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막막하네요

조회수 3,614 2023-02-22 수정
안녕하세요 올해 29, 경력이 거의 없는 고졸 무스펙인 사람인데요...  무력해지다보니 방황도 많이하고 무엇을 해야될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모르는 상태라서 생산직쪽으로 취업해보려고 사람인이나 잡코리아쪽 공고를 보면 대부분이 파견직이던데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요? 취업상담을 받아보니 제가 공공근로 근무중이라 국민취업제도? 도움받으려면 6개월에 가능하다고 해서 답답해서 글올려봅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20
  • 프로필 이미지 mentor6496516 생산직종사자 / 3년차 Lv 2

    현실적인 얘기가 나을까 이성적인 얘기가 나을까 많은 생각을 했네요. 어떤 인생을 살아왔는지는 제가 잘 모르겠어요. 힘없이 흘러가듯 자연스레 아무런 노력도 안하는 상황을 겪어본 이로서 방황한다는 것이 남들에겐 그다지 힘들게 보이지 않는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29의 인생중에 경력, 고졸 이런게 모든것을 비중하고 있지 않아요. 취업과 관련된, 일과 관련된 이부분에만 한하여 비중하고있죠. 제가 당신을 알진 못하지만.. 성별조차도 모르고 있지만 요즈음 취업시기가 굉장히 빨라지고 있고 주변 사람들은 29즈음이면 빠르면 대리도 달 수 있는 나이겠네요. 그 사람들과 같은 미래목적을 갖고 취업을 하려는 생각은 좋지만 출발점이 다른 만큼 지금 당장엔 두려움보단 도전이라도 해봐야 덜 후회스럽지 않을까요? 파견직이라고 하지만 대부분 도급직인 경우도 많고(경력단절) 사무직보단 생산직쪽으로 첫 취업을 생각하고 계신 이유가 있으시겠지만 생산직 또한 만만하진 않습니다. 방황을 많이 하면 할수록 더더욱이요. 그래도 무엇이든 하려고 하니 공공근로도 하고 계신게 아닐까 하네요.
    또 한가지 방법으론 공공근로를 하며 스펙부분이라도, 자격증이라도 취득하고 나서 관련 부서를 들어가는 방법도 있지만.. 저도 방황을 해본 사람으로서 이 방법은 정말 이루어지기 힘든 것 같아요.. 결국 공부하다 방황을 하게 되더라구요.. 일단 손에 잡히는 무엇이라도, 잡코리아를 들어와서 공고를 하루종일 보더라도, 내가 들어갈 수 있는 곳으로만 결정하지 마시고 이런일 저런일 있는것도 둘러보며 마치 백화점에서 쇼핑한다 생각하면서 이 옷이 나에게 맞을까, 어울릴까 그런것이 아닌 직접 입어보고 맞춰보고 하는 생각을 가지길 바래요. 어찌하건 맞지 않으면 다른 길로 돌아보면 되니까요. 때때론 머리가 움직이기 전에 몸이 움직이는 것이 더 빠를때도 있습니다. 더이상 방황하지 마시고 좋은 결과 있길 바래요.

    2023-02-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631278 7년차 Lv 1

    남들과 비교할 필욘 없어요
    어떤일이든 다 경험해보고 나와 맞는일을 찾는게 우선인거 같네요

    2023-03-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716894 21년차 Lv 2

    하고싶은게ㅈ몬지 내성격은 어떤지 모시고 제조회사면
    생산직보단 사무보조나 경영지원,구매,품질쪽 신입지원해보세요
    사무직으로 1년이상꾸준히다니시는게 좋을듯해요

    2023-03-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706036 20년차 Lv 1

    29살이면 젊으시네요. 젊음 자체가 재산입니다.
    무슨 일이든 첫걸음을 내딛는 게 어려운 법입니다.
    어떤 결정을 하시든 두려워 마시고 시작하세요.
    힘내세요~~~

    2023-02-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327736 MD / 18년차 Lv 1

    29살이 쉽게 취업할수 있는 곳은 있어요 보안경비쪽이요..
    사람들이 금방 그만두기에 오래 할 사람을 찾기에 일은 금방 할수 있어요
    잠깐하는건 추천하지만 일이편하다고
    젊은 나이에 평생직으로 선택하는건 비추합니다.
    최저시금 기준의 월급밖에 못받아요

    29살이면 젊어요.. 저라면 자격증 공부2년 정도 하겠어요
    1년정도면 손해평가사 가능할듯하구요
    꾸준히 2년이면 손해평가사, 행정사 가능합니다. 따면 왠만한 친구들보다 높은수입을 얻을수 있어요
    단 경력이 어느정도 차면요 초반부터는 힘들죠
    공인중개사 많이들 이야기 하는데 저도 있어요
    근데 현재 시장이 안좋으니 이럴땐 못쓰고 있네요
    아까 말한 자격증은 셤 시작한지 얼마 안된거라 진입하기 좋아요
    딱 2년만 공부하면 그 뒤는 걱정없고 맘은 든든할거여요

    2023-02-2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150677 기계엔지니어 / 29년차 Lv 5

    지금 이라도 늦지 않습니다.

    세상은 넓고 일 할 곳은 많습니다. 단지 내가 찾지 못하고 있을 뿐...

    29세에 내세울 것 없다는 것에는 반성하셔야 합니다.

    파견직이면 어때요. 기약 없이 시간 보내는 것보다 좋습니다.

    열심히 하세요.

    2023-02-2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897609 2년차 Lv 2

    저랑 진짜 비슷한듯...저도 전역하고 고졸이라 이거저것하다가 돈2000정도25살에 모았는데 도배(기술)배운다고 다날리고(첨에돈못받음 배울때...)시간만 축내다 28살에 제조업들왔는데 성격상 급하게 발주들어오는데로 만드는게 적성에 안맞아서 다시 서울갑니다... 여자친구랑 6년째인데 많이미안하네요 돈도 없고...29살이나됐는데 슬슬 결혼도해야하는데 다 답답하네요 ㅎ

    2023-02-2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644570 품질관리자 / 25년차 Lv 1

    알바일부터 뭐든해봐여 경험이 중요하니

    2023-02-2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103606 6년차 Lv 1

    생산직이면 외국인 근로자가 만허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요
    관리직 업무 배우면서 해보는덜 추천 드립니다

    2023-02-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632379 생산직종사자 / 2년차 Lv 1

    우선 급하게 생각하지마시고 자격증이나 사이버대학 다녀보시는것도 추천드립니다.
    생산직도 여러직군이 있으니 그에 맞는 자격증 취득하시고 경력무관인 공장도 있으니 한번 찾아보시고 들어가셔서 적성에 맞는지 확인해보시길바랍니다.
    화이팅!

    2023-02-22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