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A

Q QA 팀이 없어서 디자이너인 제가 QA를 맡게 될 거 같아요

조회수 2,508 2021-04-13 작성
그런데 저는 개발, 코딩 이런 쪽은 단 하나도 알지 못하고 (UI 화면 디자인만 했습니다 그 외 인쇄물, 그래픽 디자인 전체적인 것 다 하고 있고요) QA 업무가 대충 뭘 하는지는 알고 있었지만 1도 건드려 본 적 없습니다... 그런데 QA 팀이 없어지고 나서 제가 그걸 갑자기 맡게 됐네요 무엇부터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 뭘 먼저 찾아봐야 하나요? 그리고 전문가가 아닌데 어설프게 해도 되는 일인가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9
  • 프로필 이미지 mentor4163506 QA / 6년차 Lv 3

    어떤 종류의 서비스인지 모르는 상태여서 정확히 어떤 공부를 하면 됩니다 라는 답변은 어려울것 같구요.
    QA팀이 없어졌다는 말씀은 원래는 있었다는 건데, 우선 원래 있던 QA팀의 업무 결과물이나 업무 하던 것들을 확인해 보셔야 할거같아요. QA에도 성격별로 하는 방식이 있기 때문에 어떤 QA를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UI 디자이너에게 맡긴걸로 보면 그냥 사용자 수준의 기능 QA라고 생각되는데요.
    사용자 수준의 기능 QA는 일단 기획서와 실제 대상 프로그램 또는 앱을 파악한 후 사용자가 어떻게 사용할지 예상해서 시나리오를 세우고, 그 시나리오에 따라 테스트 해보면서 에러 또는 예외 사항이 발생하는지 테스트 해보는 수준이라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물론 QA가 본업이면 더 세부적으로 해야할 것들이 있지만, 당장 해야 하는거면 일단 사용자 수준으로 시나리오 정리하고 그 시나리오에 따라서 테스트 해보는게 효과적입니다.
    그 이상으로 정말 공부를 하고 제대로 된 QA를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ISTQB 자격증 관련 서적들이 테스트 방법론에 대해 설명하고있으니 책을 한번 보셔도 될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게 이론적인 부분들이여서 QA를 앞으로 쭉 해야하는게 아니고 단발성으로 하는 거라면 차라리 구글로 QA 사례를 찾아보고 비슷한 성격의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QA가 진행되는지 찾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021-04-1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342219 QA / 11년차 Lv 1

    전업 하실 것이 아니라면 굳이...

    2021-04-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520415 QA / 14년차 Lv 3

    구글링해서 해보세여. 욕은 좀 먹겠지만 나이들어서 pm하시게되면 도움이됩니다. 단 감리도 대응해야된다고 하면 하지마세요. 마음고생이 심하실겁니다.

    2021-04-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246457 QA / 12년차 Lv 1

    전문성이 필요한 영역이 외에 테스트의 영역이라면 충분히 가치가 있습니다.
    유저의 입장에서 테스트를 해주시고 그 결과를 알려주면 도움이 될겁니다.
    체계적으로 QA를 해야 한다면 기존에 QA팀에 산출물들을 보고 비슷하게 해보는것도 방법일듯 하네요.
    전문적으로 해야 한다면 그냥은 어려우실거고 테스트 이론을 공부해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ISTQB를 공부해보시고 테스트 범위를 어디로 할지 어떤 전략으로 할지, 테스트시나리오는 어떻게 할지 고민을 해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2021-04-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494504 QA / 7년차 Lv 2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qa인원이 없을 경우 모든 파트에서 각자 확인은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전문성은 떨어지겠지만, 기본적인 동작은 확인가능하고, 가능하면 유저가 조작할 수 있을 것 같은 행동을 생각하여 테스트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굳이 따로 공부를 하실 필요는 없지만, ISTQB라는 자격증 책을 보시면 기본적인 테스팅 방법을 알 수있습니다.

    2021-04-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597670 QA / 14년차 Lv 5

    그냥 할 수 있는 일은 아닙니다. 개발을 몰라도 할수는 있지만, QA는 프로젝트의 기준, 요구사항의 달성과 절차(개발방법론)의 적확성을 지키는 역할이라서 프로젝트 구축(개방방법론)을 알아야합니다. 공공이라면 감리를 받아야 하니 손댈 수는 없고 민간업체일 것으로 보입니다만, 어쨋든 QA가 했던 문서(품질관리 결과서)부터 파악해야합니다.
    그러면 기존 QA가 품질관리 결과서에는 지켜야할 했던 일이 요약이 되어있을 겁니다. 품질관리 계획에 따라 자신이 했던 보고서를 이어서 한다고 하면 조금은 이해가 가능합니다.
    가까우면 봐주고는 싶은데요, 혼자서 할 수는 없다고 명확히 말씀하시고 접근을 해야합니다. 프로젝트가 일정 진행되었고 단위테스트와 통합테스트를 진행한 결과가 요구사항의 커버리지(만족)를 확인하는 일(요구사항과 단위/통합테스트 ID가 맵핑되어 있는지 확인)들이 남아있고 아마 QA는 프로젝트에 문제가 있어서 손을 땟을 것으로도 보여서 걱정이 됩니다.
    다시 정리 드립니다. 프로젝트의 완료를 확인하는 일이라 문제가 발생한다면 PM과 개발 PL의 책임이니 일단을 못하는 일이라 말씀해야하고 그래도 하라고 하면 책임을 질수 없다는 것을 명확히 한다음 기존 QA와 통화를 해보거나 PM에게 하는 방법과 업무범위를 명확히 하는 순서로 접근하십시오.
    일을 할건지 판단하는 기준은 책임의 범위가 넘어오는 경우는 해서는 안 되고 도와는 줄 수 있다는 선으로 접근해야합니다.
    화이팅하시구요~~

    2021-04-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908646 QA / 19년차 Lv 1

    Red Ocean
    안하시길

    2021-04-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464787 QA / 17년차 Lv 1

    QA 기본검증에서 명세기반의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즉 사업자가 요구하는 요구기능정의서 또는 제품 스펙이 규격화되어 있는 UX/UI 가이드 문서 기반으로 예상되는 결과와 실제 결과의 차이가 발생되는지 검증하는 항목입니다. 해당 검증은 가장 기본이 되는 테스트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테스트입니다. UI 디자이너이시니 제품 규격은 잘 아시리라 생각됩니다. UI가이드를 메뉴트리화 하시어 테스트를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1-04-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416253 게임개발자 / 7년차 Lv 1

    전문적으로 해도 문제 터지는 와중에, 어설프게 해서 문제 생기면 겉으론 아닌 척 해도 결국 QA담당자 혹은 팀에 화살이 돌아갈 거에요.
    회사 측에서 단순 테스터 수준으로 QA를 바라보는 것 같은데, 디자이너한테 시키는 건 말이 안됩니다. QA로 전향하실 생각없으시면 단호하게 거절하든가 직장을 옮기세요.

    2021-04-13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