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인사직무 이직관련 입니다.

조회수 592 2022-09-04 작성
인사직무를 준비하면서 향후 이직시 회사규모와 상시근로자 수가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 현재 지원을 고민 중인 곳이 인사총무 팀에서 인사 담당자를 채용하는 중인데요. 인사관리와 근태관리, 그리고 약간의 총무업무를 함께하는 포지션입니다. 회사 규모는 연매출 2천억 정도의 외국계 회사이지만 상시 근로자 수가 80~90명 사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 경력이 향후 이직이나 중고신입 지원시에 도움이 될까요? 외국계라 오히려 국내 기업들은 이직시에 싫어할 것 같기도하고... 그리고 제가 HRD 직무가 본래 목표인데, 이곳에서 새로운 교육이나 제도를 도입해볼수 있다면 더 도움이 될까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2
  • 프로필 이미지 mentor4627691 인사담당자 / 8년차 Lv 2

    아무래도 인사관리 직무에서 어떤 것을 담당하는지가 관건일것 같습니다.
    냉정하게 말해서 현재 저 회사의 jd만 뵈서는 개인 경력개발에는 명확한 한계가 있어보입니다.
    상시근로자 수 물론 대기업으로 넘어갈 시 중요한 부분이지만, 그와 별개로 자신만의 직무 테크트리가 있어야합니다.
    hrd 분야는 사실 전문적으로 나아가려면 개인적으로 석사까지는 있어야하는갓 같습니다. 단순히 교육담당이 아니라 조직개발 및 개인 경력개발 등의 방향을 잡는 역할이라 보거든요..
    만약 그 회사에서 무언가 제도화 한다면,
    성과 관리 제도의 일환으로 성과평가 결과 후 피드백에 따른 후속 조치와 다시 한번 회사 목표-개인 목표 얼라인 과정을 함께 거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것 같습니다..
    단, 성과관리제도가 있고 개선이 적합하다는 가정에요..

    여기까지 냉정하게 말씀드렸구요.
    일단은 2-3년까지는 전반 실무 및 기본을 배운다 생각하시고 틈날 때 마다 공부하시고 계속 기획을 해보세요. 그 다음 점프업 할 때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화이팅 하십시오

    2022-09-0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271118 회계담당자 / 11년차 Lv 5

    50명 이상이면 이직시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차츰차츰 이직하시면서 상시근로자수 많은 곳으로 가시면 됩니다

    외국계열이던 국내계열이던 인사는 비슷하다고 봅니다
    내부평가 보상 교육 관련 등등 업무를 하신다면
    이직시 좋은 양분이 될 듯 합니다

    제일 빠르게 확인 가능 한 곳은 다른 타 공고 사이트에서 인사경력 10년 이상 채용 공고 하는 곳을 보시면
    원하는 경력사항들이 나와있습니다
    해당 업무를 차근차근 만드시면 훗날 멋찐 인사부장이 되실 듯 합니다!!

    인사를 잘 모르지만, 간혹 저희도 인사 신입 뽑으면
    상시근로자수를 많이 보기는 합니다

    2022-09-04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