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업분석보고서

기업심층분석 3. 한솔제지,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

업데이트 2023.09.22. 조회수 997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지표를 가장 쉽게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회계 보고서다. 해당 기업의 경영진이 회사를 잘 경영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경영실적보고서의 의미를 갖는다. 지원자는 기업의 실적과 재무 건전성을 토대로 현재 기업의 경영 상황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지원 기업에 대해 재무 안전성과 경영 상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한솔제지, 재무제표 분석

Analysis 1. 매출 현황 

한솔제지의 2022년 매출액은 2조 2,135억 원이고 영업이익은 1,500억 원을 기록했다. 2021년에는 1조 6,278억 원의 매출액과 696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며, 2020년에는 각각 1조 4,829억 원과 899억 원을 달성했다.


Analysis 2. 사업 성과

가격 인상, 고환율, 해상운임 안정화 등 세 가지 요소가 적절한 합을 이루며 2022년 한솔제지의 매출액이 크게 상승했고 영업이익 역시 상당히 개선됐다. 2022년 한솔제지가 인상한 제품 가격은 산업용지 13%, 인쇄용지 및 특수지 34%로, 급격하게 증가한 고지가와 에너지 가격, 수출 물류비 등의 원가가 반영된 금액이다. 여기에 고환율 기조가 더해지며 수출로 걷어들인 이익이 급증했다.

2022년 한솔제지 매출액 개선에 큰 역할을 한 제품은 인쇄용지와 특수지다. 특히 인쇄용지의 경우 총물량의 30%를 차지하는 북미 시장 내 사업 조건이 좋아지며 큰 이익을 냈다. 북미 제지업체의 인쇄용지 시설이 노후됨에 따라 한솔제지 제품의 경쟁력이 올라간 것. 여기에 경쟁 중인 중국산 지류 수출품에 대한 반덤핑 제재로 시장 접근성 역시 높아졌다. 또한 특수지의 한 종류인 감열지에 대한 글로벌 수요 증가도 실적 개선에 큰 도움이 됐다.


Analysis 3. 향후 성장성

ICT(정보통신기술) 발달과 기후변화에 따라 종이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가 늘고 있지만, 국내 1위 제지기업인 한솔제지에게는 악재보다 호재로 작용할 이슈가 대부분이다. 특히 신소재 종이와 관련해 꾸준한 성장세가 기대된다. 소비자 인식이 변화하며 기업 역시 ‘친환경’, ‘탈플라스틱’ 패키지에 공을 들이고 있어 한솔제지의 테라바스와 프로테고의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연구 중인 나노셀룰로오스 소재가 상용화됨에 따라 패키징업계의 선두 자리 역시 가능하다. 현재 한솔제지의 매출액을 결정짓는 산업용지에 대한 성장세도 이어질 전망이다.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고 포장재가 고급화되며 특수지 역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200자까지 작성할 수 있으며 허위정보 및 명예훼손, 비방, 욕설, 광고성 글은 운영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기업리뷰 서비스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