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500

Q 23살 연봉 2700 서비스기획자 연봉협상 도와주세요

조회수 2,835 2022-03-11 수정

올해 2월에 입사를 하여 현재 한달차 중소기업에 다니는 중입니다. 하는 업무도 힘들지 않고 괜찮고 신입이라 매주차 피드백을 받는데 매번 칭찬을 듣습니다.(피드백 해주시는 분들은 경력 10년차 이상 실력 좋은 기획&개발자 팀장님,과장님입니다)


요즘 최대 고민은 커리어 성장과 연봉/복지 입니다.


1. 커리어 성장

이 회사에서 제가 서비스 초기 기획부터 스토리보드까지 맡는 등 신입치곤 책임이 큰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 생각합니다. 다만 제가 현재 잘 아는 서비스기획쪽 외에 커리어점프를 할 수 있는 개발공부, 다른전략기획에도 관심이 있는데 어떻게 접근하고 공부를 해야할까요?



2. 연봉/복지

올해 연봉협상을 10%를 하고 싶은데 대부분 높은 연봉협상을 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성과를 내야한다 하는데 평소에 경력기술서를 작성하고 주어진 일을 잘 맡으면 가능할까요?



3. 이직 시 내/외부 다양한 프로젝트를 많이 하는게 유리한가요?아니면 본인이 책임감이 큰 프로젝트를 한게 유리한가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7
  • 프로필 이미지 mentor1534897 웹기획 / 9년차 Lv 1

    질문자님이 하신 질문들 모두 다 좋은 질문인데,
    지금은 저런 거 생각하지 말고 닥치는대로 배우셔야 합니다.

    기획은 2~3년차는 되어야 혼자서 제 몫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업무가 힘들지 않다는 것은 본인이 수행하는 과제에 대한 고민이 없다는 겁니다. 아니면 그 고민을 상사분들이 대신 해서 정답을 내려서 지시를 해주시겠죠? 그게 보통 신입한테 일 시키는 방법이니까요. 정답이 명확한 과제를 내려주는 거요. 조금 더 본인을 객관적으로 바라보시기 바랍니다.

    1. 신입치곤 책임이 큰 프로젝트가 아니라 신입에게 맡겨도 되는 프로젝트입니다. 자신에 대한 객관화가 필요합니다. 한 달 차 신입은 보통 안 혼내고 칭찬만 해줍니다.
    개발공부, 전략기획 다 좋지만 지금은 그런 걸 생각하실 단계가 아닙니다. 성급함은 많은 것을 망칠 수 있습니다.

    2. 연봉/복지
    회사에서는 직원을 평가하고 그 직원의 성과에 맞게 연봉을 책정합니다. 말이 협상이지 현실에서 협상은 거의 없습니다. 특히 신입이라면 불가능합니다. 본인이 기획이 아니라 사업구상을 하고 사업기획을 하고 프로젝트 발의, 진행, 검증, 출시까지 완벽하게 하고 그 사업으로 인해 회사 매출에 엄청난 이익이 있다면 협상이 가능하겠네요.

    3. 이직하시려는 회사에 따라 선호하는 프로젝트 유형이 상이합니다. 커리어 방향을 잡고 디자인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회사는 단순이 프로젝트를 많이 한 사람보다 그 프로젝트를 얼마나 완성도 높게 출시했는지와 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어떻게 업무했는지 등을 훨씬 더 많이 봅니다.

    2022-03-30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1624975 통신엔지니어 / 17년차 Lv 2

    나이가 참~~ 착하군요.
    연봉협상 보다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뭔지 그 분야를 좀 더 공부해보는 것이 어떤지요?

    2022-03-1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038550 11년차 Lv 1

    제 생각엔 이제 입사 1개월 되셨는데 고민 자체가 너무 이른것 같아요.
    회사나 관리자 입장에서는 기획자 2년차는 넘어가야 `이제 1인분은 하려나..?` 생각합니다..

    서비스 초기 기획부터 스토리보드는 기획자 기본 업무이고요.
    누구보다 고민을 많이해야 하는 포지션이 기획인데, 업무가 힘들지 않다는걸 보니 어떤 느낌인지 잘 알겠네요.

    책임이 따르는 큰 일은 앞으로 기획일을 하시다보면 수없이 겪으실겁니다.

    당장은 욕심부리지 않고 최소 4~6년차까지는 많은 경험을 쌓으시면
    이후 프리랜서로도 전향하셔서 몸값을 많이 올릴 수 있으실 거예요.

