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안녕하세요, 어떻게 시작할지 막막해 글 올립니다

조회수 310 2023-11-11 수정

솔직하게 답변해주셔도 감사히 읽겠습니다. 긍정적인 답변도, 부정적인 답변도 자유롭게 달아주세요.



1.  회계사/세무사 전문직 쪽 준비하다가 2차에서 떨어지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나이도 좀 있고(내년에 여성 29세, 만으로는 현재 26세입니다.) 전문직이나 공시 쪽으로 파고들어서 계속 묶이다가는 안될 것 같아 자격증 준비하고 일반 기업 쪽 취업을 생각중입니다.

전문직 쪽 공부를 꽤 오래 했고 1차를 붙거나 2차에서 떨어져도 나쁘지 않은 점수들로 떨어진 것이기에 세법이나 회계 관련 자격증을 따는 데에 크게는 어려움이 없을 듯 하여 관련 자격증을 생각중입니다. 

그리하여, 자격증 관련으로 여쭤볼 것이 있는데

- 현재 목표중인 자격증들은 세무회계 1급 / 재경관리사 / IFRS 관리사이며 추가적으로 전산 1급 자격증이나 FAT/TAT를 생각중인데 취업하신 분들께선 기업이 어떤 자격증들을 더 선호하는지 알고 계시나 싶어 여쭤봅니다 (전산회계1급인지 전산세무1급인지 / FAT 1급인지 TAT 1급인지 / 아니면 둘 다 따는게 좋은지)

- 모스나 컴활 1급 같은 자격증을 따는 것이 취업에 메리트가 있는지

입니다.


2. 일단 나이 때문에 대기업 쪽은 당연히 생각중이지 않고(4년제 나오긴 했다지만 애초에 소위 말하는 명문대나 명문대 바로 아래 학력도 아니고 복수전공 이수자라지만 학점도 3.75 정도로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닙니다^^;;) 크기가 조금 있는 중소나 조금 더 쳐도 중견기업의 경계에 있는 기업들을 생각중인데, 중견에서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토익/토익스피킹이 어느 정도 점수여야 여유가 있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3. 위의 스펙 관련 질문들 외에도 두 가지만 추가로 여쭙고 싶은 것이 있는데

- 중소, 중견을 들어가기 전에 인턴을 3개월~6개월 정도라도 하는 것이 더 메리트가 있는지(제가 나이 떄문에 인턴을 들어갈 수 있는지도 염려스럽습니다.)

- 경리 쪽으로 오래 근무하셨던 이모께서 세무법인이나 회계법인 쪽의 경리 담당으로 들어가는 것보다 일반기업의 경리/회계팀 담당으로 가는 것이 더 좋다고 말씀하셨는데 실제로 그러한지

에 대해 실무 근무자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4. 마지막으로, 제가 오랫동안 전문직 시험을 준비하느라 일반 기업 쪽을 처음 준비하여 면접이나 자소서를 쓰는 방법은 당연하고 시작을 어떻게 해야할지도 막막합니다. 고용노동부 쪽으로 전화를 걸어도 상담이 된다는데 이번주에 전화를 하긴 할 예정입니다. 혹시 면접이나 자소서를 쓰는 방법을 강의하거나 스터디를 할 수 있는 카페 중 가장 참고하기 좋은 장소가 어딘지 추천해주셨으면 합니다.



장문의 질문글인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험만 준비하다가 처음 마주한 일반취업이라 막막한 심정인 나머지 상담할 곳이 이곳밖에 없었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댓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댓글 2
  • 프로필 이미지 tjqtjqdl 경영·비즈니스기획 / 19년차 Lv 5

    회계관련 어떤 자격증을 주렁주렁 매달고 와도 CPA 미만 잡이죠?
    전문 회계사, 세무사가 고난이도기 때문에 그러합니다.

    CPA 1차 합격만으로도 다른 자격을 압도할 수 있다 생각해요. 아직 포기하지도 않았을 듯 하고요.
    언급한데로, 중견급, 재무구조 탄탄한 중소이상 두들기시고 꾸준한 이력서 지원을 해보셔요.

    보통 이력서를 넣으면 보는 순간 회사가 원하는 스펙보다 남거나, 비슷한, 모자란 세부류랍니다.
    인서울 1차 합격이면 다른 것들 커버하고 갈 수 있다 생각하는 1인

    자소서 쪽도 1~2차 준비과정 잘 녹여내도 좋은 스토리 나올 것 같고요

    2023-11-13 작성
  • 프로필 이미지 회법 세무사 / 2년차 Lv 5

    1. 세무회계 1급은 잘 아시다싶이 세법과 지방세법을 다루는 자격증으로, 여러 의견이 있지만 종합적으로 취업에 딱히 도움이 되진 않는 자격증입니다.(사람들이 잘 모르기도하고, 세법을 다뤄야 할 일이면 더욱 더 전문적인 세무사를 고용합니다)

    1-1) TAT와 전산세무 중에 기업에서 더 많이 알아주는 것은 전산세무이며, 실제 난이도도 전산세무2급과 TAT2급은 거의 동일하지만, 전산세무1급은 TAT1급과 비교 하였을 때 범위는 비슷하지만, 난이도는 더 어렵습니다.

    2) 일반기업 회계/재경팀은 외국계기업, 국외기업 혹은 주재원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하여, 사업을 하는 곳이 아니라면 기본적으로 어학성적을 입사조건으로 요구하지 않습니다.
    굳이 토익점수로 따지자면 700~800 입니다.

    3) 일반기업(강소/중견이상)이 더 좋습니다.

    4) 사실....자소서 쓰는 방법에 대한 강의는 유튜브에도 널려있고, 돈만 준다면 대기업 출신이 직접 코칭해주는 곳도 있습니다.
    저 또한 A&T(Accounting&Tax) 에 대한 신입/경력자 분들 자소서/이력서를 코칭을 해주고 있지만, 유튭이나 포털사이트에 조금만 검색해도 많이 나오니, 참고하여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4-1) 지역이 어디신지를 몰라서 스터디카페 추천을 못드릴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11-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