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업분석보고서

기업심층분석 5. NHN벅스, TOWS 분석

업데이트 2023.08.04. 조회수 716


 

TOWS 분석이란 기업 외부 환경의 기회와 위협을 찾아내고 기업 내부 환경의 강점과 약점을 발견해,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시키며, 강점을 활용하고 약점을 보완하는 전략 수립을 말한다. 외부 환경에서 유리하게 작용하는 기회 요인, 외부 환경에서 불리하게 작용하는 위협 요인, 경쟁사 대비 강점, 경쟁사 대비 약점이 각각 무엇인지 알아보자.

Threat: NHN벅스의 위협 요인

Analysis 1. 유튜브의 급성장

현재 국내 음원 플랫폼들의 가장 큰 위협은 바로 유튜브다. 세계 1위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와 산하 음악 서비스 유튜브뮤직이 국내 음원 시장에서 질주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2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음악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주 이용 서비스’로는 멜론이 32.8%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유튜브가 28.7%로 2위, 유튜브뮤직은 9.8%로 3위를 차지했다. 전년도까지 3위였던 지니는 4위로 순위가 한 계단 내려갔다. 유튜브뮤직의 성장은 유튜브 동영상 광고를 제거한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 덕이다. 유튜브 측이 프리미엄 서비스 이용자에게 무료로 유튜브뮤직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20대 다수를 유튜브뮤직으로 끌어 모았다.


Analysis 2.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를 위한 경쟁 심화

저작권 등으로 출혈 경쟁하던 음원 플랫폼이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에 나서며 콘텐츠 및 IP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멜론은 직접 제작하는 오리지널 오디오 콘텐츠를 ‘멜론 스테이션’을 통해 제공한다. 다양한 아티스트가 직접 출연해 팬과 소통하는 등 청취자의 음악 감상 폭과 깊이를 더한다. 2020년 6월 론칭 이후 1년여간 누적 스트리밍 4,000만 회를 돌파했다. 지니뮤직은 자회사 밀리의서재와 관계사 스토리위즈와 협업 체계를 구축해 오디오북, 음악 방송, 웹소설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뒤늦게 콘텐츠 사업을 시작한 NHN벅스에게는 점점 심화되는 경쟁이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



Opportunity: NHN벅스의 기회 요인

Analysis 1. 스트리밍 큐레이션 시대

유튜브가 인기를 끄는 것은 음악을 큐레이션해 주기 때문이다. 이런 흐름은 국내 최초의 음원 플랫폼인 NHN벅스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 벅스는 10년간 키워 온 음악 큐레이팅 서비스 ‘뮤직PD’를 활용한 플레이리스트 유튜브 채널 ‘에센셜(essenrial;)’을 운영하고 있다. 에센셜은 벅스가 4년간 운영하고 있는 상황별 음악 추천 유튜브 채널이다. 구독자 120만 명을 보유하고 있는 데다 인기 영상 조회수는 200만 회를 넘는 채널이지만, 저작권법 때문에 수익 창출이 불가능해 마케팅 용도로만 활용됐다. 최근 NHN벅스는 한국공항공사와 전국 12개 공항 주요 공간에 계절별 테마를 담은 에센셜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송출하는 내용의 업무 협약을 체결했고, 해비치 호텔앤드리조트와도 협약을 맺으며 수익 창출을 시작했다.



Weakness: NHN벅스의 약점

Analysis 1. 제휴 통신사의 부재

국내 음원 시장의 대부분은 통신사와의 제휴를 통한 할인 정책으로 고객을 유입시켜왔다. 하지만 NHN벅스는 현재 통신사와 제휴된 곳이 없다. 멜론뮤직은 SKT와, 지니뮤직은 KT 등과 제휴해 고정 고객을 두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고객의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Strength: NHN벅스의 강점

Analysis 1. 남다른 음질을 자랑하는 FLAC 음원

NHN벅스는 국내 음원 서비스 업계 최초로 2009년부터 ‘FLAC’ 포맷 음원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를 시작했다. 현재 약 1,500만 곡의 FLAC 음원을 보유하고 있다. FLAC 음원은 소리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없어 MP3보다 음질이 좋다. 음악 마니아들이 NHN벅스의 음질을 인정해주는 이유다. NHN벅스도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FLAC 고음질 음원 전용 ‘프리미엄 듣기’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마케팅에서도 슈퍼 사운드라는 콘셉트로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으며, 머신러닝을 활용한 음원 검증 기술 ‘소나(SONAR)’를 운영하며 고음질을 인증하고 있다.


Analysis 2. NHN 자회사 적극 활용

NHN 계열사에 편입되면서 이전보다 자회사를 활용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일례로 NHN티켓링크와 협력하고 있다. 티켓링크는 공연뿐만 아니라 스포츠, 연극, 전시 등 다양한 제휴처를 보유하고 있다. 문화생활에 관심이 높은 이용자 풀을 NHN벅스로 유입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양사는 NHN벅스 음악 이용권을 페이코를 통해 결제하는 회원에게 티켓팅크 예매 수수료를 면제해주는 프로모션을 선보인 바 있다. NHN벅스가 자회사와 함께 향후 좀 더 다양한 마케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200자까지 작성할 수 있으며 허위정보 및 명예훼손, 비방, 욕설, 광고성 글은 운영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기업리뷰 서비스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