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게임) QA 전망 ,

조회수 2,982 2021-03-09 작성
QA직종이 잘 맞을 것 같아 이직준비하려는데
그렇게 전망이 안 좋은가요?
이 직종에 계신 분 자세한 조언 부탁드려요 ㅜㅜ
ISTQB 자격증은 독학으로 가능하겠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4597670 QA / 14년차 Lv 5

    1. 현황
    - QA는 필연적으로 QC와 같이 가야합니다.
    - 풀어서 말씀드리면, 1.1시스템 구현정의 품질관리 1.2.시스템의 품질인증 으로 나눌수 있고
    - 1.1. 시스템 구현 방법론 CMM 등, 프로젝트 관리방법론 PMP 등의 이해가 필요하고
    - 1.2. 구현된 시스템의 안전정에 대한 품질관리를 ISO25000 시리즈 등의 방법 등이 있고 국내는 GS등의 인증이 있습니다.
    2. 비전
    - 관리를 하는 업무라서, SI 개발 업무 등에 대한 부하가 적고 인증업무의 전문성이 있어 지속적으로 인력수요는 있습니다.
    - 인력수요는 공공 외부서비스 웹개발 등의 프로젝트(금융, 전자상거래 포함)가 주가 되고, 근래 국방, AI등의 자율주행 등의 소프트웨어 품질업무가 확대, 게임소프트웨어는 내부 개발 방법은 폐쇄적이며, 다만 빅데이터 분석 등의 수요가 많습니다.
    - 인증전문기업, 소프트웨어 품질관리 전문기관(석사확위 이상)의 연봉은 높습니다.
    - 다만 업무의 난위도가 비교적 낮은 기능, 인증 등의 테스트 직군의 연봉은 낮습니다.
    - 테스트 업무중, 동적/정정 보안테스트 엔지니어의 보안 전문가는 기능테스트 인력에 비해 연봉이 높습니다.
    2. 테스트 관련 자격증
    - PMP 방법론의 자격시험은 혼자 준비가능, CMM 등은 회사에 들어가서 필요시 준비
    - ISTQB는 해외자격으로 유지관리는 쉽지만, 획득하는데 교육과 시험을 모두 해야합니다. 국내 교육기관이 정해져 있어 비용은 쉽게 검색해보실수 있습니다.
    - 그래서 국내 자격시험이 TTA의 CSTS제도가 있습니다.
    - 소프트웨어 인증심사원은 별도의 교육과 시험을 준비해야 합니다.
    - 정적,동적 테스트는 모의해킹,시큐어코딩을 말하는 것으로 전문교육을 받아야 하고, 그 이상의 레벨이 되기 위해서는 보안전문업체에 근무와 해킹대회 준비를 하면서 실력을 쌓아야 합니다.

    2021-03-0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836086 광고디자이너 / 8년차 Lv 2

    게임업계 QA는 인식이 가장 최악입니다..;

    2021-03-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845552 QA / 7년차 Lv 1

    저는 통신 쪽 QA 업무자 입니다. QA도 종류가 있습니다. 반복 작업인 Test Case만 무작정 돌리는 어플리케이션 QA, 걸어서 이동 하며, 측정 하는 인빌딩 (app, 망 등), 차에서 일하는 Field test (app, 망 등) 그나마 추천 하는 건, 망 관련 QA 입니다. 상당히 얻어 가는게 많습니다. 이직 할때도 상당히 쓸모가 있습니다. ISTQB 독학 가능 합니다. (실라버스) ISTQB는 제가 알기론 상당히 비쌉니다. 17만원 가량 할텐데.. 연봉 협상에 좋을 려면 먼져 따고 입사 하셔도 좋고, 입사에서 ISTQB 지원 하는 회사에서 합격 해서 시험비 돌려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회사에서 자격증 따면, 연봉 협상에 좋은 결과를 불러 올 수 있습니다.

    2021-03-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440609 QA / 8년차 Lv 1

    게임쪽은 아니지만 10년차 QA 종사자입니다.
    개발 직군에 비하면 좋은 대우는 아니지만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보편적으로)

    2021-03-1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199944 QA / 2년차 Lv 2

    많은 경력은 아니 지만 일단 한국에서 qa는 인식이 않좋아서 보통 자체적으로 qa팀 대리고 있는 회사들이 엄청 많은게 아니고 외주를 쓰거든요 외주업체들이 자기몸 내려가연서 경쟁 회사들가 싸워야 해서 연봉이 낮은이유도 있고 경력 쌓고 관리자급 가면 그나마 좋긴 할겁니다 자격증은 처음에 같이 일했던 형은 업무 하면서 독학으로 했고 자체적인 qa팀은 어떤지 모르지만 보통 외주인 회사에 들어가면 슈퍼을 포지션입니다 저도 일한참 쉬다 다시 qa다시 하려니 연봉은 아직도 박봉이군요 업계가 워낙좁아서 ...

    2021-03-10 작성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제가 해당 업계 종사자가 아니라 자세한 답변은 못드리지만, 게임 업계 분들이 많이 계신 `게임잡` 커뮤니티에 해당 질문 올려보시면 여러 조언 얻으실 수 있을 거 같습니다. 게임 업계에서 일하고 계신다니, 이미 알고 계실지도 모르겠네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2021-03-09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