    기획자를 하실거면 현재에 충실하시면 될 것 같구요.
    전략기획을 가실거면 부서이동이나 규모가 큰 회사로 이직부터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2022-03-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565144 웹기획 / 30년차 Lv 3

    1. 커리어성장: 너무 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전문선을 갖고, 하나라도 똑부러지게 잘한다는 생각으로 하나하나 쌓아가시길 바랍니다. 아직 발을 넓히기엔 이르다는 생각입니다.
    2.연봉/복지
    충분히 10%이상의 연봉인상을 요구하셔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계신곳에서 협상하시고, 안되면 이직을 생각하시길 추천합니다. 무조건 이직을 먼저 고민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3.이직시 내/외부 다양한 프로젝트와 대형 프로젝트 모두 유리하겠죠.

    2022-03-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077985 웹기획 / 9년차 Lv 2

    1. 커리어 성장
    회사에서 피드백을 주는 10년차 이상급 선배님들이 있다는 건 좋은 조건 입니다. 그분들이 진정 실력자라면 그분들의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장점을 키우고 그분들의 실패를 간접 경험할 수 있죠~
    기획자가 전략적인 마인드를 갖는 건 좋다고 봅니다. 입사지원 조차도, 내 커리어의 로드맵을 그리것도 전략이니까요.

    1-1. 커리어 점프
    경험을 바탕으로 팁을 드립니다.
    현재 회사에서 충족된 부분, 충족되지 않는 부분을 써보세요~
    저의 경우 웹기반 SI회사에서 답답함을 느껴 모바일을 병행하는 회사로 이직했습니다. 이후 웹, 모바일 모두 콘트롤하게 되었고, 프로젝트 규모로 따지면 기획자 5~6명을 구성하는 개선 프로젝트에서 무난히 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사이사이 매년 면접을 봤습니다.
    관심있는 서비스에서 신규채용을 하면 년차가 모자라도 지원했고 면접을 봤습니다.
    포트폴리오만 매년 갱신한다면 가능한 일입니다.
    면접관들도 궁금하거든요~ 연차가 안되지만 이런 포트폴리오를 꾸린 사람이 어떤 사람일지~ 대화해 보고싶어한다는 걸 알게 되었죠~ 우리 회사의 어떤 점이 매력적이여서 지원했는지, 우리의 서비스가 젊은이들에게 어떤 실수를 하는지도요~

    1.2 개발공부
    하지마세요~ 연차 많이 쌓인 기획자들 중에 개발공부나 할걸~ 이런분들을 봤어요~ 그런데 그럴거면 시작이 개발자이거나 혼자 코드 공부가 되는 분들이어야 한다는 걸 알아야 해요~
    개발이랑 소통이 되지 않아서, 개발 갑질에 시달려서 그런 생각을 하시는 기획자 분들을 봤는데..
    본인의 기획적인 논리를 재정비 하는게 더 맞다고 봅니다.
    개발적으로 안된다는 논리는 보통
    1. 나, 하기 싫어~ 남이 싼 똥이야~~
    2. 응..완전 노가다야
    3. 그게 왜 필요해~ 귀찮아
    거든요~

    화면설계 상에 오가는 데이터가 제대로 매핑되어 있고
    UI 인터렉션이나 예외 케이스에 대해 잘 정리하는 능력이 있다면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연봉을 올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2022-03-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809127 웹기획 / 15년차 Lv 2

    아직 신입이면 다수의 프로젝트 참여 이력이 더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2022-03-12 작성
  • 1. 신입치고 큰 프로젝트라면 경력에많은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해요. 다른분야에 대해 공부하는건 좋지만,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될지는 잘 모르겠어요. 잘 아는 분야를 더 깊게 파보는건 어떨까요? 만약 개발공부를 하고싶다면 어떤 언어를 대상으로할것인지부터 정하는게 좋을것같아요

    2. 높은 연봉협상은 인사팀에서 성과를 많이 냈다는걸 알아야 하는데 보통 협상보다는 통보죠
    협상을 하는 직원은 거의 못봤어요. 어필하고싶다면 경력기술서보다는 포트폴리오를 잘 만들어놔 보고(일년동안 한 업무에 대한정리), 협상 기간에 제출해보세요.

    3. 이직시 아직은 연차가 낮기때문에 다양한 프로젝트가 좋긴 할거에요. 본인 책임감이 어느정도 큰 프로젝트도 좋지만, 신입연차가 책임질 만한 프로젝트는 그닥 어려워 보이지 않을수도 있어서, 두 분야가 섞인게 젤 베스트 겠네요!

    2022-03-11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