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인사 직무 면접에 도움되는 책(또는 실무 매뉴얼) 추천 부탁드립니다..

조회수 5,767 2020-06-30 수정
선배님들 안녕하세요. 올해 서른살 된 취준생입니다.

이번에 인사 직무 면접에 갔습니다.

근데 실무 관련한 면접 질문이 너무 어려워 대답을 못하고 온 게 너무 부끄러웠습니다.

당시 질문은 "계열사를 만들 경우 인사 담당자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행정 업무는 무엇인가?" 였습니다.

저는 올해 들어 이슈가 되는 HR 뉴스나 개정된 근로기준법 정도를 공부해서 면접에 갔습니다.

위 수준의 인사 직무 면접 질문에 자신있게 답을 하려면,

어떤 책을 달달 외우고 가야하는지 조언 좀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덧붙여, 선배님들의 멘탈 관리 방법이 있으시다면 귀뜸 좀 해주세요.

거듭된 취준 생활로 마음이 참 힘들어서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0
  • 프로필 이미지 TheK 헤드헌터 / 16년차 / 96학번 Lv 5

    신입으로서 진입하기가 쉽지 않은 직무이니 만큼 준비하는 과정이 어려운게 당연합니다. 우선 인사실무 관련해서 책 몇 개를 추천해볼께요. 달달 외운다기 보다는 빠르게 읽고 프로세스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우선 서머리해보고 본인에게 맞는 책을 골라 보세요.

    1.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인사 실무 매뉴얼 작성
    2. 글로벌기업 인사실무자의 HR멘토링
    3. HRD 플래닝
    4. HRM, 사람이 답이다
    5. 강한 회사를 만드는 인사 전략

    찾아보면 더 많은 서적들이 있겠지만 무작정 많은 책을 보기 보다는 기본적으로 HR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감을 잡는데 집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한편, 어제와 오늘이 다를바 없고 내일도 이런 상황이 이어질 것만 같은 현실이 힘들지 않다면 그게 더 이상한 것입니다. 특히 코로나로 인해서 취준생들의 준비 기간이 길어지면서 더욱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본인만 그런 것이 아니라 다른 준비생들도 마찬가지 상황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셔야 합니다. 더불어 너무 책상 앞에만 붙어있지 말고, 산책이나 운동을 통해서 리프레쉬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취업을 준비할 때는 기회가 왔을 때 자신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구직스킬적인 대비 뿐만 아니라, 심적으로도요. 모든 회사에 붙을 수는 없습니다. 그럴 필요도 없구요. 본인이 갈 수 있는 가장 좋은 회사에 들어가는 것이 목표로 잡고, 긴 호흡으로 그리고 다소 낙관적인 마음가짐으로 하루에 충실하세요. 그럼 후배님 좋은 결과있길 바랍니다.

    2020-06-30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0206781 1년차 Lv 5

    자격증을 준비해 보는 것은 어떤지 조심스럽게 여쭈어 봅니다.

    이왕 HR 관련 공부를 하신다면 면접용으로 자주 나오는 항목들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폭넓게 자격증 공부를 해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면접때, 대답을 잘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가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직접적으로 보여줄 필요성도 있습니다.

    `내가 HR 능력이 있다!!!` 이걸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자격증이라고 생각합니다.

    2020-07-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438191 인사담당자 / 15년차 Lv 1

    네.. 이 부분은 회사경험이나 인턴쉽 경험이 최소한 있어야 제대로된 답변을 할 수 있겠네요..
    조직구조, 인력구조를 계획하고 그에 따라 채용이나 규정등을 준비하겠다라고 답변해야 할 듯합니다.

    2020-07-0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632228 인사담당자 / 15년차 Lv 1

    경력직이 아니라면 정답은 없습니다~~~~~
    신입이기 때문에 바로 자신의 생각을 답할수 있는
    자신감과 대처 능력을 보는 것 이지요~~~~
    계열사를 만들 경우 인사 담당자가 우선적으로 해야할 것은
    먼저, 조직도 이지요~~~~
    조직도에서 포스트(부장,팀장급)는 경력직으로
    나머지 조직원은 경력과 신입을 채용하여 조직을 갖춰야겠으며
    이때 포스트는 가급적 외부 채용이 아닌
    본사에서 적임자를 계열사 전배로 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조직체계도 본사에서 추구하는 기업의 이미지를
    빠르게 흡수하도록 하니까요~~~~

    2020-07-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397864 인사담당자 / 전직장 Lv 2

    조직구성과 취업규칙. 인사규칙 정도여?

