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커리어 세부메뉴

취업뉴스
뉴스

기혼직장인 몸은 '처월드' 마음은 '시월드'

잡코리아 2016-05-18 10:27 조회수3,073


기혼직장인 몸은 '처월드' 마음은 '시월드'


기혼 직장인의 상당수가 시댁(본가) 보다는 처가 가까이에 살고 있고, 본가 식구들보다 처가 식구들을 더 자주 만나지만, 본인은 ‘처월드’가 아닌 ‘시월드’에 살고 있다고 답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기혼 직장인 702명을 대상으로 <시월드 vs 처월드 인식>에 대해 조사했다. 우선 이번 조사에 참여한 기혼 직장인 중 ‘맞벌이 비율’을 조사한 결과, 전체 직장인 10명중 6명에 달하는 58.7%가 ‘맞벌이’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맞벌이 비율은 20대에서 61.5%로 가장 높았고, ▲30대(59.7%) ▲50대이상(59.7%) ▲40대(56.3%) 순으로 높았다.

 

 

 

직장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자택)은 ‘남편의 본가(시댁)’(30.1%) 보다는 ‘아내의 친정(처가)’(35.2%) 가까이 사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맞벌이 직장인의 경우 ‘처가’가까이 산다는 직장인이 36.7%로 높았다.  

 

반면 외벌이 직장인의 경우는 ‘시댁’ 가까이 산다는 직장인이 36.6%로 가장 높았으나, ‘처가’ 가까이에 산다는 답변도 33.1%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현재 거주지에서 생활하게 된 이유는 ‘직장 가깝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34.8%로 가장 높았으나, 다음으로 맞벌이 직장인들은 ▲집값이 낮아서(16.5%)와 ▲자녀를 맡기기 위해(16.5%) 라는 답변이 높았고, 외벌이 직장인들은 그 다음으로 ▲동네가 좋아서(17.2%) ▲집값이 낮아서(16.6%) 순으로 답변이 높았다.

 

낮 시간동안 자녀의 보육이 어려운 맞벌이 직장인들의 경우 본가보다 처가에 자녀의 보육을 맡기는 경우가 더 많아 처가 가까이 거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미취학 자녀가 있는 맞벌이 기혼 직장인(186명)에게 ‘낮 시간동안 미취학 자녀의 주 보육자는 누구인가’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 보육기관이 응답률 67.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외조부모(26.3%), 친조부모(18.3%) 베이비시터(8.6%) 순으로 높았다.

 

평소 양가 식구들 중 누구를 더 자주 만나는가에 대해서도 ‘처가’ 식구들을 더 자주 만난다는 직장인이 40.2%로 ‘시댁’ 식구들을 더 자주 만난다는 직장인 30.3% 보다 약 10%P 높았다. 즉, 처가 식구들 4번 만날 때 시댁 식구들은 3번 정도 만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정생활에 대한 양가 부모님들의 관여 정도에 대해서는 ‘양가 모두 관여를 안 한다’는 답변이 45.7%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답변은 맞벌이(45.6%)와 외벌이(45.9%) 직장인 모두에서 가장 높았다.  그 외에 맞벌이 직장인의 경우 ‘양가 비슷하다’는 답변이 22.6%로 다음으로 높았고, ‘시댁의 관여가 더 많다’는 답변이 18.4%로 그 다음으로 높았다. 외벌이 직장인 중에도 ‘시댁의 관여가 더 높다’는 답변이 22.1%로 ‘양가 모두 관여를 안 한다’는 답변 다음으로 높았다.

 


  


내가 사는 세상은, 기혼남성 '처월드(28.5%)' 기혼여성 '시월드(41.8%)' 


‘시월드와 처월드 어느 세상에 살고 있나?‘라는 질문에는 직장인의 절반이 ’둘 다 해당하지 않는다(52.4%)‘고 답했다. 반면 ‘시월드’를 꼽은 직장인은 26.4%, ‘처월드’를 꼽은 직장인은 21.2%로 조사됐다.

 

이는 성별에 따라 조금 달랐다. ‘둘 다 아니다’(52.4%)라는 답변은 남성(59.7%)과 여성(44.7%) 직장인 모두에게 가장 높았으나, 남성직장인 중에는 ‘처월드’를 꼽은 응답자가 28.5%로 조금 높았고, 여성직장인 중에는 ‘시월드’를 꼽은 응답자가 41.8%로 크게 높았다.

 

처가에 가까이 사는 기혼자가 늘면서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의 갈등인 고부갈등이 아닌 장모와 사위의 갈등을 일컬는 장서갈등이라는 표현이 등장했는데, 조사결과 ‘고부갈등이 있다’는 답변은 43.3% ‘장서갈등이 있다’는 답변은 25.2%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고부갈등이 있다’는 답변은 맞벌이(41.7%) 보다 외벌이(45.5%) 직장인이 더 높았고, ‘장서갈등이 있다’는 답변은 맞벌이(28.4%)가 외벌이(20.7%) 보다 소폭 높았다.

 

 

현영은 smile@

 

관련 글 더 보기

> 40대 여성 구직 활동자, 작년보다 24% 늘었다!

> 기혼여성 일자리, 연봉보다 '이것'이 중요하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다음글
알바생 85%, 근무 도중 갑질 당한 경험 있다!
이전글
상반기 신입 취업성공률 26.2%에 그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