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진로 갈피를 못잡겠습니다.

조회수 4,110 2022-01-06 작성

전문대 2년제 4.16/4.5 산업설비과 졸업하자마자 현재 중소기업 로봇용접 생산직 1년 재직중에 있습니다(공조냉동산업기사 보유)


근무시간이 월~토 아침 8시부터 저녁 8시까지다 보니 사람이 점점 망가지고 좀더 비전있는 삶을 위해 이직하고싶은데 갈피를 못잡겠습니다 제가 하고싶은일은 도면 설계, 로봇 프로그램 설계 등등 프로그램 조작을 하는것을 좋아합니다. 


그렇다고 다른 직종을 아예 염두에 안두는건 아닙니다 일단 중요한건 제가 운동을 좋아해서 여가시간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8시 출근 8시 퇴근하면 저의 개인 시간이 아예없더라구요ㅠㅠ

어떤 기업이나 직종을 목표로 무엇을 수행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지인의 조언으로 기능장과정 1년 야간으로 수료하고 기능장을 따는게 큰 도움이 될지 그것도 궁금합니다.

기능장과정1년을 수료하게된다면 제게 리스크가 꽤 많거든요 . 그런 리스크를 품고 자격증을 취득해야 좋은지 잘 모르겠어요. 


선배님들 친절하게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합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36
  • 프로필 이미지 mentor6117637 토목기사 / 16년차 Lv 3

    기술직에 근무중에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격증 보유를 한다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됩니다.
    자격증이 없으면 취업이 안됩니다.
    기술직으로 취업하시는것두 추천드립니다.
    먼저 어디에 취업하고자 하는지 목표를 두고
    취업하고자 할때 어떤 부분이 필요한지 곰곰히 생각해보시고
    목표와 목적을 두고 열심히 해보세요
    그럼 저녁이 있는 삶을 찾을수 있을거라고 봅니다
    화이팅하세요

    2022-01-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541242 경호·경비 / 3년차 Lv 3

    잡지 마시오.

    2022-01-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759813 생산직종사자 / 16년차 Lv 2

    성인이지요
    이런건 참고일 뿐이지 모든 결정과 결과는
    내가 책임 지는것입니다
    다른사람을 그런 방법이 좋았을지라도
    나에게는 안맞을수 있고 미미한 효과일수도 있습니다
    한번 숨고르기 해보시고
    어떤게 날 위한 길일지 본인이 잦을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라고 할수 밖에 없네요

    2022-01-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435097 생산직종사자 / 35년차 Lv 1

    기능장 획득하는 방안이 좋을듯 싶습니다. 대기업 들어가는데 유리합니다

    2022-01-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126340 화물·중장비기사 / 46년차 Lv 2

    안녕하세요 주재넙게 조언을하는것 부족하오나
    그동안의 인생경력으로 조언합니다
    언제나 내맘애드는 조껀은없읍니다
    찾고 또찾아서 꾸준히 더 좋은 목표을 찾는것입니다
    나는 공무원으로 출발해서 대기업에 1급 간부로 근무중
    회사운영에 마추고 후배들을 위하여 자리을 내주고
    자영업을 하다가 처음에는 잘운영돠여 남들이 부러워 할정도로
    잘 운영되였으나 국가위기 부도때 사업을 접고 가즌 고생을 했어요
    그러나 정신 차리고 딱치는대로 물불가리지않고 쉬지읺고 투잡 쓰리잡
    했어요 그리하여 자녀들 공부 끝까지 시키고 지금은 일에 중독이되여
    쉬지않고 칠십 중반의 나이애도 일을 찾아서합니다
    쉬지말고 내가 무엋을 할까 계속 생각과 연구을 하세요
    나는 내일을위해 매일 고심을 했습니다
    필요없는 지출은 하지않고 금전절약을하며 (술,담배,커피) 작은 돈으로 주식을
    공부했어요 경제지식입니다 대학과정 경재공부보다 실무을 배우세요
    협업에 충실하며 다양하게 공부하다가 주식을 배우며 장기적인 투자와 소액으로
    시작해서 경험으로 싹을 키워서 지금은 노후대책을 해노았어요
    주식 참 어려워요
    그러나 공부하면 부동산 투기보다 쉽게벌어요
    그러니까 나는 꼭 주식을 하라는것이아니고 무었이고 전문성을 길러서
    최고에 통달하여 남 보다 앞장서서 성공해야되요
    내가 노력안하면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아요
    내일을 위해서 지금 쉬지 말고 달려가다보면 어느때 내취미도 생활도 옵니다
    나는 현재국가 자격증 13개 검도유단자7단 유도4단 태견2단 울트라마라톤 2회
    정복 일반마라톤 수백회 완주 테니스수즌급 골프17년 색소폰동우회 리더(회원28명)
    무도 서예 순수미술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있습니다
    이것이 나을 쉬지못하도록한 증거입다
    쉬지말고 앞으로 앞으로 알았지요

