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취업준비시 질문있습니다.

조회수 1,115 2021-10-14 작성

현재 26살이고 학점은행제 컴공 학사 입니다. 


국비는 반응형 UI/UX 웹퍼블리셔 과정을 수강했습니다.


신입인 제가 갈곳은 에이전시 or SI 뿐인것일까요?


사실 프론트엔드로 가고싶지만 공고를보면 리엑트나 뷰 를 사용할줄아는사람만 채용한다고해서 퍼블리셔로 공고들을보고있습니다.


근데 퍼블리셔도 공고를보면 리엑트나 뷰를 사용할줄아는사람들을 채용하긴하더군요... 


그러면 현재 저는 리엑트나 뷰를 사용할줄모르니 SI 나 에이전시로 가서 굴러야할까요? 


아니면 신입이어도 배울자신있다고 어필하면서 프론트엔드로 지원을해봐야할까요? 


국비받을때 강사님께서 연봉은 2800~3000부르라고하는데  제가 이정도를 받을수도있을지모르겠습니다.


2800보다 낮은연봉이어도 일단 취직해서 경력을쌓아야할까요?  너무 막막하네요... 


그리고 학은제라고해서 불이익을받는다던가 차별을받는다던가 그런거는 없겠죠?


제가 원하는 조건은 2800~3000 정도에 퇴직금별도, 야근수당 잔업수당 나오는곳 정도 생각하고 공고들을보고있습니다.


두서없이 뒤죽박죽으로 적어  죄송합니다ㅠ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6067072 4년차 Lv 5

    우선 몇가지 사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프론트엔드와 퍼블리셔는 업무레벨이 다릅니다.
    디자이너-퍼블리셔-프론트엔드-백엔드-인프라-시스템
    과 같은 순서로 물리적 컴퓨팅에 가까워집니다.
    그 중 디자이너는 시각디자인쪽의 파생이고, 이들이 제시한 디자인을 퍼블리셔는 화면 중 웹브라우저(웹앱 또한 웹입니다)에 표현하는 사람들입니다. 프론트엔드는 퍼플리셔의 스킬도 갖추고 있지만 이들과 다르게 CS적인 프로그래밍이 포함됩니다. 즉 디자인이 아닌 접속매체의 리소스나 동작을 제어하게 됩니다. 여기서부터는 동작을 위한 디자인패턴이나 패러다임 등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모바일의 프로그래밍, 웹프론트의 프로그래밍을 예로 들수 있고, 선생님이 말씀하신 React, Vue 는 후자에 대한 화면컴퓨팅을 지원하는 도구입니다.

    2. 회사에서는 배울 수 없습니다. 준비된 사람을 뽑고, 준비 안된 사람을 가르치려하는 곳은 실상 가르칠 능력이 없는 곳이 많습니다. 직접 준비하셔야합니다. 몇만원이면 인프런 같은 강의사이트에서 기초지식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3. 금전적으로 급하시면 퍼블리셔로 업무를 하시면서 프론트엔드 준비를 하시는게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퍼플리싱이 정확하고 어느정도 속도가 나오시면 3000 근방은 받습니다. 다만 퍼블리싱에게 야근수당을 주는 회사는 드물 것 같습니다.

    4. 학은제 수준이 어떤지 모르지만, 비공전공자여도 실력이 출중한 사람들이 있고 카이스트 출신이여도 컴퓨터쪽 재능이 없는 분을 봐왔습니다. 저는 백엔드인데, 개인적으로 학력상관없이 CS 기반이 튼튼하고, 영어, 수학적 능력과 지식을 쌓는 분들을 선호합니다.

    추가로 프론트엔드를 학습하시려면
    우선 vanilla js (기초) - vue 로 mpa - react 로 mpa, spa 마지막으로 angular 로 spa 를 간단하게 제작해보시고, 모바일쪽을 학습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웹제작과 비슷한 방식인 react-native 로도 모바일구현은 가능합니다.

    화이팅하세요.

