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프로젝트PM 과 연구비 관리, 국책과제 담당자, 국책 사업 관리

조회수 633 2022-10-02 작성

안녕하세오!


프로젝트PM 과 연구비 관리, 국책과제 담당자, 국책 사업 관리는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 없나요. 

 

프로젝트PM 를 쓰려다보니 다른 의미가 있나 싶어서요!

 

그리고!pmp 자격증 과 빅데이터 교육이수 중,

어떤 점이 더 의미있을지 문의 드립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2
  • 프로필 이미지 mentor7549397 경영·비즈니스기획 / 31년차 Lv 5

    질문하시는 분이 너무 이쪽 분야의 지식이 부족하다고 생각들어서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PMP는 경력 최소 3년이 필요하며 별로 안쳐주지만 없는것 보다는 났다고 할 수 있는 프로젝트관리 자격입니다. 이수후 서브PM 또는 PM으로 역활을 맡을 수 있습니다. 회사는 PMP없이 관련 경력자가 대개합니다. 빅데이타는 전문적으로 교육을 안받았다고 하더라도 최소 6개월 단기코스(일8시간교육)가 있습니다. 이를 이수하면 취업시 도움이 제법됩니다.
    국가과제중 일부 연구소에서 프로젝트를 따오는 경우 회사의 연구부에서 국책연구를 합니다. 이때 연구비의 관리가 엄격하게 요구되며 과제는 중간 중간 진행 상태를 보고가 요구되며 완료후 연구비 정산까지 해야합니다.
    이 과정에서 해당 연구부에서 국책과제 담당자를 선정하고, 연구비의 관리는 프로젝트 코드를 선정하여 별도 관리합니다.
    프로젝트PM은 국책과제를 포함 사내외에서 프로젝트를 진행시 이를 관리하는 관리자를 말하며 혼자 못하는 경우 서브PM을 두기도 하고 프로젝트 진행팀과 현업(실무부서)간 조율도 해야하며, PM의 권한이 실무부서장보다 약한 경우 진행에 애로를 격기도합니다.
    한마디로 PM은 고생은 하지만 보람은 있지요.

    2022-10-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215955 경영·비즈니스기획 / 2년차 Lv 5

    프로젝트 PM의 경우, 프로젝트 전체의 진행을 담당하기에 연구비 관리와는 맞지 않습니다.
    반면 국책과제 담당자, 국책 사업 관리는 약간 광범위해서 연결시키기에 정확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관련 프로젝트에서 어떤 일을 했다고 하면 설명은 됩니다. 연구비 관리도 나머지 담당자 및
    사업 관리와는 약간 연관이 있긴 합니다.
    PM으로 가시려고 한다면 당연히 PMP가 더 효용성이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PMP 자체의 기준이
    높아서 신입이신 경우 빅데이터 산업기사를 그나마 더 추천합니다. 반면 경력의 경우,
    PMP 응시 자격이 되신다면 PMP가 낫습니다.

    2022-10-02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