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입사 8주차 사회초년생 급여질문 및 넊두리입니다

조회수 231 2023-01-21 작성

12월에 입사하고 후불에 의한 첫월급을 받았습니다


포괄 임금 계약에 따른 월급을 받았습니다

다만 12월에 일한분을 받은거라 9120원 최저시급에 기반되어 있습니다


2023년이 되고 최저시급이 9620원으로 약 5% 상승했습니다

제 계약서는 기본급이 최저시간x209 시간으로 산정되어있기에 2023년에 되었을때 자동으로 월급이 인상되는지 궁금했엇습니다


이에 개인적으로 검색해본결과

최저임금과 통상임금은 다르다는 답을 얻었네요


실제 제 근무시간으로 급여를 나누었을때 최저시급에 미달되도

주40시간에 기반한 최저월급 약201만원보다 많으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거 같은데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이제 급하게 졸업하자마자 무스팩으로 중소기업 들어간 케이스 입니다만...

미래가 걱정됩니다.... 무작정 경력을 쌓아서 이직한다하면

좋은곳으로 옳겨갈수 있을지 고민되네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댓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댓글 2
  • 프로필 이미지 mentor3271118 회계담당자 / 11년차 Lv 5

    기본급 : 통상시급*209시간 - 비과세 입니다
    즉! 여기서 통상시급은 야근수당까지 포함된 시간을 말합니다

    즉 야근 수당이 따로 포괄임금에 없으면
    비과세인 식대 빼고 남은 금액이 기본급이면
    그 기본급에 /209시간을 했을때 최저시급보다 많으면
    인상 되지 않습니다

    그대의 세전이 어떤 식으로 되어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단순하게
    기본급
    식대로만 되어있다면

    기본급 /209시간 = 최저시급보다 적으면 인상 되어야 됩니다 ~


    그리고 무스펙에 중소를 다녀도 본인이 얼마나 최선을 다해서 하느냐에 따라 미래는 바뀝니다

    내가 중소를 다닌다고 물경력이 되는 것이 아니고
    내가 중견을 다닌다고 찐경력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거기서 내가 얼마나 최선을 다하고 노력했느냐에 따라 실력을 갈립니다

    그러니!! 노력하세요!! 자기개발 하세요
    그럼 중소 다니다가 중견으로도 이직합니다

    제가 그 케이스 입니다!!
    공부머리가 아니라면 일머리라도 있으면 됩니다
    인생은 진짜 모르는 것이거든요!! 화이팅 입니다!!

    2023-01-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363553 포토그래퍼 / 4년차 Lv 3

    급여 관련 부분은 아무래도 회계 담당자 or 노무사 등을 통해 질문해보는 것이 가장 확실할 듯 싶어 답변을 보류합니다.

    무스펙으로 시작한 직장생활에 고민이신 걸로 이해됩니다. 요즘 주변을 보면 너도나도 대학생 때 여러 스펙을 쌓고 있는 걸 보면 불안하죠. 내 옆에 친구는 토익 900은 기본에, 대외활동 경험, 대기업 인턴 경험, 해외연수 등등...
    그 친구들하고 동일한 출발선상에 서길 바라는 건 솔직히 양아치 같은 마음이죠. 내가 그럴 수 없는 환경일지라도 결과적으론 그 친구는 다양한 스펙을 쌓았고, 난 쌓지 못했으니까요. 신입을 뽑는 기업 입장에서는 볼 수 있는 지표는 `스펙` 뿐이고요.
    그렇다고 평생 밑바닥에 있어야 할 이유가 되진 않습니다. 기업이 대학 때의 나를 평가할 거리가 없다면 직장생활을 하며 쌓은 경험을 스펙으로 내세우면 됩니다. 때론 오히려 직장 경험이 더 큰 무기가 되기도 합니다. 그 분야의 실전적 경험을 한 거니까요. 그래서 기업이 기를 쓰고 `경력있는 신입`을 원하는 겁니다.
    일단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셨으니 열심히 직장생활하시기 바랍니다. 직무적으로 배울 수 있다면 배우시고, 직장생활을 하며 겪게 되는 사람들과의 관계, 부서 간 줄다리기, 사내 정치, 외부 업체와의 커뮤니케이션 등 직무 외적인 부분도 많이 겪어보세요. 그것들이 이직할 때 질문자님이 지원서에 녹여낼 재료들이 될 것입니다.
    기회가 된다면 계약직, 파견직이라도 대기업 경험을 해 보시는 것도 권합니다. 대기업도 문제가 많다고는 해도 대기업입니다. 프로세스나 사내 문화가 달라요.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경험해봐야 앞으로 이직할 회사의 규모에 맞춰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대기업에 오래 근무하다 스타트업 오신 일부 분들이 `여긴 왜 이딴 식으로 돌아가?` 라고 적응 못하는 케이스도 있고 반대도 있기 때문이죠.

    2023-01-21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