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BI 분석 솔루션 개발자

조회수 351 2022-06-08 작성

생명정보학 전공 학과 졸업이후 우연히 IT 클라우드 쪽에서 엔지니어로 취직하게되어 올해 입사한 직장인입니다. 우연히 아이엠비디엑스의 BI 분석 솔루션 개발자 공고를 보았고 제가 너무나 하고싶은 직무여서 남은 기간 관련된 기술을 공부하여 지원할 예정에 있습니다. 해당 직무에서 수행하는 업무에 대해 궁금합니다.

현 직장에서는 MSSQL과 PowerShell을 사용중에 있는데 지원 자격과는 다르지만 SQL과 Bash와는 어느정도 비슷한 부분이 있을거라 생각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당 직무 관련하여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댓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댓글 1
  • 프로필 이미지 mentor6067072 4년차 Lv 5

    Bio Information 말씀하시는건가요?
    제가 아는 정보를 공유드리면, Genetic 쪽은 장비에서 유전정보를 바이너리나 문자열로 제공하게되는데, 이들을 기존의 유전정보와 대조하여 공통점, 차이점을 파악하고 어떤 서열에서 특정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내는데 목적을 둡니다.

    문제는 이 유전정보의 크기가 상당히 큽니다. 규모가 작은 식물분야쪽도 경우에 따라 몇십에서 몇백 기가바이트이고 동물분야는 훨씬 큽니다. 단순 서열정보로만으로 이정도이기 때문에 해당분야에서 주목하는 기술로는 압축과 분산 파이프라인 및 클라우딩을 주목하게 됩니다.

    실제로 국가연구기관에서는 클라우딩을 제공하거나 제타단위 압축기술을 연구한다고 알고있습니다. 이는 일반 환경에서 해당 정보를 다루는 하드웨어장비가 구하기 힘들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소프트웨어는 여러 하드웨어에 연산을 분산시키는 파이프라인 방식을 채택합니다. 그리고 그안의 연산들은 상대적으로 간단하지만 복잡도를 낮추는 것에 주목하게 됩니다. 예시를 말씀드리면 식물분석에서도 비교적 일 단위가 아니라 주 단위로 시간이 소요되는 연산을 합니다. 이를 줄이기 위해 나라별로 컴퓨팅 하드웨어의 성능을 높이려하고 있으나 그 한계가 있기에 분산쪽 처리를 하게됩니다. 이쪽분야의 언어는 대게 파이썬과 알 스크립트를 선호하시는 것으로 압니다. 이는 AI 쪽과 유사하게 해당언어의 모듈생태계가 쉬운 언어체셰를 기반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직접 모듈을 작성하고 이를 CS 전문가들이 보완해서 성장했기에 언어자체의 기능보단 모듈의 성능이 우수하고 언어의 접근성이 낮기에 선호도가 유지되어 성장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SQL 도 사용하지만 양이 많고 변칙적이기에 NoSQL 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윈도우의 파워쉘과 리눅스릐 커널스크립트는 표현방식에 차이가 많습니다. 이는 OS 의 구조자체도 고려되기에 별도로 학습하시길 권장합니다.

    2022-06-09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