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설계전문 1년차 연봉협상 어떻게 할까요?

조회수 2,419 2022-12-01 수정

안녕하세요.


현재 실시설계전문으로 하는 5인미만 회사 재직중입니다.

신입으로 수습 두달반. 정규직 1년 2개월접어들었는데 두 달 전에 해야할 연봉협상을 지금 현재 일이 너무너무 바빠서 미루다가 이제야 하게되는데요.


6월부터 현재까지 금요일 빼고 매일 야근해요.

금요일도 칼퇴는 아니구 30분-1시간정도 더 일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월요일은 최대 8-9시.

화수목은 최대11시-12시까지. 

원래는 그런거 없이 새벽에도 가고 철야도하고 했는데 같이 일하는 대리님이 2주전쯤 정식으로 항의하고 실장님 차장님이랑 다같이 대화해서 저렇게하는 걸로 결론내렸어요.


1군 협력업체로 일해요. 그래서 일이 많아요 그런데 유독 6월부터 심해졌어요. 실장님이 들어오는 일을 족족 다 받으세요 ㅠㅠ 최소 400평 이상 규모의 오피스나 고급주택 설계일해요.


업계특성상 당연히 야근수당 없어요. 인센도 없는눈치.. 오히려 회사 자금사정 안좋다며 이번달 월급 며칠 미루자고하셨어요.


처음에 2400으로 계약했고. 식대 및 퇴직금 포함... 13월로 나눕니다.

그런데 2400 계약했는데 13월로 나누면 최저시급보다 안되니까 @@아, 그 월급이 법위반이래 이러시면서 첫 정규월급 받는 당일에 추가 입급해주셨어요.

그래서 계산해보니 대략 2500받았더라구요.


그래서 본론은 연봉협상시 제가 2900을 요구해도 괜찮을까요. 

저는 최소 실수령이 190은 넘었으면 해서요... 

현장 안나가 샾도 안나가 실시설계 전문이라 박봉이어도 그러려니하고 다녔는데 생활이 너무 쪼들려요... 

지방러라 월세내고 공과금내고 보험료 내고 폰비내고 교통비하고 밥값 등등하면 마이너스에요... 5만원 넘으면 무조건 할부로 긁어서 겨우 연명생활중인데....


이런 개인생활 사정을 설명해야하는건지.. 2900을 불러도 되는건지 400이나 갑자기 뛰게 해줄리가 없는데 싶다가도 그래도 최소 2800은 맞춰주길 바라는 입장이라서요. 내일채움 2년짜리 하는 중이라 최소 내년 12월까지는 다녀야해요. 


다들 이때쯤 얼마 받으시는지... 1년다녔으면 2900요구해도 되는건지 모르겠어요 ㅠㅠ


현재 맡은 주 업무는 스펙도식화작업(스펙북 접수받아서 실별 마감별 표로만들기_캐드에서), 평면시리즈(벽체마감평면,바닥마감평면,구조도 등의 세트구성-평,천 제외), 입면(디자인 복잡하지않은 부분 위주), 제작가구디테일(디자인간단한부분위주 ex:캔틴장), 도어(하드웨어 기재포함 발주를 위한 도어도면.). 그외 필요하다고 요청하신 부분에 전반적 서포트작업입니다.


연차에 맞는 일을 하고있는 건지도 궁금해요.. 더 많은 걸 해내야하는 건지 이미 많은걸 하고 있는 건지도 감이 없네요 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2
  • 프로필 이미지 mentor4271015 건축기사 / 2년차 Lv 3

    요세 5인미만이라도 수습기간후 3500까지 신입연봉로 챙겨주는데 많습니다 물론 1/13으로요 회사 상사 연봉이 낮다면 당연히 밑에 직원은 더 낮을수 밖에 없습니다. 부장급 되시는분 연봉 8000 이상 받는 회사가 제대로된 회사입니다 오피스에 고급주택을 야근할정도로 하는데 돈이 없다 . 딱 두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1.직원한테 돈주기 싫든 아님 원래받아야할 2.설계비를 깍아서 수주를 하고있든 1번보다 2번이 더위험합니다. 왜냐 평당 10-15받을 설계비를 5-7만원받고 하면 직원월급에서 절충할수밖에 없는것이고 그만큼 직원을 굴려야하고 회사발전이 없는회사입니다. 수주는 회사 대표의 역량입니다 제대로된 회사를 찾아보시고 들어가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022-12-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776201 토목기사 / 4년차 Lv 1

    개인사정빼고, 일을 더 알려달라고하세요. 알려줄게없다 하시면 바로 이직

    2022-12-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359417 6년차 Lv 2

    본인이 퇴사를 했을 때 회사가 불편함을 겪는다 생각하시면 3000-3500 말씀하셔도 됩니다. 근데 내가 없어도 조금 더 바빠지긴 하겠지만 문제는 없다 생각하시면 초과근무 수당을 고려했을 때 2800-3000선이 적당하다 생각합니다.

    2022-12-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896061 공간디자이너 / 3년차 Lv 2

    그 회사에 꼭 남아야 하는 이유가 잇나요? 요즘 신입 기본급 더 많이 주는데 많으니까 잘 알아보고 면접도 다녀보세요. 그리고 월급 밀리는 회사는 뒤돌아 볼 필요도 없는 곳입니다.

    2022-12-0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314791 건축기사 / 5년차 Lv 2

    MAP 올해 신입 4000입니다. 본인이 받고 있는게 업계의 평균이자 현실이라고 생각하지 마세요

    2022-12-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710347 현장관리자 / 19년차 Lv 1

    이직하세요 월급 밀리면 답없습니다

    2022-12-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32600 3년차 Lv 1

    문제가 있어보이는데요 이직하심이.. 2900~3000이 무리한조건이 아닌듯합니다.

    2022-12-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646362 건축기사 / 4년차 Lv 1

    그런 곳에 오래 있으실 필요 없습니다.

    얼마나 많이 배우실지 모르겠지만 일단 먹고살아야죠...
    이직 얼른하세요...

    2022-12-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449872 건축기사 / 10년차 Lv 2

    나누기 13이라니 그런 악덕이 아직도 있나요. 그 사장 반성해야합니다. 3천부르세요.아님 이직준비하시는게 좋을거같아요

    2022-12-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259028 현장관리자 / 36년차 Lv 3

    정말 안타깝네요. 년봉이 수고하는 업무량에 비해 너무적네요. 문제는 해당 직업이 수요와 공급에 있어 언제나 충원이 되는 직장이라면 년봉을 더 올려달라고 하면 본인이 더 요구하는 것에대해 본인 사정보다 동업타동료보다 더 낫다는 것을 증명하고 설득해야합니다. 아니면 더 실력과 경력을 쌓은 후 이직을 고려해보세요.

    2022-12-01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