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극과극 회사, 신입 첫 회사는 어디가 좋을까요?

조회수 504 2022-07-21 작성
안녕하세요. 이번에 퍼블리셔 신입으로 면접을 보러 다니고 있습니다.
이번에 면접 본 곳에 가장 마음에 드는 곳이 2군데 있는데 첫직장으로 들어갈 곳을 정해야 하니, 고민이여서 글을 남겨 봅니다.
둘 다 웹 에이전시입니다. 그리고 연봉(2800)은 같습니다.

1번 
직원수 :  30명 후반대 (개발팀은 약 10명정도)
포트폴리오 :  굵직한 기업들을 대상의 포폴
야근이 많다고 소문나 있고, 택시비 지원, 퇴직금 별도 등이 있습니다.
퍼블이 4명정도 있습니다.

2번
직원수 3명
포트폴리오 :  정형화되지 않은 디자인과 인터랙션이 많은 포폴이 위주(중견, 중소기업 대상)
야근이 3개월에 한번 정도 있다고 합니다. 점심 식대 지원, 퇴직금 별도, 연차는 없지만(한 달 근무시 1일 월차 생김)
사수 있습니다.

제가 인터랙션을 더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큰데, 1번을 가면 대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포폴을 쌓을 수 있어서 이직할때 도움이 될 것 같고,
2번 회사 같은 경우에는 입사하게 되면 인터랙션을 다루게 된다고 하셔서 입사하면 원하는 일을 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지만(인터랙션을 다루는 회사가 별로 없어서 제 눈에는 경쟁력있게 보입니다.), 회사 규모가 작아서 고민입니다.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ㅠ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5
  • 프로필 이미지 mentor4877983 웹퍼블리셔 / 15년차 Lv 5

    1번을 추천합니다.

    인터랙션을 잘하는건 분명 장점이긴 하지만, 퍼블리셔의 기본 업무가 웹표준과 접근성입니다. 기본이 잘 된 상태에서 추가로 잘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다른 퍼블리셔가 있다는점도 중요합니다. 막히는 부분을 함께 고민하거나 코딩소스를 비교하며 서로 자극을 주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규모가 좀 있는 회사일수록 업무 프로세스가 잘 되어 있고 이런 부분을 경험하고 배우는것도 일을 잘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잘못 배운 업무 스타일은 이직 후 협업시 이슈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번 회사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시면서 인터랙션 공부를 개인적으로 하시고 기회가 될때 하나씩 적용해 보는것도 좋으니 잘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파이팅!

    2022-07-2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989817 웹퍼블리셔 / 10년차 Lv 2

    퍼블리셔 신입으로 업무를 시작하신다는 포인트가 우선순위가 아닐까 생각이 되네요.

    우선 기본에 대한 실무 경험과 경력이 바탕이 되어야 다른 응용분야도 더 디테일한 접근이 가는하지 않을까요?

    전 1번 추천이고,
    소규모 회사 몇 번 다녀봤지만 좋게 나온적이 없네요;;;

    2022-07-2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402601 웹퍼블리셔 / 16년차 Lv 2

    인터렉션을 요구하는 프로젝트가 종종 있는데 대세도 아닐 뿐더러 점점 적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인터렉션 요구가 많았던 시기도 있었지만 그 인터렉션이 사용자 경험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제작자의 욕구였다는 것이 드러나면서 되도록 심플한 인터렉션으로 빠른 이동과 정보를 제공하는 추세로 넘어온 지 오래되었습니다.
    인터렉션 좋아하시겠지만 별로 미래는 없어 보이네요.

    1번 추천드립니다.

    2022-07-2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154634 웹퍼블리셔 / 18년차 Lv 3

    1번입니다. 프로젝트 경험은 할수있는한 많이 참여해보는게 좋습니다. 인터렉션은 프로젝트때 의견내보시면서 적용해볼수도 있으니 거기에 매이지마시고 결정해보세요

    2022-07-2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549232 웹퍼블리셔 / 5년차 Lv 2

    1번이요 인터랙션은 사이드프로젝트로 따로 하셔도 될 것 같은데요?

    2022-07-22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