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전기 직무 어떤것들이 있나요?

조회수 4,083 2021-05-26 작성
나이는 30대 다되어가는데 취업경험도 없고 그리고, 아무런 스펙도 없는 상태여서 많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기에 대한 지식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전기를 배울려고 하고 있는데, 문제는 어떤 직무를 해야할지 목표를 설정하고 있는데, 어떤 것을 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공기업을 할려고 해도 문제의 자소서에 쓸 내용이 없어서 공기업은 직무 경력및 자격증이 필요해서 그래서 공기업은 나의 그냥 최종 목표를 잡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떠한 전기에 대한 직무를 해야지 이 경력을 쌓을 수 있을지 많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어떠한 직무를 해야할까요? 근데 전기 직무 시설관리, 공사로말고도 다른 직무가 있는지 알려주세요.
(처음에 시설관리를 생각했지만, 실무적인 경험이 많이 부족할 것 같아서 시설관리를 포기상태입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9
  • 프로필 이미지 mentor7292353 3년차 Lv 2

    질문을 이렇게 하시면 안되죠. 본인이 어떤 경력과 학력을 가지고 계신지 어느 정도는 써 주셔야죠. 그리고 항상 느끼는거지만 처음부터 조건을 따지고 그러시면 힘듭니다. 처음엔 경력을 쌓는다 생각하셔야 해요. 고생할 각오 하시고요. 다들 공기업 대기업 이런데만 원하시는거 같은데 그것만 찾고 있다가는 인생다 갑니다. 작은 중소기업이라도 들어가서 경력을 쌓으세요. 그리고 그 나이에는 시설가는거 비추드립니다. 자기 적성이 거기 맞다면 모를까요

    2021-06-2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879843 시설관리자 / 3년차 Lv 3

    시설괸리로 입사해서 경력 쌓아서 기사 따서 이직 하거나
    자격 되면 기사 따서 공기업 입사하면 딱인 듯

    2021-05-3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35354 시설관리자 / 7년차 Lv 5

    30전후면 진로선택의 기로에 섰다고 보입니다.
    계획하신대로 정말 최선다해 공기업 또는 중견기업정규직공채를 추천하구요.

    시설관리는 차선책으로 삼으시되 기본 자격증(전기기능사/산업기사/기사)은 취득하시는것이 좋겠죠
    그럼 경력없이도 들어갈 곳은 많이있습니다.

    신입이 실무적 경험이 있다면 경력자아닌가요~^^
    주변에 그나마 괜은 케이스라면 시설경력3년 후에 시설관리공단 입사/관련공기업 준비하는 동료들도 있더라구요.
    직무. 시설관리 공사 공무
    분야. 설계 감리 시공

    수고하세요~

    2021-05-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670741 전기·전자엔지니어 / 5년차 Lv 1

    30가까워지면 어디든힘들어요 자격증도없다면 더더욱;
    직무가리실때가아닌것같네요

    2021-05-2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921726 자재관리자 / 8년차 Lv 2

    보통은 자격증 취득을 하려면 학력이나 학점은행제 같은 부분이 필요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전공자라서 시험을 치는데 해당 학력으로 응시가 가능했으니, 특별히 그 부분에 대해
    서는 인터넷만 검색하면 방법이 상세히 있으니 그부분을 참고하시면 되는데,

    문제는 아무래도 어디를 갈것이냐가 주된 고민이되실거라 예상합니다.
    근데, 제가 질문자와 같은 상황이라면 전 이렇게 할것같습니다. 우선은 산업기사혹은 기사를 따는데
    주력할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어디서 일을하든 자격증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상당히 큽니다.

    그리고 취득하면 어디서 일을 할지도 고민이 될것같습니다.
    (전기,소방,통신 자동제어 PLC)설계, 시공(공무), 시설관리(일반건물,병원,아파트,전산... 정말 많습니다)
    근데 시설관리는 진입장벽은 낮지만, 대신 규모가있는곳들은 필요한 조건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시설관리 전기과장 및 소장을 하는 분들도 이런 분야를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기왕 자격증있으면 다른곳 가는게 낫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헌데, 시설관리중에서도 어느정도 규모가 있고
    대우가 괜찮은곳도있습니다. 굳이 간다면 차라리 그곳을 추천하지, 영세한곳은 정말 비추하고싶네요.

