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재무회계 구직중인데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조회수 433 2022-11-25 작성

영어에 약하다는건 초등학생때부터 알고있었어서 정말 노력했는데..

영어 때문에 휴학도 하고 학원, 과외, 개인공부 등등 안해본게 없지만 최대로 올린게 715입니다. (오픽은 IM1입니다)

방학때도 영어 어떻게든 올릴려고 하다가 인턴경험도 계약직 경험도 없이 어영부영 25살이 되었네요

취업선생님이 재무회계는 토익 600점대인 친구들도 취직했으니 괜찮다고 하셨어서 재무회계쪽으로 진로 바꾸고 8월부터 이력서 넣고 있습니다. 벌써 120통 넘게 넣었는데 면접 몇번 보고 떨어지고..이젠 면접 제의도 안온지 2주되었네요.

(10인 이하 사업장도 이력서 넣고 있습니다)


대학와서 3학년때 진로바꿨다가 올해 중반에 다시 재무회계로 진로를 바꾼거라 자격증은

전산세무2급/ ERP회계2급/ 컴활2급/ 무역영어1급/ 국제무역사1급/ ITQ엑셀, 파포, 한글 가지고 있습니다 (유예중이라 아직 4년제 상경계 학과 재학 중입니다)

대내외활동은 1개 있고요(1년동안 한것인데 물류,마케팅 관련입니다)


지금 이력서 넣는거 그만두고 그냥 영어 공부해서 800점 넘어야 하나요?

아니면 지금부터라도 공무원으로 진로를 바꿔야 할까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
  • 프로필 이미지 mentor8687543 재무담당자 / 8년차 Lv 3

    재무, 세무에 흥미가 있으신건 맞는지 모르겠네요. 답답한 마음에 만만하다 싶은 회계로 진로를 잡으셨다면 고민하시는대로 공무원 준비하셔요. 회계 분야로 발을 담그신다면 어느 정도의 전문성은 필수입니다. 자아성찰과 진로설정을 최우선으로 고민해보셔요. 만만한 분야는 아닙니다. 제 아내도 만만하다 싶어서 회계로 입문했는데, 정말 고생 많이 했어요. 운이 좋게 좋은 사람만나지 않으면 못버틸거에요. 그리고 중견이상 취업 원하시면 조금 더 난이도 있는 회계 자격증 공부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022-11-26 작성
  • 남성이든 여성이든 "전산세무2급, 컴활2급,워드프로세서" 자격증 있으시니까 취업앱에서 (개인,법인)세무회계사무소 신입으로 취업지원해보세요(어느 직장이나 운전면허 보통2급 및 승용차 운전 필수 ).
    사업주도 청년을 고용하면 고용장려금과 세제혜택이 있어 구인광고 많이 있습니다.

    초임은 월200만원 최저임금이라도 3년부터는 경력자로 연봉도 많이 올라가고 다른 사무실로 경력자로 이직이 가능합니다.

    더불어 재직 중 법인세법 더 공부해서 "전산세무1급(경기도지식 앱에서 무료 동강 수강, 기출문제 반복학습으로 독학으로도 자격 취득가능) 취득하시면 연봉 많이 올라갑니다.

    참고로 국가직 9급 세무직은 보수(기본급+수당)가 매우 적은 반면 일은 힘들고 다녀도 희망이 없으니 관심 두지 마시기 바랍니다.

    취업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2-11-26 수정
  • 재무회계쪽으로 지원하시려는 의향이시면 일단 자격증 부분이 약한거 같습니다..(자격증이 애매합니다.)
    계속 재무회계쪽으로 준비하신다는 가정하에
    ERP는 1급까지는 따시는거 추천드리고 재경관리사쪽 공부도 추천 드립니다.(전산세무나 TAT 1급도 가능하시면 추천드리는바 입니다.)

    2022-11-2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537553 회계담당자 / 9년차 Lv 5

    제 생각에는 아직 졸업 전인 게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전공이 진로와 전혀 상관이 없어서 졸업 안하시는 분은 봤는데 인턴도 아닌 구직을 하신다니 조금 이해가 어렵네요.
    중퇴도 아니고 유예 중이라면 언제든 학업을 이유로 떠날 수도 있고요. 신입의 경우는 적성의 사유로 이탈자가 많은 것도 사실이라 위험 부담이 더 크다 생각할 것 같아요. 그리고 10인 이하 사업장은 대부분 혼자 커버해야하기 때문에 단순 경리직이거나 신입이라도 중고 신입을 선호해서 혹시나 들어가셔도 본인 경력에도 영양가 없을 거예요. 현재 서류상으로 고졸이시니 특수한 사유로 학업과 직장 생활을 병행할 생각이 아니라면 우선 학업부터 마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2022-11-25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