 전공 공부를 실제 사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학부생은 안배우는 학문도 배우기에 학부생을 안뽑습니다. 예를들어 회로로 치면 학부생은 옴의 법칙 수준이 끝이고 대학원생은 제어 회로를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으로 미리 실제 회로를 예상해보죠. 또 다른 예로는 의사도 전공의랑 비슷합니다. SMPS로 치면 SMPS는 학부생도 설계할수 있지만 거기서 사용하는 콘트롤러아이씨는 그냥 반도체 회사 제품을 가이드에 맞게 사용하죠? 그럼 그 콘트롤러 아이씨를 설계하는 사람은 석박사들입니다. 학부생이 석사를 안하고 석박사 하는일를 나중에 할수 있는 방법은 경력을 많이 쌓고 아까 말한 전공 공부를 개인적으로 많이 하면 갈수 있습니다.

    2023-07-0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38099 반도체엔지니어 / 14년차 Lv 1

    회로이론,전자이론,아날로그회로설계등을 수강하셨고 EDA에도 흥미가 있었다면 전자쪽에서 physical design(P&R, fullcustomlayout)쪽도 나쁘지 않습니다. 좀 더 회로쪽으로 관심이 있다면 STA 엔지니어도 괜찮습니다.
    회로 성적이 좋고 회로에도 관심이 있다면 많은 어필이 될 것입니다.
    회로를 이해해야 좋은 결과가 나오는 분야들이기 때문입니다. 회사 취업 후에도 본격적으로 설계를 더 해보고 싶다면 그 후에 회사를 통해서 랩실을 들어가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2023-07-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727740 전기·전자엔지니어 / 2년차 Lv 1

    보드설계부분은 학사로도 취업가능합니다. 다만 RF 전력등 일부 전문적인 설계직무는 석사를 선호하기도해요

    2023-07-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563299 시설관리자 / 18년차 Lv 2

    전자는 제가 이제 잘 모릅니다.

    2023-07-08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