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Spring boot 개발자 자기소개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조회수 945 2023-10-30 수정

유투브, 구글링을 통해 개발자 자소서 작성법에 대해서 찾아보고 약 5개월 개인 프로잭트를 내용으로 자소서를 작성했습니다.
비 개발자 지인이 보고 개발자 자소서 형식은 모르겠지만 본인 입장에선 자소서 같지 않다 라고 해서 재대로 하고 있는 게 맞나 ? 의문이 들어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포트폴리오 링크를 같이 첨부할까 했지만 EC2 프리티어로 배포 중 이라 트래픽에 대한 과금 이슈가 생길 거 같아 올리지 않았습니다. 아래 내용 만으로 전체적 맥락을 이해하기에 부족함이 있다면 댓글로 이메일 남겨주시면 링크를 첨부하겠습니다 양해 부탁 드립니다.



타이틀: 개인 프로젝트를 통한 개발 역량과 성장 과정
 

국비 과정 중 개인적으로 로또 번호 추천 로직을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주변에서 공유해달라는 요청과 수료 이후 복습 및 스택 추가를 위해 프로젝트 주제로 정하게 되었고 이전 팀 프로젝트 때 못해본 Redis, cache, oauth2, multiThread 등의 기술과 클린코드, 성능 개선에 초점을 맞춰 Spring boot으로 backend을 완성했습니다.


이전 팀 프로젝트 frontend의 경우 팀원의 결정에 따르기만 한 점과 test code 작성 및 주요 기능 개발에 쫓겨 기여가 낮아 통신 흐름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점 등이 걸려 주력 언어를 가지자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팀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Vue.JS을 배울까 생각했지만, 기업에 많이 채택되며, Lib가 더 큰 React를 공부하게 되었고 Redux, Router, web Storage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던 중 Type이 없는 JavaScript가 불편하고 버그 발생 시 문제를 찾는 데 오래 걸려. TypeScript로 변경하는 등의 크고 작은 이슈가 있었지만, 무사히 frontend를 완성했습니다.


국비 지원 팀 프로젝트에서는 AWS CodeDeploy를 통해 CD를 구현했는데 클라우드 환경 및 관련 기술에 처음으로 접했던 시기라 복잡하게 느껴졌었고 현재 개인 프로젝트에서 AWS S3를 사용하지 않아 EC2 환경에 더 간편하게 배포할 방법을 고민하던 중, Docker라는 기술이 눈에 띄었습니다.


Docker는 컨테이너 기술을 통해 환경 일관성을 보장하며, 애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고 배포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또 스케일링을 통해 추후 대규모 트래픽에 대비할 수 있어 이러한 이유로 Docker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완성도를 높이기로 했습니다.


이후 스케일링을 통해 같은 spring boot image로 여러 컨테이너를 환경변수를 통해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었고 Nginx 리버스 프록시를 통해 여러 backend 서버에 요청을 전달하며 트래픽을 분산시켜 대비할 수 있었습니다.

React build 파일을 서빙할 웹 서버로 Nginx를 선택한 이유는 프리티어로 서버를 개설해서 가벼우면서 강력한 웹 서버가 필요했고, 또 로드 밸런싱 기능을 제공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github Actions을 통해 test, build 과정을 거쳐 Docker Hub에 저장하고 EC2 내부에 설치된 self-hosted-runner를 동작시켜 Docker Compose를 통해 업데이트 및 컨테이너를 동작시키게 끔 CI/CD 자동화를 구현하고 자잘한 이슈들을 수정한 이후 개인 프로젝트를 마무리 지었습니다.


spring MVC와 달리 React 와 RestFul API 통신을 하며 값을 보낼 때 고려할 점, Exception 처리, Security 등 frontend 공부하며 backend를 더 깊게 고민하게 된 경험, 새로운 기능 도입에 대한 자신감과 DevOps의 막연한 두려움을 떨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스택 및 사례 등을 포트폴리오에 표 형식으로 정리했습니다.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4
  • 프로필 이미지 mentor6919405 웹개발자 / 7년차 Lv 3

    현업 팀장급 개발자입니다. 국비는 사실 거기서 거기입니다. 너무 단순하고 다양한걸 많이 주입시키려고 해요. 많은 사람들이 국비지원을 통해서 개발자를 도전하는데 포트폴리오나 자기소개서 보면 다 똑같아요... 실제 면접 보면서 본인이 했다고 서술해논 내용들을 질문하면 답을 잘못합니다. 신입한테 완벽하게 바라지는 않아요 기본에 충실했으면 좋겠습니다. 실제 본인이 공부한것은 그 분야에 작은 부분을 경험한것이거든요? 공부와 현업은 다릅니다. 저는 사람을 뽑을때 내가 이것도 해봤고 저것도 해봤다가 아닌 스프링프레임워크를 가지고 무엇을 해봤냐가 아닌 어떻게 해봤냐를 봅니다. 코딩 스타일도 보구요. 본인이 생각하기에도 위에 서술한 내용들을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하기 어려우시죠??? 그래서 저는 기본에 충실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2023-10-30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4445003 경영·비즈니스기획 / 3년차 Lv 1

    너무 늦은 감이 없잖아 있지만, 우연히 읽게 되어서 한마디 남깁니다.
    내용적인 부분은 차치하고,,, 문장에 비문이 너무 많고 호흡이 길어서 도무지 글이 안 읽힙니다. 흔히 코딩을 글쓰기에 비유하곤 하죠. 저도 비슷한 생각입니다. 이정도 글도 도무지 안 읽히는데, 코드는 잘 읽힐까...? 이런 생각이 먼저 들어요. 급한대로 챗gpt 를 활용해서 라도 글을 교정하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023-11-3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514231 웹퍼블리셔 / 2년차 Lv 2

    타이틀이 국비 수료 과정 이후 라고 되어있는데 그걸 토대로 읽다보니 자소서 보다는 그냥 후기 작성이 되어있는거 같습니다.

    또한 주력 언어라고 적혀있는데 그래서 주력 언어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또한 언어를 다양하게 사용해본건 알겠으나 팀의 협업을 이뤄 할 수 있는 사람인지, 프로젝트 진행을 하면서 어려웠던 점이나 협업에서 얼마나 높은 기여도를 보여줬는지 등도 함께 작성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2023-10-28 작성
  • 현업자는 아니고, 전공자 취준생의 관점에서 말씀드리면... 저거 기술스택 전부 인터넷 안보시고 혼자서 작업 하실수있으신가요?

    본인이 희망하는 직무가 Back 인가요 Front 인가도 모르겠습니다

    Docker, Nginx 말씀하시는거로 봤을때는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시는거 같습니다. 빼시는거 추천이요

    음... 자소서에 적어야 하는 상황의 예를 들어드릴게요.
    자소서는 어짜피 잘~ 포장하면 그만입니다. 쓰니님 게시글 내용을 보고 쓴다고하면

    AWS EC2 프리티어면 micro.t2이실텐데 이건 과금이슈 없습니다. 단지 cpu 작업량이 늘어나서 본인의 프로젝트 서버가 터질수있어서 껏다 켰다의 불편함 정도 생기는 겁니다. 이런것들을 캐싱작업하는 것들을 자소서에 잘 풀어쓰는겁니다. 다른 지원자들과 차별점을 만들어 내는거죠. 두리뭉실하게 쓰면 어짜피 면접가서 다 뽀록납니다.


    돈주고 자소서 첨삭 받는것도 한가지 방법일수도 있겠네요.

    2023-10-28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