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중소 기구설계 시작..조언 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조회수 2,335 2022-09-16 수정

집근처라 출퇴근 합쳐서 50분이 안넘는 거리입니다.

거리도 거리고 출퇴근도 괜찮아 보였지만 기계설계에 칼퇴란 없는것을 각오하고 들어갑니다.


연봉은 2700 ( 업계 평균 연봉이 어느정도일까요?)


이십대 후반에 이뤄놓은것이 일반기계뿐이고 어학을

준비하던 도중 입사하게되었네요.


입사를 포기하고 어학과 포트폴리오를 좀 더 준비한다면 과연 좀 더 좋은 곳을 갈수 있을까 싶고, 나이만 더 먹어가는가 아닌가 싶기도하고

학벌은 4년제지만 지방대라 망설여 지내요


나이가 더 차면 취업공백기가 길어져 추후 취업에도 영행을 미칠 것이고 악영향으로 다가올거라 생각되구요.


그렇지만 정신 똑띠차리고 기구설계직무에서 일을하게 되었으니 신입때 최대한 많은 것을 경험하고 배우며 공부할 계획입니다. 추후 경력 포트폴리오를 만들때 도움이 될 수 있게끔 더욱 박차를 가하려 하구요


이런 마음가짐 가지고 일을 한다면 나중엔 보상이 있을까요 ?

주저리주저리 마음이 이래저래 심란하다가 써봤습니다..



질문은

중소 경력을 쌓기 (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개선 시킬 정도의 역량을 갖춘 수준 )

혹은

어학 점수 및 포트폴리오 준비해서 더 높은 곳으로 가는 것


입니다. 여러 의견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7
  • 프로필 이미지 menTorZ5947860 설계엔지니어 / 18년차 Lv 4

    일단 경력부터 쌓으세요. 어학은 그러면서 준비해서 이직할때 +a로 하면 되는겁니다. 자금 어학해봐야 막네한테 그런거 원하지도 않습니다.
    글고 기구설계는 프로그램이 중요합니다. 입사한 회사가 솔웍정도라면 nx나 크리오 공부하셔야하고..인벤터라면 솔웍이랑 nx나 크리오 공부하세요. 인벤터나 솔웍이 싸서 회사에선 선호하지만 작업자한테는 nx나 크리오정도는 되야 업무효율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성격도 중요합니다. 기구나 hw는 혼자서 못합니다. 업체가 있어야 결과물을 만듭니다. 그리고 개발은 항상 새로운것을 만들어야하기에 잘하는 업체 잘챙겨서 끌고가는게 중요합니다. 가끔 업체랑 술도 마시고 개인적인 연락도 주고 받으면서 유대관계유지해야합니다. 경력의 절반은 테크닉이고 나머지는 인맥싸움이죠.
    솔직히 어학은 데이터시트볼정도면 충분하고 프리워킹된다면 해외전시회나 바이어 만날때..도움이 될정도입니다. 물론 가끔 전시회에 엔지니어 데려가서 기술상담을 하라는 경영자도 있지만 그건 영업이 할일이지 엔지니어가 할일은 아닙니다. 그리고 제조를 해외해서 한다면 중국어이고 그쪽은 현지 매니저 통해서 업무보고 조율하면 됩니다.
    그리고 지금 기구는 아이템을 잘봐야합니다. b2c제품이라면 디자인과 기구가 개발의 7할입니다. 그것에 따라 엔지니어 수명도 정해지고요.
    그리고 기구 사수 뿐이 아니라 hw, fw, sw등 개발실 선임들 멘토라고 생각하고 친해져야 나중에 뭐라고 챙갸먹을께 있습니다. 솔직히 요즘은 자기분야만 잘안다고 개발되는게 아니라 협업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단 야근에 대한 생각은 좋은 자세입니다. 개발은 9to6보다 프로젝트 끝나고 꿀휴가 가는게 더 편합니다.
    암튼 개발은 죽을때까지 공부한다는 자세로 잘 성장하시길 바랍니다.

    2022-09-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573396 설계엔지니어 / 4년차 Lv 1

    설계경력?
    설계분야가 너무 포괄적이라
    경력추구하다 우물안개구리되고

    사출. 프레스. 쪽으로 빠지면. 걍 하청업체
    솔리드웍스하면 중소기업.
    카티아. 유지. 배우거나 신입으로
    자동차쪽 으로 취업하거나 프리랜서하면서
    야간대학원 다니면서 스팩 업해서 대기업 가거나
    뽑아줄려나??