    2020-07-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어느덧부장 사무담당자 / 17년차 Lv 3

    질문이 글러먹었으니 대답이 막혔을겁니다.
    계열사를 만드는데 인사담당자가 우선적으로 해야할 일은 회사의 처지와 인력구조와 업종에 따라 모두 다른겁니다.
    그걸 신입에게 물어보다니요. 물론, 순발력있게 대답했으면야 더할나위 없이 좋았겠지만 면접관 질문 초이스가 적절치 못했다 보여집니다. 자신감 갖고 계속 도전하세요.

    2020-06-3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336937 인사담당자 / 10년차 Lv 5

    안녕하세요. HR 챔피언 같은 정도면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참고로, 인사의 분야를 크게 채용, 평가, 보상, 노무, 교육, 등으로 나누는데 이중에서 본인이 관심이 있고 중요하다 판단하는 분야를 정의해 보시고, 학창 생활의 경험과 지식을 근거로 셀프 PR을 해보세요. 자기 소개시 스스로의 관심 분야를 먼저 이야기하면 질문 흐름이 유사해 질 수 있으니 참고하시고, 받으셨던 질의는 신입이 답변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닙니다. 잘모르는 분야를 어떤 관점을 중요도로 나누어 설명하는지 보고 싶었을 것 같고, 이 안에서 평가하고 싶었던 것 같으니 정답을 외우려는 생각은 안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또한, 취업이란게.. 남녀사이와 비슷해서 정말 경쟁력있는 소수를 제외하고는 잘맞는 상대편을 만나는 작업이기에 시간이 필요하고 운도 작용합니다. 상대가 맘에 들고 골키퍼가 없어야 확률이 높아지거든요. 맘 편히 하시고 열심히 준비하세요.

    2020-06-30 작성
  • 책보다는 그회사에서 인터넷 검색해서 모든것을 알수있다면 그게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 저도 자녀가있어 TV에 관계되는 프로그램을 자주 접하는데 한결같이 심사팀이 하는 말씀은 정확한 대답 뻔한대답은 NO라고 하더라구요 얼마나 우리회사와 연관된일을 그전에 해서 스펙 쌓았는지 이사람이 우리회사를 간절히 원하는지 그리고 제일 씷어하는것은 여러군데중에 하나 면접 보곳이다 라는 느낌은 안들게 해야되요 이회사 아니면 안된다는 그런간절함과 내가 왜 이회사에 필요한지 각인시켜야되요 면접때 책은 시중에 많이 나와있지만 참고로 보면 되구요 다들 큰도움은 안덴다 하더라구요 제일 중요한것은 지금이라도 볼펜물고 발음연습과 웃는 인상 계속연습하시고 이상한질문이라도 재치있게 본인생각을 뚜렷하게 제가보기에는 정답은 없는 질몬을 내기땜에 자신감있게 또박또박 친절하게 대답하시면 도움되실겁니다 너희 회사가 나같은 인재 안뽑으면 손해라는 자신감을 갖고 해보세요

    2020-06-3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994151 2년차 Lv 3

    일반적으로 신입사원 지원자에게 정답을 기대하지는 않습니다. 해당질문도 어떻게 센스있게 대답하는지를 보려고했던거에요. 특히 계열사까지 이야기하는 대기업이면 입사해서 이미 짜여진 체계가있는데 들어와서 알려주면되겠죠.
    예의있으면서 자신감넘치는 모습을 제일 선호합니다.

    멘탈관리는...운동이제일좋더라고요..

    2020-06-3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104877 인사담당자 / 4년차 Lv 2

    인사는 법을 준수하되, 각 회사에 맞게 유연하고 합리적인 답을 내놔야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면접관의 질문에 다 다른 답이 나올 거에요.
    본인 그리고 회사에 맞는 답을 찾아야하니.
    책을 추천드리기 보다는, 인사쟁이 카페나 기타 인사모임이 있다면 참석해보시길 바래요.
    인사는 이론도 중요하지만 직접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바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책상에 앉아 일하는 직무는 아닌것 같아요. ㅎㅎ

    2020-06-30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