    2022-01-1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373699 생산직종사자 / 3년차 Lv 5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질문자님이 좋아 하는 분야쪽으로 가닥을 잡고 가는게 좋아 보이고 기능장을 따놓으면 많은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2022-01-10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327579 생산직종사자 / 29년차 Lv 1

    저는 28년 반도체 제조업에서 장비,생산 업무를 하다가
    이번달까지 근무예정입니다
    해당분야는 주문에따라 바쁠때와 그렇지 않을 때가
    있으며 해당분야에 경력을 쌓기 위해서는
    최소 3년은 하시고, 또한 기능장은 나중에 어쩔수 없이 짬이
    날때가 있을 것입니다
    그때 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2022-01-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477582 생산직종사자 / 17년차 Lv 1

    선택과 결정은 본인이 해야합니다
    더 좋은환경, 더 좋은 복지, 더 좋은 조건의 회사가 있다면
    과감하게 옮기세요.
    아직 초년생이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남아서 경력도 쌓고
    더 배우시라고 하겠지만 전 다르다고 봅니다
    지금은 예전 80~90년대 시기의 직장인들이 아닙니다
    더 배우는건 새로운 직장에서 배우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것을 활용하면 될것입니다
    어중간한게 배우시고 나이차면 그것또한 이직 하기 쉬운게 아니지요.
    할수 있을때, 본인이 선택할수 있는 위치, 상황이 될때는
    결정 하셔요.

    2022-01-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542945 생산직종사자 / 6년차 Lv 1

    1년이면 아직 다니는 회사도 다 파악 못 했을것 같은데... 급여나 HR에 큰 불만이 없으면 2년정도 까지 버텨보고 업계 전반... 그리고 본인 회사 프로세스 전반 다 파악하고 나가시는게 더 도움 될겁니다.

    2022-01-0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진정한멘토 경영·비즈니스기획 / 16년차 Lv 5

    일단 따금하게 한마디 하고 시작하겠습니다.

    그러니까 공부에는 때가 있다고 하는 것이고,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시점이다.

    조금 돌아가는 시점인 것 같지만, 그리 늦은 것도 아닙니다.

    일단, 현재 불만족사항이 업무는 괜찮은데 여가시간이 없다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무조건 근무를 지속해야 합니다.

    모든 분야에 경력을 가지고 활발하게 근무하고 있는 분들은 열악한 환경을 딛고 일어나신 분들입니다.

    또는, 열정을 가지고 일에 매진하여 일정 레벨에 오르신 분들입니다.

    열정이 없거나, 업무가 자신과 맞지 않다고 생각되면 과감하게 던지고 다른분야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또는, 지금 일에 열정을 가지고 제대로 3년이상 도전해 보세요

    서서히 좋은 방향의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도움되셨다면 답변채택 부탁드립니다.

    2022-01-07 작성