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웹디가 장기적으로 살아남으려면 뭘더 하면 좋을까요?

조회수 1,101 2018-06-21 작성
웹디자이너이고 실무경험은 1년 4개월 가량 됩니다.
전 회사에서 홈페이지 시안잡고 퍼블리싱 업무를 하였지만 공장 찍어내기 형식이라 오래 있을수록 물경력이 되는것 같아 퇴사를 하고 구직중에 있어요.
저는 홈페이지도 만들고 모바일ui/ux도 하고 싶어요. 그외에 프로모션이나 배너들도 부수적으로 할 수 있다면 다양한 직무경험을 할 수 있을테니 더더욱 좋겠지요. 그런데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어떤일을 많이 접해보는게 좋은 건지 모르겠어요.
모바일쪽으로 빠지는게 맞는건지 다른 직무경험을 하기 위해 따로 배워야 할게 있는건지..
아 그리고 회사를 고를때 어느것을 봐야하는지 기준도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은 어떻고 광고대행사는 어떠하니 실무를 쌓으려면 어느 회사를 가는게 좋고
회사를 고를때 사수가 있는지 보는게 좋다던디 등등 여러가지 많이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21
  • 프로필 이미지 mentor2659513 09학번 Lv 2

    회사는 인지도가 있고 디자이너가 여러명인 회사를 추천합니다. 그래야 다양한 경험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웹디자이너가 수명이 짧다고들 하는데 삼성이나 이런곳은 디자이너만 200명 정도 된다고 합니다. 대기업 디자인된 것을 참고로 하고 해외 사이트도 참고로 하면서 늘 공부와 노력을 병행한다면 이 직업은 어떤 직업보다도 수명이 길게 좋은 연봉을 유지하면서 할 수 있는 직종이라고 판단이 됩니다

    2020-01-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113240 10학번 Lv 1

    웹디자이너가 프론트엔드도 겸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현재 프론트엔드는 react.js, vue.js와 redux 등등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가 대세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와 동시에 기존의 jquery + java 조합을 대체하고, 점차 프론트에서의 빠른 데이터처리가 유행하고 있으니, 새로운 javascript 언어들과,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익혀두시면, 소스코드 리딩도 더 잘 되고 웹디자이너의 부수적 역량을 키울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합니다.

    2019-04-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423579 10년차 / 05학번 Lv 1

    웹디는 장기적으로 박봉을 감내해야하는 추천하고 싶지 않은 직종입니다. 지금은 자신있을수 있겠으나, 나이가 들수록 감각면에서도 젊은 세대에 밀리게 되는 일이 태반입니다. 해외로 나가시던가, 아니면 자기계발을 통해 역량을 키워방향을 선회해야 합니다. 저의 경우는 마케팅으로 전문분야를 바꿨습니다.

    2019-02-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786082 3년차 / 07학번 Lv 1

    미안하지만 웹디가 장기적으로 살아남기 힘든 분야에요
    저는 97학번 선배님의 말씀을 적극추천합니다!!
    아니면 후배님이 자신있고 잘하는 분야를 계속 만들어가세요!!
    살아남기 위해서가 아닌 내가 회사를 나와서도
    독립적으로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거요 !!

    2018-10-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684706 4년차 / 05학번 Lv 1

    스타트업은 다양한 일을 해볼수 있어서 좋지만 마찬가지로 다양한 일을 해야되기 때문에 잡무가 많고, 이도저도 아니게 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단 무조건 사수가 있는곳으로 가서 배워야 되요. 제대로 된 사수만 만나면 완전 능력향상에 큰도움이 될겁니다, 혼자 하는건 한계가 있어서 신입때 배우고, 후에 어느쪽으로 갈지 정해도 됩니다

    2018-08-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524637 13년차 / 97학번 Lv 1

    장기적으로 볼때 디자이너보다는 기획자로 준비하세요~ 어차피 나이들면 디자이너로 남기 힘들어요~ 디자이너로 남는건 길어봐야 30대 초중반까지입니다~ 디자이너에서 기획자로 가야 디자인 프로세스도 알고 추후 직급이 높아질때 일시키기도 편합니다~ 모바일, 웹 구분디어 따지는건 의미없어요~ 웹이랑 모바일이랑 똑같이 구현되기 때문에~ 그리고 회사고르는건 당연 연봉높고 인지도 많은곳 가세요~ 스타트업 기업에서 바닥부터해서 성공했다는 댓글봤지만 수많은 사람들중에 하나 성공한 케이스에요~ 정말 저렇게 성공하기 힘들어요~ 어느정도 안정적으로 삶을 살고싶다면 당연 대기업 가야죠~ 외주를 받아서 일하느냐, 외주를 주는 입장이냐는 입장이 다릅니다~

