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정신차려보니 31살 이네요. 조언부탁드립니다.(다시 올렸습니다.)

조회수 1,036 2023-07-25 작성

제대 후 다니던 학교를 자퇴하고 재수를 해서 지방사립대 기계공학과에 가서 졸업을 했습니다. 그마저도 열심히 살지 않아서 학점은 3.46에 인턴경험도 어학점수도 없습니다. 있는거라고는 2학년 때 취득한 카티아 자격증, 공기업에 들어간다는 허황된 꿈에 졸업하고 취득한 일반기계기사 밖에 없습니다. 토익도 조금 하다가 그만두고 한국사도 조금 하다가 그만두고 전공공부도 마찬가지로 그만뒀습니다. 그렇게 포기하다가 시작하기를 반복하다보니 뭐하나 기억나는 것도 얻은 것도 없습니다.  그렇게 허송세월을 하다 졸업 후 2년 6개월이라는 공백기가 생겼고 이제는 이렇게 살면 안되는 나이가 됐습니다.  그래서 부리나케 취업사이트를 뒤져가며 중소기업 생산기술이나 기계 or 기계설계 쪽을 알아보고 있는데 캐드나 도면해석의 능력을 필요시 하던데 사실상 프로그램을 공부한 지 너무 오래지나 어떻게 했는지 잘 기억도 안나고 막상 다시 공부해서 지원해보자니 너무 늦어져서 취업이 더 힘들어 질 것 같습니다. 제가 원하는 직무에 한 달 동안 도전해보고 안돼면 생산직으로 지원하는게 맞겠죠?


P.S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혹여나 대학교에 민폐일 수 있으니 삭제했습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7377410 제품디자이너 / 14년차 Lv 3

    보니까, CAD(기계제도)만 되도 취업은 충분히 가능할 듯 하군요. 그러지 말고, 주변에 `AutoCAD 국비지원 교육` 을 알아보시고 해보시기를 추천 합니다. 국비라 하여 교육의 질이 떨어지거나 하지 않고요(일반학원 교육보다 빡세면 빡셌지 . . .) 무엇보다 수강료가 들지 않고 배울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죠. 기간은 길어야 6개월 남짓 일 겁니다.

    참고로 본인도 21살에 건축제도 학원에서 1년동안 배우고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취득 했는데, 그 후 어찌하다 군대갔다 오고, 어찌하다 `제품&광고 디자인` 쪽으로 풀려서 그렇게 10여년을 일하다 얼마전에 비로소 예전에 했던 건축제도를 다시 해보려니, 지금 님과 같이 망막~하더라고요. 그래서 마침 대전의 모 학원에서 건축제도(CAD, MAX. . .) 국비교육이 있어서 6개월동안 중간 중간에 간단한 알바도 하면서 교육 받았는데 그래도 예전에 한 게 있어서 그런지 수강한지 15일 정도 되니까 왠만큼 만져 지더라고요. 님은 아직 나이가 많은 것도 아니니 아마 며칠이면 예전 실력을 찾을 수 있을거라 생각 됩니다.

    참고로, 가보시면 알겠지만 생전 처음 CAD 만지시는 분들도 1달이면 왠만큼 손이 빨라 집니다. 또한, 교육기간이 6개월 정도면 CAD 외에 다른 프로그램들도 배울 수 있으니 더 좋겠죠.(6개월 후면 CAD는 껌일 듯) 다만 국비교육은 수강자로 선정된 후 출석률이 중요 합니다. 가보시면 아실 겁니다.

    6개월 후 업체규모를 떠나 그래도 전문적인 일을 하고 계시다면 좋겠군요.

    2023-07-2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988560 기계엔지니어 / 19년차 Lv 2

    카티아도 배웠고 기계공학전공에 기계기사자격도 있는데 너무 코 앞만 보지 마세요.
    그냥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 입니다. 물론 첫 회사를 잘 가야 하겠지만, 평생 회사는 아니에요. 설계부서 지원해서 2년~4년 경력을 쌓으세요. 그리고 더 좋은 회사, 급여 높은 회사로 이직을 하시면 됩니다. 좋은회사에서 경력 잘 쌓으면 경력으로 대기업으로 이직도 가능하고요. 목표와 계획을 가지고 해보세요.

    2023-07-26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750651 R&D·연구원 / 15년차 Lv 1

    회사 입장에선 자신감 있고 배우려 노력하는 인재를 원합니다.
    그리고 설계는 잔머리랄까 융통성이랄까 그런게 요구된다고 생각합니다.
    뭔가 안될시 뭔가 막혔을 시 다른 대안을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건 하다보면 늘어요.
    신입한테 경력직같은 능력을 요구하는 회사는 없습니다.
    전부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스킬을 가르치죠. 그때 배워가면서 퇴근후에도 노력해서 기술을 습득하면 됩니다.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단순 심플 자신감 이게 중요합니다. 일할 때에도 마찬가집니다.

    2023-07-2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719028 설계엔지니어 / 8년차 Lv 1

    안녕하세여 저는 기존에 CAM 관련 일을 하다기 사출관련 기사를 취득 후 1년6개월정도 공백 후 다시 취업 전선으러 진입해서 중견기업으로 취직 후 재직중 입니다..(2차전지 관련)
    일단 3D설계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구동이 비슷하여 운영에 관해서는 금방 적응할 겁니다.공백기가 길어도 막상 마우스 잡아보면 몸에서 기억이 납니다.또한 사수들이 있어서 바로 실업무 보다는 간단한 업무(청구,간단한 모델링/도면,단순작업 모델)부터 시작합니다.너무 두려워 하지 마세요! 저도 공백기 후 중고신입으로 직종변경하여 33살에 취업 헸습니다.지금 전체적으로 설계자들이 많이 필요하다고 판단 합니다…생산직 보다는..일반기계기사랑/기계공학으로 어필해서 중견기업 쉽게 취업 가능합니다.물론 취업해서 20대들과 약간 어색힌 분위기가 날수 있겠지만 금방 친해집니다 ㅎ그리고 최근에 기구설계 2년 경력(2차전지) 채우니..2차전지 관련 대기업에서 오퍼 왔습니다.면접도 잘봤고요..저는 지방대도 아닌 인터넷으러 학사 진행했습니다.그러니깐 걱정 말고 취업 도전 하세요!언제나 자신감 입니디!

    2023-07-26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9602768 포장·가공담당자 / 13년차 Lv 2

    자신이 못났다고 생각하시나요? 공백기를 허송세월 했지만, 이제 다시 잘 해볼 생각은 있으세요? 하다가 그만두고 다른걸 하고 또 그만두면 아무것도 되는게 없습니다. 이제부터는 마음을 곧게 굳게 드시고 어떤일이든지 도전하세요. 전공이든 전공이 아니든 상관없어요. 경험을 쌓으시길 바랍니다.

    2023-07-2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131613 R&D·연구원 / 27년차 Lv 1

    중소기업 자동차 관련 업무 쪽 지원을 해보세요.
    전공 살릴 수 있습니다.
    경험을 쌓으시면 됩니다.

    2023-07-26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