    또는. 제품(기구설계) 중. 되도록 완제품
    소비자 직접판매제품. 3년 쌓고
    직접 외주용역 (알바) 할수준되면 회사다니면서 알바 3년 하고
    (회사보다 알바업체가 개떡같이 말하는데 찰떡같이 알아들어야 함)
    아이디어 도츌해서 창업 3년 준비하고
    사업계획서 써서 정부에서 창업지원금 받고
    3년 진행하다 안되면. 재취업하고
    (회사 알바 창업은 같으면서 다르다!!걍 인생공부로 끝날수도)

    단 이것은 확실하다
    1안은 코리안스텝
    2안은 어메리칸스탭

    2022-09-19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5173104 기계엔지니어 / 4년차 Lv 2

    설계직은 처음 신입 때는 무조건 많이 고생하고 많이 깨질겁니다.
    업무의 특성상 일할때마다 책 펼쳐서 확인해보는 게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개인의 역량에 따라 퀄리티가 좌지우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설계자로서 커리어에 가장 중요한 것은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끝까지 경험해보았는가 입니다.
    거창한 아이템이든 작은 아이템이든 그런건 중요하지 않고, PROTO DESIGN을 시작으로 고객사와 조율하며 구조를 갖추고
    부품개발팀과 협업을 통해 금형업체를 선정하고 2D 도면을 내리고 DV/PV TEST를 진행하며, 문제점을 개선하고
    최종적으로 양산라인을 구축하기까지...

    제 기준에서는 중소나 중견이나 체계가 좀더 잡혀있느냐 아니냐 정도의 차이가 있어서 체감상 업무강도가 높아질수는 있으나, 여러가지 조건으로 보았을때 중소에서 3년이상 경력을 쌓고 이동하시는걸 추천합니다.

    2022-09-17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3713104 설계엔지니어 / 15년차 Lv 3

    중소기업 이든 중견기업이든 들어가는게 전부는 아닙니다
    일단 설계분야에서도 여러가지 계열로 나눠지는데 계열을 잘선택해야됩니다 예를들어 핸드폰 설계하는 사람이 플랜트 회사로 이직한다고 하면 경력을 거의 인정 못 받는 것처럼 계열을 잘 선택해서 회사를 선택해야됩니다
    최종목표가 막연하게 그냥 대기업이 아니라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대우조선, 엘지엔솔, 등 구체적인 목표가 있고 그것에 맞춰서 준비를 해야됩니다

    2022-09-17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6604723 설계엔지니어 / 13년차 Lv 5

    어짜피 대기업은 글렀고
    중소 시작해서 중견까지 갈수있다 보세요
    그간 크게보고 멀리보고 계속 조용히 준비하세요.
    그리고 설계직으로서 지금의 초심을 잃지마세요.
    제대로 된 사수와 인정을 받아 진짜 사내에서 키워질지는 또 몰라요.
    생각하시는 생각과 설계 직군의 현실이 많이 다를겁니다

    2022-09-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204102 설계엔지니어 / 11년차 Lv 1

    질문자님 하루라도 빨리 경력을 쌓으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직장을 다니시면서 어학 점수를 준비하세요.
    직장을 다니면서 어학점수까지 준비하시면 추후에 이직 할 때도 나는 내 커리어 향상을 위하여
    퇴근 후에도 자기계발을 꾸준히 하였다는 부분으로 어필하시기에 좋으실 것입니다.

    2022-09-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225936 자재관리자 / 5년차 Lv 5

    20대 후반에 뭘 더 준비하다고 해서 연봉이나 근무환경이 바뀌지는 않아요

    중소는 무조건 경력이 제일 중요하죠 얼마나 알고 얼마나 할줄아는지...

    어학및 다른 스펙은 지금 합격한 곳을 다니면서 남는시간을 활용해 보세요
    경력도 쌓고 어학 및 다른스펙도 갖추어지면 나중엔 원하는 직무로 이직성공 하실겁니다 연봉협상 잘해서

    중소도 경력쌓고 잘 성공해서 이직하면 다닐만한곳 많습니다

    2022-09-16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