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업분석보고서

기업심층분석 3.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

업데이트 2022.06.14. 조회수 3,808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지표를 가장 쉽게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회계 보고서이다. 해당 기업의 경영진이 회사를 잘 경영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경영실적 보고서의 의미를 갖는다. 지원자는 기업의 실적과 재무건전성을 살피며 현재 기업의 경영상황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지원기업의 재무안전성과 경영상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 재무제표 분석




Analysis 1. 매출 현황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는 2021년부터 감사보고서를 제출하기 시작하였다. 2019년 매출액은 1858억원, 영업이익은 22억원을 기록하였다. 2020년 매출액은 4154억원, 영업이익은 8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23.5%, 영업이익은 295% 증가한 수치다. 2021년 매출액은 6317억원, 영업이익은 171억원을 달성하였다.






Analysis 2. 사업 성과
주요 수익은 회원 월간 구독료이다. 회원들의 월간 구독 시작시점에 월간구독료를 청구하고 매월 회원가입 기간 동안에 일정 비율로 해당 수익을 인식한다. 넷플릭스는 국내에서 1개월 무료체험 서비스를 없애고, 수익성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전 세계 OTT 시장 점유율 1위로, 가입자 수를 지속해서 확대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여왔다. 2019년 4분기 1억 6,709만명이었던 넷플릭스의 가입자 수는 2021년 4분기 2억 2,180만명으로 급증했다.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 넷플릭스도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와 몰아보기 시청 트렌드를 통해 급성장할 수 있었다.

 

2016년 국내 진출 이후 2020년까지 약 7700억 원을 투자한 넷플릭스는 2021년에도 약 5500억 원의 투자를 진행하는 등 한국 콘텐츠 확보를 위해 힘쓰고 있다.



Analysis 3. 향후 성장성
국내에서도 넷플릭스 이용자 수가 감소하고 있어 성장 정체와 수익성 하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디즈니플러스 등 경쟁사들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어 넷플릭스가 충성 이용자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넷플릭스는 기존 이용자들의 이탈과 수익성 악화를 최소화하는 한편 성장세를 견인하기 위해 자사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기반으로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도 국내 창작 생태계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넷플릭스만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간다는 목표다.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는 요금 인상이나 계정 공유 금지 등과 관련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아시아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계정 공유를 차단해 이용자를 늘리고 전반적인 실적까지 견인하기 위해, 현재까지 언급되고 있는 서비스 개편을 놓고 이용자들의 반발을 면밀히 파악해 추진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필진 ㅣ이창민 잡코리아 객원연구원
에디터 ㅣ임동규 ldk0126@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200자까지 작성할 수 있으며 허위정보 및 명예훼손, 비방, 욕설, 광고성 글은 운영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기업리뷰 서비스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