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전기공학과 직무에 관해서 여쭤보고 싶은 사항이 있습니다.

조회수 535 2024-02-20 작성

안녕하세요. 지방대학교에서 전기공학과를 재학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현재 설비엔지니어(설비관리직), 생산관리-플랜트직(반도체, 배터리, 모터제어, 디스플레이)직무를 희망합니다. 그래서 채용공고를 보고 어떤 직무가 있는지 봐보는데, `생산/제조`쪽에도`생산/공정관리`직무가 있고 `연구개발/설계`쪽에 제가 관심있는 직무인 반도체나 전기설비 직무가 있었습니다. 여기서 여쭤보고 싶은 사항이 있습니다. 

1. `생산/제조`와 `연구개발/설계`는 무슨차이인가요? 생산/제조는 학사가 취업 가능하고 연구개발/설계는 석사이상이 취업이 가능한 건가요?

1.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조선업, 전기설비 쪽 직무가 `연구개발/설계`쪽으로 묶여있던데, 연구개발쪽은 제가 알기론 대학원 석사 정도는 나와야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기공학과인 제가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조선업, 전기설비쪽직무로 가기 위해서는 대학원 석사 과정은 거쳐야 하는 걸까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
  • 안녕하세요
    1번질문2번질문 둘다 학사와석사를 여쭈어 보셧는데 제가 보기엔 님께서 보신 기업들이 대체로 중견기업이상 대기업 이상 인듯 합니다 설령 그렇다 한들 4년제 기준 학사나오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기업에 첫취업시 워낙 4년제 나온사람이 많기에 보통 학사 석사 보다 학교때성적 자격증 기타스펙을 보겟지요
    석사나오고자격증은 없는사람과 4년제 나왓는데 자격증이 있는 사람 이라면 기업에서는 고민하겟죠 결국 커리어를 본다 보여 짐니다 더군다나 대기업인경우 연구직이면 석사 보다 박사를 선호 할거에요 어떤기업이냐에 따라 기준은 달라짐니다

    2024-02-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552618 품질관리자 / 24년차 Lv 2

    설비쪽 직무는 전기기사/공사기사 자격증을 가진 학사로 충분합니다. 오히려 석사는 그쪽으로 잘 가지 않습니다. 생산/제조는 제품을 생산하는업무, 연구개발/설계는 제품을 개발하는 부서입니다.

    2024-02-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834744 마케팅기획 / 17년차 Lv 1

    전기 쪽은 아니고 전자 쪽이지만 대기업 연구소에 있으면서 공장과 잡업히는 있이 많아서 일반적인 경우를 말씀드릴께요

    생산 제품이 뭐든 제조 쪽엔 실제 제조 설비를 관리하는 부문 외에도 연구소가 따로 있습니다. 공장 라인을 설계하가나 수정 새로운 제조 장치를 만들거나 히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면 반도체 쪽에서 반도체 자체를 설계하는 부분은 설비나 공정과 크게 상관 없지만 공장(반도체에선 보통 팹이라 부릅니다)에선 설비를 관리하는 인력과 설비 자체를 설치하는 인력이 있는 거죠.

    그리고 이런 개발 인력은 학위랑은 큰 상관 없는 듯 합니다.저희 회사는 그랬습니다. 그렇지만 공장장까지 가려면 입사후라도 학업병행하여 학위 따놓으면 약간은 도움되지 않을까 합니다

    2024-02-2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694778 시설관리자 / 35년차 Lv 2

    전기공학전공자는 제조전반의 생산설비의 전기전자분야를 유지보수하고 더 나가 특고압설비에 대한 관리감독을 하는 업무가 주요 내용이며 전기전자설비 설계나 개발을 하는 회사의 업무수행을 위해서는 해당분야의 대학원 전공이 필요 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생산.제조설비의 전기전자 유지보수는 대학전공자 그리고 설계.개발자는 대학원 수준의 공부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2024-02-20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