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첫직장 기계설계 괜찮을까요?

조회수 1,341 2022-07-14 작성

원래는 공기업을 준비했었습니다.많은 요소 중에서 워라밸을 가장 중요시 생각했었기 때문입니다. 공기업을 희망하며 준비한 자격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토익: 930점

토익스피킹: IH

일반기계기사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한국시능력검정시험 1급

(기사시험 응시 자격이 올해부터 생겼기 때문에 1회차 시험에서 바로 일반기계기사 취득하였고 쌍기사를 위해 건설기계설비기사 준비중입니다.)


하지만 너무나 높은 경쟁률때문에 포기를 생각하던 와중, 여름방학 두달간 인턴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경험이라도 쌓으려고 인턴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회사는 국내외 이름만 대도 알만한 그룹들과 일을 하고 있고 회사측이 인턴들을 제대로 키워보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인턴을 시작하며 이 회사에 취업하려는 생각은 없었으나 앞으로 구직을 하며 이정도로 좋은 회사나 나에게 이정도로 정성스럽게 교육을 시켜줄 회사가 있을까 싶어 고민됩니다.


1. 기계설계직종의 미래가 궁금합니다. (계속해서 수요가 있을지, 이직할때 기계설계직종에서 근무한 것이 어느정도의 메리트인지 등)


2. 기계설계직종을 연봉은 높지 않지만 업무강도는 매우 강하다는 이유로 추천하지 않는다는 글을 많이 보았습니다. 제가 인턴으로 다니고 있는 이 회사는 후기를 보니 업무강도와 연봉 모두 높다고 합니다. 이정도면 다닐만 한지 궁금합니다.


3. 계속 공기업 준비를 하는게 맞을지 이 회사에 다니는게 맞을지 선배님들의 개인적인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5
  • 프로필 이미지 mentor5625311 설계엔지니어 / 21년차 Lv 1

    회사가 맘에든다면 다니시는것도 좋을거 같네요
    기계설계 직종은 일단 이직하기편해요
    대신 워라벨과 먼직종입니다
    잦은야근에 업무강도도 강하고
    연봉도 어는정도 맞고 일하기 괜찮다면 계속
    다니시면서 경력도쌓는것도 좋으실거 같네요


    2022-07-1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906221 설계엔지니어 / 6년차 Lv 3

    기계설계만 보면 나쁘지 않은 분야이나, 본인의 생활을 내놓다시피 해야하는 분야입니다.
    워라밸을 챙길 수 있는 분야가 아니에요. 전 그래서 이제 그만하려 합니다.

    2022-07-18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454559 설계엔지니어 / 21년차 Lv 3

    기구설계는 좋다 안좋다는 없구요. 기술적인 부분에 열정과 보람을 느끼고 싶으시면 추천드리고 워라벨 생각하시면 비추합니다. 자신이 만든 장비로 핸드폰을 만들고 티비를 만든다라는 자부심을 느끼기엔 좋습니다. 그리고 다른 직종 갔다가 와도 설계는 인정 받는 분야구요 ~ 참고로 저는 제 자식에게 공대 가지 말라고 말라고 싶네요 ㅎ

    2022-07-1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304757 현장관리자 / 6년차 Lv 3

    1. 기계설계직종은 기계가 사라지지않는한 계속될거구요.
    2. 보통 연봉은 높지않고 업무강도 강하고 야근 많이하는 대신 이직이 매우 잘되서 본인 맘에만 만족하시면 계속하셔도 됩니다.
    3. 공기업을 준비하시는것도 좋지만 그동안에 경력이 조금이라도 더 있는게 더 좋다생각됩니다

    2022-07-1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863845 설계엔지니어 / 3년차 Lv 2

    앞으로 구직하며 이정도로 좋은회사가 있을까 싶다는 말씀이 와닿네요
    여기저기 중소기업 전전긍긍하며 살았던 입장에선 그냥 꾸준히 한직장 다니는게 좋은거같아요
    물론 공기업 준비를 병행해서 붙을수있다면 그것도 좋을거같구요

    직종의 수요는 말씀드리기가 애매한게 범위도 너무 광범위하고 제가 감히 예측하기도 좀 그렇네요..

    2022-07-15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