    2018-08-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674672 5년차 / 01학번 Lv 1

    it 분야는 잘 몰라서 뭐라 딱 얘기하긴 힘들지만,

    광고대행사, 특히 바이럴을 주로 하는 곳이라면 가급적이면 삼가세요. 배울것이 정말 없는 곳입니다.

    2018-06-3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815837 7년차 / 04학번 Lv 1

    웹디자인쪽은 제가 잘몰라서 답변이 어렵겠네요.
    어떤 업무이던 초년생땐 사수가 있는 스타트업보단 이미 회사의 전반적인 기반이나 분위기가 다져져있는곳으로 가는것을 추천합니다. 그 분야에서 경력이 깊은 선배들어게서 배울 수 있는 경험이 큰 재산이 될것입니다.
    스타트업에서 회사가 커가는 과정에 내가 함께 성장하고 기여하는것도 좋지만 그것은 어느정도 실무익히고 그 분야의 전문성을 다진뒤 해야 회사도 성장하고 나도 성장할수 있습니다. 또한 디자인회사가 아닌 일반 회사에 디자이너로 취업하기보단 디자인 전문 회사에 일은 진행하는 프로세스와 스펙을 쌓은뒤 경력이 쌓이고 이직해야 좀더 인정받고 더 좋은 조건으로이직하시는데 도움이 될것입니다

    2018-06-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6년차 / 07학번 Lv 1

    제가 프로그래머는 아니지만 주변에 많은 선배들이
    프로그래머가 있기에 답변드립니다
    최근에 가장 돈되고 이직 및 사업에 도움되는
    쪽은 자바,C언어 쪽입니다(모바일 동일합니다)
    PLC도 마찬가지 지만 언어가 다르므로 참고만 해주세요
    실무직무는 4~5년 대리급이 가장 잘팔리고
    그전까지 원하는 쪽 경력 및 실력을 쌓아야됩니다
    특히나 프로그램쪽은 초반 2~3년 박봉입니다(1800~2400)수준
    잘못된 적폐이나 어쩔도리가 없네요
    대신 경력이 쌓이면 연봉 및 몸값이 부르는게 값이고
    큰돈 없이 사업 및 알바도 가능합니다(직장댕기면서
    하는 고수익 알바)
    회사는 기업문화와 라이프앤 발란스가 제일 중요합니다
    연봉은 2번째에요
    잡플래닛 같은 어플도 활용하시고 주변 지인들께
    비슷한 직무나 업종이면 물어보세요
    매출 몇조원하는 대기업도 사람 막다루는 쓰레기 기업
    천지입니다
    스타트업은 고정적인 매출이 있는곳을 가세요
    예를들어 국책사업을 하거나 대기업 과 연줄이 있는곳
    왜냐하면 월급이 밀리거나 못받을수 있기에 최소 그정도는 봐야됩니다
    광고대행사는 24시간 노가다입니다
    절대 가지 마세요
    연예인 보고싶은 어린마음이면 몰라도 죽어납니다
    상위 5프로만 살아서 사업하고 먹고살고
    다 박봉에 비젼 없다고 봅니다
    지인들중에 광고대행사 출신 있어서 압니다
    열정페이 같은거 다 사기입니다
    고소하세요
    사수는 어디나 있으나 사수에 의지할 생각마세요
    혼자 공부하고 익혀야되고 나중에 물어보는게
    사수 부사수 관계입니다
    본인들 밥그릇 절대 안나눠주고 안알려줍니다
    엔지니어들 종특이에요
    좋은 사람들하고 일하는것도 행운이니
    인복이 있으시길 바랍니다
    힘내세요 후배님
    저도 했으니 가능합니다
    화이팅

    2018-06-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400654 7년차 / 05학번 Lv 1

    요즘은 디자이너에게 요구하는 역량이 많아요.
    디자인 뿐 아니라 기획이나 개발 혹은 마케팅까지도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니 앱기획을 생각하고 있다면 기획이나 개발 쪽을 조금이라도 공부를 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2018-06-26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