    그럼 시설관리 제외하면 고생할거 감안하고 설계,시공,공무 를 추천드리고싶네요.
    여기라고 일이 편하다, 쉽다곤 말씀못드립니다. 회사마다 다 차이가있고 아무리 일이좋아도 같이 일하는
    동료,상사로 인해 그 일이 하기싫을수도있습니다. 헌데, 경력도 감안한다면 도전해보는것도 추천드립니다.

    근데, 안정적인 직장을 원한다면 누구나 얘기하겠지만, 들어가기 힘들어도 공기업, 전기직 공무원을 추천
    할뿐, 다른쪽은 결국 비슷하다고 밖에 달리 드릴말씀이 없네요.

    전기분야 경험은 하였지만, 다른 분야로 오면서 그곳에서의 기억은 딱히 좋지않거든요.
    공부체질이면 더 노력해서 공기업이나 공무원을했겠지만, 자격증 취득하고 일반직장다녓지만, 저에겐
    그다지 좋은추억이없어서 그저 넋두리풀고갑니당

    2021-05-2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303761 전기·전자엔지니어 / 30년차 Lv 1

    어려운 선택이네요. 전기를 너무 쉽게 그렇다고 너무 어럽게도 보면 안되겠지만 전공분야인 만큼 본인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론공부도 필요하고 현장경험도 필요하니 좋은 방법을 찾기 바랍니다.

    2021-05-2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313224 생산직종사자 / 14년차 Lv 3

    전기는 시설관리와 엔지니어 업무 이렇게나눠지는데요

    자신이 어떤걸잘하는지 알아야합니다. PLC프로그램 업무 자동화기계 잣동프로그램짜는업무고요 . 시설관리하면 소방전기나 건물내에있는 전기관련시설업무담당하는겁니다. 전기분야에서도 여러개로나눠지기때문에 잘생각하셔야합니다

    저는전기기능사는없지만 메카트로닉스설비기사. 항공기정비기능사 무선설비기능사 자격증이이렇게있는데요. 로봇을좋아하시면 전기와 공입 유압 메카트로닉스쪽으로 가시는게좋을것같네요. 아니면 전기을좋아하시면 직접 배전함교체등 선연결해보고 전기 책사셔서 이론적으로 생각하시면서 공부해야합니다. 배선연결에따라 전기도 동작방법이 완전달라지거든요. 전문가들은 일하기전에 머리속에 전기도면이 그려지면서일한다고하니깐요. 저랑같은직종업무에생각하시고계시길래 답변했습니다 ㅎㅎ;

    2021-05-27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4363615 아웃바운드상담원 / 6년차 Lv 3

    저는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15년전쯤 취득후 5년정도 시설관리 근무하고 완전히 다른일을 하였습니다.전기관련 자격증 있으시면 대부분이 시설관리 근무하는데 이쪽은 잘가시면 편하긴 하지만 나태해지고 대부분 주야 교대근무입니다.그게 아니면 공장 또는 건설현장 근무이며 plc쪽 회로구성은 극소수며 최소 전기기사 자격증이 필요한데...전기기사도 따기는 어렵지만 자격증 보유자가 워낙 많아서 큰메리트가 없습니다.한전(한국전력)이 전기쪽에선 꿈의직장이라고 합니다.공무원쪽 가시면 좋지만 지인통하지 않으면 힘든게 현실입니다.떠오르는 국가고시 자격증 취득을 추천드립니다.전기쪽은 위험한데 대우는 그리 좋지 않더라구요~ 힘내세요~~

    2021-05-2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336937 인사담당자 / 10년차 Lv 5

    전기업무에 관련이 있으시다면.. 무조건 기사 또는 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셔야 합니다. 우선, 해당 자격증에 대한 공부를 하시면 귀하께서 궁금한 정보를 대략적으로 얻어보실 수 있으니 이 준비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2021-05-26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