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솔루션 엔지니어에서 시스템엔지니어로 이직

조회수 4,620 2021-03-09 작성
안녕하세요. 저는 솔루션엔지니어로 일한지 2년 좀 더 됐습니다. 현 직장에서 크게 불만인 점은 없지만, 솔루션엔지니어로서의 미래가 불투명한 것 같아 시스템엔지니어로 이직을 준비중입니다.
현재 자소서와 경력기술서를 쓰고 있는데요, 제가 실무에서 다룬건 솔루션뿐이다보니 시스템엔지니어로 이직할때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지 걱정이 됩니다. 테스트서버를 여러번 구축해보긴 했지만, 실제 운영을 해본건 아니라서요. 보통 필요역량에 ~ 운영경험, 구축 경험 등이 있던데 이런게 없이 시스템 엔지니어로 이직할 수 있을지요...? 아니면 아직 3년이 안됐으니 중고신입을 노려야 하는걸까요?
만약 가능하다면 솔루션엔지니어 경력 중 어떤점을 어필해야 할까요? 저는 지금 이중화/스토리지 관리 솔루션을 다루고있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5
  • 프로필 이미지 mentor5505993 네트워크엔지니어 / 14년차 Lv 2

    솔루션 엔지니어가 시스템 엔지니어로 이직한다고 크게 문제될것은 없습니다.

    현재 다루시는 이중화 스토리지 관리 솔루션을 다루신다는건 어느정도 시스템에대한 지식을 보유하다고 생각되고
    Linux / unix 기반지식이 깔려 있으시다면 기본적으로 시스템 엔지니어를 하시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현장경험이 없기 때문에 관련 직무교육만 회사에서 지원된다고 하면 크게 문제가 없을것 같습니다.

    저희 회사에서 시스템 / 보안 엔지니어 직군을 채용하고 있으니 혹시 관심이 있으시면 지원해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주)코넥 입니다.

    2021-03-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597670 QA / 14년차 Lv 5

    1. 진로 고민인데요.
    - SE 영역으로 가시는 건 고민을 더 해보시라 말씀드립니다. OS 운영, 장애처리 Admin은 대기업이나 IBM, MS 신분이 아니면 고만고만합니다. 난다하는 엔지니어도 운이 없어 고생을 많이 하기도해서, 감리사 등으로 이직이나 영업으로 빠지기 일쑤입니다.
    - 반면에 희소 엔지니어라면 상황이 다른데요, 클라우드, PAS 시스템, WAS 튜닝(DB) 전문가 영역은 비전이 있습니다.
    2. 기존경력을 통한 발전방향
    - 2.1 스토리지는 DB/백업전문가 영역으로 재해복구컨설팅으로 갈 수 있습니다. 서비스연속성 확보전략, 서비스평가방법 등의 전략수립 방법론으로 전문 영역입니다.
    - 2.2 엔지니어로 계속간다면 스토리지 솔루션을 다루니, WAS 서비스/DB 전문가 영역으로 접근이 쉽습니다. DB설계, 튜닝 전문가로 갈 수 있도록 공부를 계속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그래도 이직
    - 해도 됩니다. 대규모 시스템 운영회사(IDC센터, 대기업, 국가자원관리원 외주 운영)에서는 스토리지 운영 전문인력을 필요로 하고, 운영팀과 일하면서 SE 경력을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 그런 곳이라면 만져볼 시스템이 있어서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 올라가게 됩니다.
    이말저말 듣다 보면 사실 답답해질 겁니다. 일단 회사에서 지원해주는 교육을 받으러 다니면서 방향 설정을 명확히 하시고, 절대로 남말 대로 하지 마시고, 자기 맘대로 하십시오.ㅎㅎ
    화이팅하시구요.

    2021-03-1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921194 네트워크엔지니어 / 6년차 Lv 3

    기본 리눅스와 친숙하다면 다른 부분도 금방 배울겁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일하면서 단순 현기술적인것보다
    어떤것을 보고 배워시는지 기술하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2021-03-1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599763 네트워크엔지니어 / 17년차 Lv 4

    시스템 엔지니어는 거의 모든것을 알다 시피해야 합니다
    Ibm sun hp-ux redhat 서버가상화 was oracle 백업등
    그러나 너무 걱정하지는 마세요 조금씩 배우면서 적응하면 됩니다

    2021-03-0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731556 시스템엔지니어 / 5년차 Lv 4

    안녕하세요~
    SE로서 역량을 가지고 실무를 수행하려 한다면 OS 엔지니어 레벨 보다도 좀 더 심화된 역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socket 통신, kernel의 개념과 logic, package와 그 dependency의 개념과 repository 관리, local lib, 변수, bash or batch scripting, CPU load와 memory(swap, cache 등 각 구간 별 memory의 개념과 역할) usage & system I/O의 상관관계와 관리의 필요성 등에 대한 이해, OS 설치 구성에 따른 OS 자체 서비스에 대한 이해와 설정, 사용자 및 그룹 관리, OS 보안설정 및 시스템 세부 설정(network R/W 제한 값 등의 조정, system 사용자의 file descriptor 제한 등...), daemon(service)의 추가 및 삭제 & 시작 서비스 여부 관리, 연관 서비스(WEB, WAS, DB 등)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와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원인파악 및 조치 등 local system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다 적지는 못했으나 생각보다 관여해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하시던 Enterprise와 관련하여 SE 경력으로 다루어 볼 수 있는 부분을 생각해보자면 사실 검토해볼 만한 내용이 많이 없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저 역시 DB 접근제어 파트너 쉽 서비스 엔지니어로 시작하여 주로 접하던 Red-Hat 계열 OS에 대한 보다 높은 이해를 추구하고자 하여 별도로 학습을 거치면서 방향성을 잡고 필요한 역량을 쌓을 수 있는 실무로 점차 범위를 넓혀가는 와중이라 동질감이 느껴집니다.
    건승하시기를 바랍니다.

    2021-03-09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