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스펙 없는 사람인데 첫 직장 눈높이를 어느 정도로 맞춰야 할까요?

조회수 417 2023-03-14 작성

지금 공기업 체험형 인턴 3개월 해본거 말곤 무경력인 30살입니다.


인서울 4년제 전기공학과 졸업 학점 3.79 / 4.5, 준비 되어 있는것도 토익 820 / 전기기사 / 한국사1급 이 다인 사람입니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나이라고 생각해서 전기 관련 공고를 살펴보고 있고 공기업 대기업은 못 오를 나무같아서 중견 중소를 지원하려 합니다.


전기 공사는 제가 버틸 자신이 없어서 첫 직장으로 전기 설계나 공무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시설관리랑 비교하면 그래도 전기 관련 성장할 여지가 있다고 해서요. 그래서 이 중 어느 쪽이 첫 직장으로 좋을지 고민하면서 궁금한 게 몇 가지 생겼는데요..


1. 전기 설계의 경우 야근 박봉 문제가 아직도 그렇게 심각한지랑 전기기사 경력 인정을 안 해준다는게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찾아보니까 설계 경력은 설계 경력으로만 통한다? 그런 얘기가 있더라구요..


2. 제가 지금 전기기사 관련 지식을 많이 까먹은 상태라 다시 공부해두려고 합니다. 어느 정도 수준까지 올려놔야 할까요? 먼저 해둬야할 과목이라던가 필기수준, 실기수준 까지는 해둬야한다던가 하는 선이 있을까요?


적은 나이도 아닌데 준비도 많이 부족해 부끄럽지만 그래도 조언 부탁드립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댓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댓글 1
  •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 학보사 한대신문 소속 학생 기자 김연우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이번 기사에서 `청년 퇴사 현상`을 주제로 다루고 있습니다. 기성세대는 청년들이 첫 직장을 오래 다니지 않는 원인을 `MZ 세대의 나약함과 개인주의적 가치관`이라 보고 있습니다. 이에 기사를 통해 청년 층의 퇴사 현상이 정말로 사회구조의 문제가 아닌 그들의 개인적 문제인지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이에 현재 청년층이 첫 직장부터 원하는 수준의 회사에 취업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당사자의 목소리를 담아보려 합니다.
    인터뷰 방식은 응답자님의 개인정보가 드러나지 않도록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통해 5분 내외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바쁘시겠지만 시간 내어 인터뷰 해주신다면 한대신문 독자와 학생들에게 감사하고 뜻 깊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인터뷰 의사가 있으시다면 아래 오픈 채팅방으로 연락 꼭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open.kakao.com/o/s4OZek3e

    2023-03-15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