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26살 전문대 출신 진로 고민중입니다.

조회수 1,166 2023-12-13 작성

전문대 기계설계과를 졸업한후 중소기업 설계회사에서 근무하다 돈이 적은거 같아서 퇴사한후 대기업 생산직의 목표를 갖게 되었습니다. 그 후로 산업기사 자격증 4개를 취득하고 입사지원을 여러곳에 해봣지만 취업상황이 좋지 않아서인지 번번이 실패하고 결국 삼성sdi 계약직으로 입사하여 3개월차 되었습니다. 교대근무가 생각보다 몸에 안맞고 공장사람들도 예민한거같아서 니게 정말 내 길이 맞는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현장에서 일하면 일할수록 나중에 대기업 생산직무에 이직을 성공한다고해도 이걸 정년때까지 수십년동안 계속할수 있을까. 공휴일에도 못쉬고 일하고 밤낮바뀌는 생활을 과연할수 잇을까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지금이라도 공무원 준비나 사무직종을 알아봐야할까요. 아니면 일단은 대기업 생산직에 계속 도전해보는것이 좋을지 고민입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
  • 프로필 이미지 mentor0054503 기계엔지니어 / 10년차 Lv 1

    제가 추천드리고 싶은 직종은 발전소네요. 공기업을 목표로 하셔도 돼고 발전소 기계나 안전등 모집분야 선택해서 가셔도 됩니다. 산업기사만 있으셔도 입사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발전소가 좋은점은 무조건 칼퇴에 업무시간에 개인시간이 많다는 점입니다. 발전소는 365일돌아가고 2년에 한번 1달~3달정도 예방공사할때만 바쁘고 평소엔 출근해서 일이없으면 개인공부하든 짱박혀서 놀든 아무도 신경안씁니다. 연봉도 적지않아요. 발전소 협렵업체들은 중소기업이나 대기업 중견기업등 연봉에 차이가 별로없습니다. 연봉을 발전소에서 지급하거든요. 각회사에 엔지니어링등급 및 경력, 직무별로 돈을 지급하고 회사에서 몇%때고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중견이상이 복지에서는 차이가 많이나고요. 아 참고로 화력발전소 연료설비는 거르세요. 석탄취급설비인데 생각이상으로 일이많고 힘듭니다. 그렇다고 다른직무에 비해 돈을 더주지도 않아요.

    2023-12-18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4966347 생산직종사자 / 16년차 Lv 1

    공무원에 도전하고싶으시다면 자격증도 많으시니 기술직 공무원도 좋으실것 같네요

    2023-12-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713800 생산·공정관리자 / 10년차 Lv 1

    3개월만에 그런생각이들면 다른일 찾는게 맞을것같네요. 앞으로 30년이상 일해야하잖아요! 파이팅입니다.

    2023-12-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187130 용접사 / 9년차 Lv 1

    뭐든지 초봉은 적게 마련이고 일도 힘들죠 이 길이 나에게 맞는가 라는 질문은 당연하고요 정확히 연봉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당신의 길에 이미 선배들이 있잖아요?
    같은 직종에 1년차 3년차 5년차 혹은 대리 과장 차장 그들을 보세요 당신의 미래입니다
    아직 젊을때 여러일을 해보는것도 좋지만 너무 과하면 안좋습니다
    제 경험상 설계와 프로그램을 같이 한다면 야근 없이도 월 500은 받습니다 물론 경험과 연차가 쌓여야겠지만요

    2023-12-14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