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산업안전기사 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조회수 1,874 2020-09-13 작성
안전쪽에서 일을 하려고 산업안전기사를 어제 합격통보를 받앗네요 1년가까이 고생해서 따긴 햇는데 관리직에 PSM이라는게 잇다는게 그거에대해서 궁금합니다 이론적인거말고 실무적인걸로 가능하면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
  • 프로필 이미지 mentor9718852 생산직종사자 / 12년차 Lv 5

    PSM이란, 공정안전보고서로 유해물질로 인한 사고에 대해 사고의 예방에 관한 메뉴얼로 공정과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으로 인한
    유해물질의 누출, 화재, 폭발로써 사업장 내의 근로자 및 인근지역의 주민의 피해를 사전에 예방 방지하는 활동업무를 칭합니다.
    자세한 업무 내용은 한국기술단 사이트에 공정안전보고서(PSM)
    작성 및 유해위험방지보고서 작성 프로세스 파일을 참고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0-09-13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5004664 전기기사 / 11년차 Lv 3

    공정안전관리를 말하는거구요. 12개 항목이 있습니다. 그거 잘하고 있는지 노동부에서 나와 점검하는거에요. 유해물질, 가스 등 안전에 관한 거의 모든부분이 다 포함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많이 어렵고 힘들긴 한데.. 이거 3년 이상 경력 특히 대기업 3년 이상 경력으로 있으면 이직시 상당히 유리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2020-09-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667799 전기기사 / 7년차 Lv 2

    사고터지면 쇠고랑 차는것은 관리감독자와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입니다..

    허가받은 공정안전보고서(psm)의 내용대로 직무를 수행하는것입니다. 산업안전기사로 수행할수있는것이 아니고 각분야의 전문가(전기, 기계, 화공 등)가 업무 수행하는것을 관리하고 총괄해야 하는게 산업안전기사 즉 안전관리자의 업무 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이걸모르고 안전관리자가 psm을 해야한다고 알고있고 서두처럼 사고나면 책임지는걸로 알고있죠

    2020-09-13 작성
  • 그 회사에 사고가 터지면 수갑찰수 있는 직무입니다. 어느정도 정비되어 있는 회사에 입사지원을 하는것이 바람직할것으로 생각합니다.

    2020-09-13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