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회계법인인데 야근을하고 야근수당을 안줍니다...

조회수 1,720 2021-03-02 수정
제가 실습생이라 야근수당을 못받는다고 하지만 저보다 1년먼저 다니고 있는 선배는 아직까지 야근수당을 못 받았다고 하더라고요. 제가 이제 이 회사를 다닌지는 2달이 다 되가는데 다른 직장을 알아보는게 좋을까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5
  • 프로필 이미지 mentor5737461 법무담당자 / 4년차 Lv 1

    법인이라고 하면 5인 이상 사업장이 맞는거겠죠? 5인 이상이면 초과근로에 대한 가산수당을 법적으로 줘야 합니다. 안주면 임금체불이라서 나중에 일 그만 두고나서 노동부에 임금 체불로 신고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3년 이내) 야근 수당인지 초과근무수당인지 근로 하신 시간 체크하셔서 정확히 알아보시면 좋을 거 같아요. 나중에 청구하시려면 6시 이후에 일했다는 증거도 있어야하니, 초과근무 기록하는 앱도 있고 근무일지 개인적으로 작성하면 좋다고 알고 있습니다.
    회계나 세무 사무실 특정상 신고기간에는 야근이나 초과 근무, 심지어 주말출근까지 밥 먹듯 하는데, 보통 그 신고기간 끝나면 평일에 일찍 퇴근을 하라고 한다든지, 신고 없는 한가한 달에 연차를 더 준다든지, 상여금으로 10~20만원을 더 준다든지 하거든요. 그렇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대표 맘이라는게 문제지만요ㅠㅠ 초과근무나 야근 수당 외에 다른 조건이 다 괜찮다면 1~2년 꾹 참고 일 배우신 후에 경력 쌓아서 경력직으로 이직 추천드립니다.

    2021-03-02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6033371 회계담당자 / 16년차 Lv 5

    다른 직종도 이름있는 회사정도나 야근비를주지 중견도 앙주는곳 있어요. 중소기업도 야근수당 포함해서 근로계약하는게 대주분이고 현실이 이렇네요

    2021-03-0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190731 재무담당자 / 26년차 Lv 5

    제 의견은 현 회계법인에서 일을 제대로 배울 조건이 되는지가 이직 결정의 관건이 될 듯 합니다.
    현 회계법인에서 열심히 일하시고 웃으면서 포커페이싱해 인정받으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사회초년생은 급여보다는 일을 제대로 배우는 게 향후의 경력관리(연봉)를 위해서도 더 중요합니다.
    중요한 것은 일을 배운다는 것이 회계기술 뿐만아니라 개념및원리를 바탕으로 한 실전능력을 배양하는 것입니다.
    2년정도 근무하면 경력인정되니 2년후 일반회사로 이직등을 포함한 다양한 결정을 하시는게 좋을 듯 해요.
    제 네이버블로그 원 경영멘토 참조하시고 활용하세요. 전략적인 경력관리가 중요합니다. 수고하세요!!

    2021-03-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157355 2년차 Lv 1

    회계,세무 사무실쪽은 야근수당주는곳 거의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ㅠㅠ 저도다녀봤고 아는분들도 많이 다니시는데 80~90%는 안준다고 보시면되요.. 받는곳으로가려면 기업으로 들어가셔야되세요 ㅠ

    2021-03-03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5196617 전기·전자엔지니어 / 11년차 Lv 3

    생산직이면 야근 수당이 없는게 치명적입니다. 그런데 개발직이면 야근 수당 없는곳이 많습니다. 뭐든지 케바케(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생각해야지 하나로 단순하게 생각하시면 않됩니다. 가령 생산직인데 야근 수당이 없으면 나갈 곳을 찾은 다음에 나가시기를 바랍니다. 생산직이 아니면 이 회사에서 배울게 있는지 먼저 생각하시고 배울게 있다면 돈보다는 기술을 배우시길 권장합니다.

    2021-03-02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