    2021-10-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370090 6년차 Lv 3

    연봉 2800이나 3000이나 실 수령액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경력이 없는 신입은 몇백만원 차이보다 본인이 성장할 수 있는 회사를 고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실력이 올라가면 연봉이 올라가고 10년 20년뒤 받는 연봉은 몇천만원 차이가 납니다.
    지금은 본인은 퍼블리셔지만 프론트엔드 개발을 할 수 있는 회사를 찾는 것이 좋을 듯 싶네요. react.js나 vue.js 경력이 없으면 친구들과 간단하게 프로젝트 만들어서 해보세요~ 국비에서 많이 했을 겁니다. 프로젝트를 react.js로 해보고 github에 소스를 오픈하고 포트폴리오에도 적는거죠. 최근에는 학은제라고 불이익 주는 회사는 거의 없는듯 합니다. 개발자가 부족하거든요. 간단히 정리하자면

    1. 친구들을 모아 react.js나 vue.js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2. github에 소스를 공유하고 포트폴리오에도 추가한다.(서류통과나 면접 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사람들이 선호하고 이름있는 회사부터 차근차근 준비해 본다.
    4. 연봉은 높을수록 좋지만 신입은 실력과 경력을 쌓으면 나중에 더 높은 연봉 받을 수 있다.

    2021-10-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606203 웹개발자 / 13년차 Lv 2

    1. 퍼블리셔도 script를 기본적으로 할줄알면 프론트개발자들이 더 좋아합니다. 추후에 개발영역을 넓힐수도 있어요
    2. 리액트나 뷰 비슷하지만 뷰쪽이 더 러닝커브가 적다고 생각해요. 지금이 아니더라도 스터디등을통해 공부하는것도 좋을듯
    3. 연봉과 실력은 꼭 비례하진 않아요. 연봉은 인사팀민 알고 님의 상사는 몰라요. 막 질러도 괜찮아요. 신입때는 연봉자체가 적어서 인상률 10프로해봐야 2~300이니 2~3년 주기로 이직도 고려해보세요.
    4. si나 에이전시가 힘들긴하지만 아얘 신입이면 1년정도 경험한다 생각하고 해보는것도 좋을듯해요. 이력서에 프로젝트 몇개 생길꺼고, 그걸로 포트폴리오 만들고 개발하면서 틈틈히 필요한 스킬 공부하는식으로 하면 어떨까요?

    2021-10-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451314 앱개발자 / 18년차 Lv 2

    18 년차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신입은 초봉보다는 "성장 가능성" 에 초점을 맞추시는걸 권합니다. 성장가능성을 위해서는 ... 사수 부사수 문화가 있는지? 일은 다양하게 계속 있는지? 사용기술은 무엇인지? ... 등등을 살펴봐야하는데 인터넷으로 파악하긴 쉽지 않습니다. 일단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신것 자체가 나쁜 상황이 아닙니다. 지금보다는 3-5년뒤를 포커스로 자신을 잘 키울 수 있는데를 택하셔요. 어떻게 크느냐에따라 평생 연봉이 결정되는 시기입니다.

    2021-10-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829458 웹개발자 / 10년차 Lv 3

    보통 포괄임금제를 쓰기때문에
    수당은 복지가 좋거나 큰 회사만 준다 보시면되고.
    그리고 요즘 야근 기피하는 분위기라 보시면 됩니다.
    연봉 표기시 퇴직금을 포함하면 문제 되므로
    당연 퇴직금은 별도가 맞구요.
    겁먹지 마시고 본인의 포트폴리오 잘 만들어서
    면접시 보이고 다니시면 좋을 것 같고
    사실 IT만큼 실력지상주의도 없으니.
    기본기랑 포폴 잘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경력을 우대하는 것은 현업과의 커뮤니케이션과
    일을 맡겼을때 민첩성과 문제 해결 능력이므로
    그 부분은 설렁설렁 살지만 않는다면 시간이
    해결해줄꺼예요. 화이팅 하시길 바래요.

    2021-10-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197023 앱개발자 / 1년차 Lv 5

    신입이 다 잘할수는 없죠 신입은 나는 이 일이 좋고 열정이 넘친다 그래서 모르는것도 금방 학습할수 있습니다만 보여주면 됩니다.
    그리고 2800 ~ 3000 불러도 됩니다. 능력만 보여주면 됩니다.
    다만 연봉이 저 정도인데 퇴직금 별도, 야근수당 잔업수당 다주는 기업은... 찾기 힘드실겁니다.
    그런기업은 또 들어가시기 힘드실거고요...
    학은제라고 차별이라... 능력만 보여주면 됩니다. 이판은 능력이 다예요...
    2800보다 낮은곳은... 가지마세요... 연봉도 낮은데 업무강도도 높으면 진짜 현타옵니다.

    2021-10-14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